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교육학에의 초대
교육학에의 초대
저자 : 김영화^이한규^김재춘^김영화^김재웅
출판사 : 교육과학사
출판년 : 2011
ISBN : 9788925404622

책소개

교육학 개론서 『교육학에의 초대』. 이 책은 크게 5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이란 무엇인가부터 교육을 어떻게 운영하고 관리하는지까지 그 자세한 내용을 다루었다. 이 책을 통해 새롭게 형성된 교육의 개념을 토대로 교육 실천을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Ⅰ부 교육이란 무엇인가?

제1장 교육의 필요성과 성격
제1절 교육의 필요성
제2절 교육의 유형
제3절 교육의 성격과 기본 요소

제2장 교육의 정의 방식과 개념
제1절 교육관과 교육의 정의
제2절 교육의 의미와 비유들
제3절 교육의 여러 가지 정의

제3장 교육학의 성격과 교육의 비전
제1절 교육학의 성격
제2절 교육의 목적과 비전
제3절 여러 가지 교육 문제와 대안

제Ⅱ부 인간은 어떻게 발달하고 어떻게 배우나?

제4장 인간발달과 교육
제1절 인간발달의 특징
제2절 유전과 환경
제3절 인지발달
제4절 정의적 발달

제5장 학습이론
제1절 행동주의 학습이론
제2절 인지적 학습이론
제3절 정보처리이론

제6장 수업이론과 수업매체
제1절 수업의 준비
제2절 수업의 과정
제3절 수업매체

제Ⅲ부 무엇을 가르치고 평가하나?

제7장 교육과정의 이해
제1절 '검치 호랑이' 이야기
제2절 교육과정의 의미
제3절 교육과정의 관점
제4절 교육과정의 역사 개관
제5절 교육과정의 항구적인 쟁점들

제8장 교육과정의 개발과정과 실제
제1절 교육과정 개발 모형
제2절 개발된 교육과정의 사례: 2009년 개정 교육과정

제9장 교육평가의 이해
제1절 교육평가의 의미
제2절 교육평가에 대한 관점
제3절 교육평가의 역사
제4절 교육평가의 유형
제5절 교육평가의 접근과 모형

제Ⅳ부 교육은 사회와 어떤 관련을 맺고 있나?

제10장 교육과 평등
제1절 교육평등
제2절 교육과 사회평등의 관계
제3절 평생학습사회에서 교육과 불평등

제11장 교육과 직업성취
제1절 교육과 직업세계의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
제2절 학력주의와 능력주의

제12장 공교육제도의 태동과 전개, 그리고 미래
제1절 공교육의 개념
제2절 공교육제도 태동의 배경
제3절 공교육제도에 대한 도전과 대응 논리

제Ⅴ부 교육을 어떻게 운영하고 관리하나?

제13장 교육행정의 접근과 교육조직의 운영
제1절 교육행정의 개념과 원리
제2절 교육행정의 접근
제3절 교육조직의 실제와 운영

제14장 교육정책의 이해
제1절 교육정책의 개념
제2절 교육정책의 과정
제3절 교육정책과정의 참여자
제4절 교육정책과 법률

제15장 교직과 교사
제1절 교사의 개념과 중요성
제2절 전문직의 특성에 비추어 본 교직의 특성
제3절 교사가 갖추어야 할 지식과 능력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