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유아교사의 정서적 스캐폴딩 (scaffolding) 이해하기
유아교사의 정서적 스캐폴딩 (scaffolding) 이해하기
저자 : 서향희
출판사 : 교육과학사
출판년 : 2013
ISBN : 9788925407128

책소개

비고츠키 유아교육이론의 재고찰과 함께 유아기에 적합한 호혜적 스캐폴딩(reciprocal scaffolding)에 대한 재개념화의 관점이 제시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유아교육과정에서도 스캐폴딩(scaffolding)은 교수-학습의 핵심으로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 속에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유아기에 적합한 호혜적 스캐폴딩의 본질에 대한 실천적인 탐구가 그동안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저자가 박사과정을 공부하는 동안 교육의 핵심이 되는 실제 수업 속에서 스캐폴딩의 실천적 모습은 어떠한가에 대한 물음과 그렇다면 유아들에게 적합한 스캐폴딩은 과연 어떠한 양태여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들이 본서의 집필 동기로 크게 작용하였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1980년대 미국에서 발간된 주요한 유아교육관련 서적 중에 <Ideas Influen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weber, 1984)이라는 저서가 있습니다. 이 저서에는 고대 플라톤 사상부터 성숙주의, 행동주의, 진보주의, 정신분석, 인지이론 그리고 그 당시 새로운 경향으로 대두되었던 상호작용주의에 이르기까지 각 사상을 대표하는 유아교육의 개념 및 원리들을 상세히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의 저서가 발간된 지 30년이 지난 오늘 유아교육 분야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이론이 바로 비고츠키(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이론입니다. 그가 죽은 지 약 80년이 되어가는 현 시점에서 왜 비고츠키의 이론이 새롭게 국내/외에서 재조명되고 있는 것일까요? 저자는 두 가지로 지적을 하고 싶습니다. 첫째, 비고츠키의 이론적 현대사회의 특성을 잘 담아낼 수 있기 때문이라는 점입니다. 현대사회는 국가 간, 인종 간, 종교 간 사회/문화 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상호이해와 존중, 협동 등이 강조되는 글로벌 시대입니다. 이러한 흐름의 근저에는 다양한 가치와 문화를 인정해야 한다는 의식이 전제되는데, 비고츠키 사상은 이와 맥을 같이하고 있습니다. 둘째, 비고츠키의 사상은 다른 심리학이나 발달이론들보다 교육 실제에 더 직접적이고 많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보편적인 학습과 발달보다는 특별하고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가진 개개인의 학습과 발달에 대한 이해와 사회적/상호적 공유, 공유된 이해를 역설하였기 때문이라 생각됩니다.

최근에는 비고츠키 유아교육이론의 재고찰과 함께 유아기에 적합한 호혜적 스캐폴딩(reciprocal scaffolding)에 대한 재개념화의 관점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유아교육과정에서도 스캐폴딩(scaffolding)은 교수-학습의 핵심으로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 속에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져 왔습니다. 그러나 유아기에 적합한 호혜적 스캐폴딩의 본질에 대한 실천적인 탐구가 그동안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습니다.

저자가 박사과정을 공부하는 동안 교육의 핵심이 되는 실제 수업 속에서 스캐폴딩의 실천적 모습은 어떠한가에 대한 물음과 그렇다면 유아들에게 적합한 스캐폴딩은 과연 어떠한 양태여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들이 본 서의 집필 동기로 크게 작용하였습니다.

그동안 유아교육계에서는 현장연구의 중요성과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교수-학습과정 즉, 교육 실제에 대한 질적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현장 교사들에 대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축적이 시급한 현 시점에서, 그간의 연구들이 대부분 교수-학습의 단편을 분석하는 양적 연구에 치중되어 왔음을 고려해 보았을 때, 이와 같은 변화는 매우 고무적인 변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본 서에서는 유아기에 적합한 호혜적 스캐폴딩의 본질이 되는 유아교사의 정서적 스캐폴딩의 이론과 실제를 함께 다루어 봄으로써 이론과 실제가 일치하는 정서적 스캐폴딩의 사례를 쌓기놀이 활동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제시하여 유아교사의 정서적 스캐폴딩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유아기에 적합한 호혜적 스캐폴딩의 본질을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습니다.

이 책은 저자의 학위논문인 <교사의 정서적 스캐폴딩(scaffolding)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 쌓기놀이 활동을 중심으로 ->를 <질적 연구 방법에 의한 유아교사의 정서적 스캐폴딩(scaffolding) 이해하기>로 표제를 바꾸었으며, 일부 내용을 수정 및 첨가하였음을 미리 알려 둡니다.

사람 사는 일이 늘 그렇듯이 이 책이 나오기까지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기에 가능 하였습니다. 저자가 질적 연구에 눈을 뜰 때까지 격려와 사랑으로 이끌어주시고, 항상 긍정적인 영감을 불어 넣어주시는 박사과정의 은사(恩師)님이신 성균관대학교의 진영은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더불어 이 책의 구성과 내용에 세심한 조언을 해주신 정덕희 교수님, 고장완 교수님, 주정흔 교수님, 김봉석 교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유치원의 바쁜 일정에도 성심성의껏 면담과 비디오 촬영을 흔쾌히 협조하여 주시고 현장을 열어주신 S유치원의 원장님과 신 선생님 그리고 지금쯤 초등학생이 되었을 해바라기반 유아들에게도 사랑의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항상 바쁘다는 핑계로 자주 찾아뵙지 못하지만 큰딸의 작은 결실들을 묵묵히 지켜봐 주시고 많은 사랑을 베풀어 주신 울산 언양에 계신 부모님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또한 원고 초안을 꼼꼼히 읽고 책에 들어가는 그림을 예쁘게 편집해 주신 박재일 선생님께도 고마움을 전하고 싶습니다.

