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교육사회학(2학기, 워크북포함)
교육사회학(2학기, 워크북포함)
저자 : 성기선^유성상^이해주
출판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14
ISBN : 9788920013461

책소개

교육의 사회적 기능은 무엇인가? 교육은 사회평등화에 기여하는가? 교육내용은 사회적 권력과 힘의 관계를 어떻게 반영하는가? 학교 내 학생문화는 어떠한가? 교육과 노동시장, 경제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

이 책은 학교와 사회구조의 관계에 대한 이러한 질문들에 지금까지의 교육사회학이 어떻게 답하고 있는가를 정리하는 식으로 구성되었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의 교육사회학에서 다루어 왔던 이론적 흐름의 개략을 제시하고, 최근의 이론적 동향을 간략히 포함시켰다. 또한 교육사회학이 외래적 학문의 성과에 많이 의존하고 있지만, 적어도 지난 30여 년 동안 한국적 교육사회학의 발전도 상당히 진척되었기에 그러한 부분도 적극 반영하려 노력하였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교육의 사회적 기능은 무엇인가? 교육은 사회평등화에 기여하는가? 교육내용은 사회적 권력과 힘의 관계를 어떻게

반영하는가? 학교 내 학생문화는 어떠한가? 교육과 노동시장, 경제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 이 책은 학교와 사회구조의 관계에 대한 이러한 질문들에 지금까지의 교육사회학이 어떻게 답하고 있는가를 정리하는 식으로 구성되었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의 교육사회학에서 다루어 왔던 이론적 흐름의 개략을 제시하고, 최근의 이론적 동향을 간략히 포함시켰다. 또한 교육사회학이 외래적 학문의 성과에 많이 의존하고 있지만, 적어도 지난 30여 년 동안 한국적 교육사회학의 발전도 상당히 진척되었기에 그러한 부분도 적극 반영하려 노력하였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Ⅰ부 교육사회학의 이론적 배경



제1장 교육사회학에 대한 이해

제2장 교육사회학 이론과 연구동향

제3장 학교효과 탐색

제4장 교육과정사회학

제5장 교육평등과 사회평등



제Ⅱ부 한국교육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성찰



제6장 근현대 한국교육제도의 변화와 특징

제7장 교육과 사회이동

제8장 입시제도와 선발방식

제9장 한국의 교육열과 학벌사회

제10장 학생문화와 학생인권

제11장 교사문화와 교권



제Ⅲ부 교육사회학의 담론 확장과 대안 모색



제12장 다문화사회의 등장과 다문화교육

제13장 시민사회의 교육참여

제14장 세계화시대의 국제교육협력

제15장 새로운 교육패러다임으로서의 평생교육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