본문

스마트사회의 정보정책과 전자정부 (이론과 전략)
스마트사회의 정보정책과 전자정부 (이론과 전략)
저자 : 김성태
출판사 : 법문사
출판년 : 2013
ISBN : 9788918024059

책소개

『스마트사회의 정보정책과 전자정부』는 총 12장으로 구성되어 정보사회 패러다임, 스마트사회 패러다임 전환, 패러다임 전환과 사회변화, 사회패러다임 전환과 측정지표 정보정책의 이론적 논의, 전자정부의 이론적 논의와 우리나라 정보정책 전자정부 추진체계 현황과 방향, 전자정부의 진단과 과제를 정리하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1980년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가 제3의 물결을 이야기 한지 30여년이 지났다. 이제 우리는 또 다른 거대한 제4의 물결 스마트혁명의 중심에 서 있다. 스마트빅뱅으로 표현되는 이러한 변화 속에 우리는 스마트사회라는 인류 문명사적 대변혁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스마트사회의 패러다임 변화는 경제?사회?국정의 발전을 주도하는 주체, 수단, 시대가치의 근본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기업과 정부 중심의 경제성장 전략에서 나아가 창의적 국민이 중심이 되어 기업과 정부가 함께 상호 협력하는 경제시스템으로 주체가 변화하였으며, 경제를 이끄는 핵심수단이 노동, 토지, 자본으로부터 창의력, 과학기술, 융합으로 이동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 기술의 창조적 활용은 인간존엄성과 행복한 국민중심의 사회를 조성하는 생태계를 만드는 데 있어 핵심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시대가치는 개방?공유?협력?창조로 대변된다. 스마트사회는 일하는 방식의 근본적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바탕으로 국정시스템 변화와 경제와 산업 전반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서 스마트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준비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 저서-스마트 사회의 정보정책과 전자정부-는 이를 위해 준비되었다. 국정 전반과 관련한 공공분야는 물론이고 이와 연계된 민간분야 전문가들도 스마트사회의 변화를 이끌어 가기 위한 준비는 필수적이며 이러한 맥락에서 이 책은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련 분야에 진출을 꿈꾸는 학생들도 이 책은 좋은 지침서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이 기존의 정보정책론과 전자정부론을 통합하여 단권으로 집필하였기 때문에 한 학기용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준비하였다.
제1장 ‘사회패러다임 전환과 이론적 배경’에는 스마트사회 이전단계: 정보사회 패러다임, 스마트사회 패러다임 전환, 패러다임 전환과 사회변화, 사회패러다임 전환과 측정지표 등으로 구성하였다. 제2장‘정보정책과 전자정부의 이론적 논의’에는 정보정책의 이론적 논의, 전자정부의 이론적 논의를 포함하였다. 제3장 전자민주주의와 전자거버넌스 전자민주주의의 일반적 논의, 전자거버넌스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제4장 정부?행정의 변화에는 스마트사회의 정부진화, 스마트사회와 행정서비스 변화, 스마트사회와 지식관리의 변화로 구성하였다. 제5장 정보기술의 변화에는 스마트사회와 스마트인프라, 초고속인프라 기술의 발전과 적용, 방송?통신 융합 현상과 대응을 포함시켰다. 제6장 생활 및 문화의 변화에는 스마트워크와 생활 변화, 스마트 컬처, 보편적 서비스 정책, 정보격차해소 정책에 대해 논의하였다. 제7장 경제 및 지역의 발전에는 스마트 비즈니스와 창조경제, 첨단정보산업 정책, 표준화 정책, 지역의 발전과 지역정보화를 포함하였다. 제8장 정보자원관리정책과 전략에는 정보자원관리정책, 리엔지니어링(BPR) 전략, 아웃소싱(Outsourcing)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제9장 정보역량과 관리전략에는 스마트사회의 정보역량, 스마트사회의 성과관리, 스마트사회의 정보정책 평가를 더루었다. 제10장 데이터기반 경제와 정보개방?정보공개에는, 빅 데이터와 국정관리, 스마트사회와 정보개방, 정보공동활용, 정보공개의 내용을 다루었다. 제11장 정보보호와 지적재산권에는 정보보호정책, 개인정보보호정책, 지적재산권을 포함하였다. 제12장 정보정책?전자정부 추진동향과 과제에는 세계 주요국의 정보정책?전자정부 추진동향과 우리나라 정보정책?전자정부 추진동향, 우리나라 정보정책?전자정부 추진체계 현황과 방향, 우리나라 정보정책?전자정부의 진단과 과제를 정리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장 스마트사회 패러다임전환과 이론적 배경
제1절 스마트사회 이전단계: 정보사회 패러다임
제2절 스마트사회의 등장과 패러다임 전환
제3절 사회패러다임 전환과 사회변화
제4절 사회패러다임 전환과 측정지표
제2장 정보정책과 전자정부의 이론적 논의
제1절 정보정책의 이론적 논의
제2절 전자정부의 이론적 논의
제3장 전자민주주의와 전자거버넌스
제1절 전자민주주의의 일반적 논의
제2절 전자거버넌스 연구방향
제4장 정부?행정의 변화
제1절 스마트사회의 조직변화
제2절 스마트사회와 행정서비스 변화
제3절 스마트사회와 지식관리의 변화
제5장 정보기술의 변화
제1절 스마트사회와 스마트인프라
제2절 초고속인프라 기술의 발전과 적용
제3절 방송?통신 융합 현상과 대응
제6장 생활과 문화의 변화
제1절 스마트워크와 생활 변화
제2절 스마트 컬처
제3절 보편적 서비스 정책
제4절 정보격차 해소 정책
제7장 경제와 지역의 발전
제1절 스마트 비즈니스와 창조경제
제2절 첨단 정보산업 정책
제3절 표준화 정책
제4절 지역의 발전과 지역정보화
제8장 정보자원관리정책과 전략
제1절 정보자원관리(IRM)정책
제2절 리엔지니어링(BPR) 전략
제3절 아웃소싱(Outsourcing) 전략
제9장 정보역량과 관리전략
제1절 스마트사회의 정보역량
제2절 정보화 역량기반과 성과관리
제3절 스마트사회의 정보정책 평가
제10장 데이터기반 경제와 정보개방?정보공개
제1절 빅데이터와 국정관리
제2절 스마트사회와 정보개방
제3절 스마트사회와 정보공동활용
제4절 스마트사회와 정보공개
제11장 정보보호와 지적재산권
제1절 정보보호정책
제2절 개인정보보호정책
제3절 스마트사회의 지적재산권
제12장 정보정책?전자정부 추진동향과 과제
제1절 세계 주요국의 정보정책?전자정부 추진동향
제2절 우리나라 정보정책?전자정부의 추진동향
제3절 우리나라 정보정책 추진체계 현황과 방향
제4절 우리나라 정보정책?전자정부의 진단과 향후 과제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