끝으로 부족한 책이 나오기까지 오랜 시간 기다려주시고 원고를 좋은 책으로 만들어 주신 교육과학사의 정경식 부장님과 정성스럽게 편집을 맡아주신 편집부 임직원 여러분께도 감사드립니다.

이 책에 대한 부족한 점이 있다면 저자의 지식에 대한 일천함 때문이라 생각하며 많은 조언과 질책을 바랍니다. 아무쪼록 이 책이 유아교육 및 교육학 분야에서 질적 연구를 공부하는 학생들과 유아교사들이 유아들과 더불어 교실에서 유아들에게 적합한 호혜적 스캐폴딩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일에 작은 보탬이 될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합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3



Ⅰ 유아기에 적합한 스캐폴딩(scaffolding)이란?



1. 유아교육 분야에서 스캐폴딩의 현실태 13

2. 스캐폴딩의 교육적 가치 재발견 19



Ⅱ 비고츠키의 스캐폴딩(scaffolding)이론의 재개념화



1. 사회적 맥락에서 ZPD의 재해석 29

2. 유아교육 분야에서 스캐폴딩의 반성적 고찰 33

1) 유아교육 분야에서 스캐폴딩의 연구동향 33

2) 유아교사의 정서적 스캐폴딩 규명의 필요성 : 유아기에 적합한 호혜적 스캐폴딩(reciprocal scaffolding)의 본질 40



Ⅲ 참여관찰 : 생활공간/시간에 함께하기



1. 해바라기반 교사와 유아들과의 만남 59

1) S유치원의 선정과정과 교육적 환경 59

2) 해바라기반의 교사와 유아 73

2. 현장 자료의 수집과 분석 76

3. 유아교사의 정서적 스캐폴딩의 연구 과제 85



Ⅳ 신 교사의 생활세계



1. 해바라기반의 하루일과 90

2. 신 교사의 생활세계 115

1) 삶의 경험 : “생(生)과 사(死)의 순간” 115

2) 기질적인 성향 : “헤드(head)보다 서브(serve)로서의 역할 추구” 118

3) 교사로서의 신념체계(belief system) : “더불어 행복한 법 찾기” 121

4) 정서의 지식 기반 : “말이 아닌 이해의 귀” 123



Ⅴ 정서적 스캐폴딩 발생 맥락 : “놀이 동반자로서의 교사”



1. 블록, 추상적 비구조화의 놀잇감 : 공유하는 활동 129

1) “넓은 구조화의 상상놀이로” : 모방과 창조를 넘어 129

2) 쌓기놀이 속 성(性)의 조화 : 희열(喜悅) 공유 134

2. 새로운 ZPD의 생성 : 유아, 가능성의 존재 138

1) “감정의 공유” : 놀이 지속의 동력 138

2) “기다림의 시간” : 미래 유아와의 대화 141

3. “갈등과 책임감” : 사이에서 146

1) “제재밖에 못하는 현실” : 상호주관성 구축의 간극(間隙) 146

2) “교육 외적 현실” : 놀이, 가능성과 한계 150



Ⅵ 정서적 스캐폴딩 양상 : “더불어 행복한 교실 찾기”



1. 긍정적인 정서 톤(tone) : ZPD 내에 머물기 157

1) “따뜻한 반응” : 가능성의 존재로 157

2) 반영적 경청 : “놀이의 연합” 161

3) 놀이 흐름에 맞는 음성?몸짓 언어 : 놀이의 구조화 166

4) 끌어들인 흥미 유지 : 새로운 도전으로 170



2. “공유하는 감정” : 소통의 밭 177

1) 감정에 관심 갖기 : 관계를 위한 노력 177

2) “객관화가 아닌 있는 그대로 읽어주기” 179

3. 이해의 공유 : 언제나 만들어가는 것 184

1) ZPD 내의 돌봄을 통한 완충 184

2) 의미 구성의 공동체 207

4. 지속적인 정서적 스캐폴딩 : 자기조절의 씨앗 215

1) “자율성 부여” : 사회적 관계로의 동화 215

2) “견고함과 일탈의 재미” : 사이에서 221



Ⅶ 유아교사의 정서적 스캐폴딩의 교육적 이해



1. 관계의 맥락적 교육과정 : 호혜성의 본질 229

2. 소통, 체험구조의 공유 : 스캐폴딩의 진정성 233

3. 미지의 세계에 귀 기울임 : 이원을 넘어 다원적 관계로 238



Ⅷ 상호주관성의 원리



1. 상호주관성의 원리 245

1) 쌓기놀이 활동에서 교사의 정서적 스캐폴딩 발생 맥락 245

2) 쌓기놀이 활동에서 교사의 정서적 스캐폴딩 양상 248

3) 유아교사의 정서적 스캐폴딩의 교육적 이해 252

2. 맺음말 253



3. 남겨진 것들 256



참고문헌/259



부록/273

참여관찰 전사본 275

해치(Hatch, 2002)의 귀납적 자료 분석의 예 286

교사의 정서적 스캐폴딩 발생 맥락 의미추출의 분석범주 287



찾아보기/289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