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여성교육개론 (제3판)
여성교육개론 (제3판)
저자 : 주은희^곽윤숙^김재인^나임윤경^민무숙
출판사 : 교육과학사
출판년 : 2015
ISBN : 9788925409603

책소개

『여성교육개론』은 서론과 함께 전체 4부로 구성하였다. 여성들의 삶을 종적 횡적으로 보았을 때, 종적으로는 여성의 인생주기 전체를 다루는 연령적 구분이며, 횡적으로는 사회 환경적 측면에서 여성의 삶의 영역인 정치 경제 사회 문화 환경을 다루었다. 아울러 여성교육에 대한 이념적 고찰과 제도 및 정책적 고찰 등 모두 네 가지 영역을 기준으로 4부를 구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부는 여성과 교육에 관한 이론적 관점, 제2부는 여성의 생애주기와 교육, 제3부는 여성의 삶의 영역과 교육, 제4부는 여성교육정책으로 묶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서론과 함께 전체 4부로 구성하였다. 여성들의 삶을 종적 횡적으로 보았을 때, 종적으로는 여성의 인생주기 전체를 다루는 연령적 구분이며, 횡적으로는 사회 환경적 측면에서 여성의 삶의 영역인 정치 경제 사회 문화 환경을 다루었다. 아울러 여성교육에 대한 이념적 고찰과 제도 및 정책적 고찰 등 모두 네 가지 영역을 기준으로 4부를 구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부는 여성과 교육에 관한 이론적 관점, 제2부는 여성의 생애주기와 교육, 제3부는 여성의 삶의 영역과 교육, 제4부는 여성교육정책으로 묶었다.

이 책의 전체적 구조를 각 장별로 집필자와 함께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론은 평생학습사회와 여성교육으로 여성과 평생교육, 여성정책의 흐름에 대한 고찰과 함께 이 책을 쓰는 관점을 제시하였으며 김재인 박사와 곽삼근 박사가 집필하였다.

둘째, 제1부는 여성과 교육에 관한 이론적 관점으로 제1장 한국 여성교육이념의 역사적 변천은 조경원 박사가, 제2장 교육과 성(性): 삶의 영역 간의 갈등극복과 교육철학의 역할은 유현옥 박사가, 그리고 제3장 페미니스트 페다고지(Feminist Pedagogy)의 이론적 접근은 송현주 박사가 집필하였다. 제2부는 여성의 생애주기와 교육으로 제4장 아동기의 성 평등교육은 심미옥 박사가, 제5장 청소녀기의 교육과 진로개발은 곽윤숙 박사가, 제6장 성인 전기의 여성교육은 오재림 박사가, 제7장 성인 중기의 여성교육은 박성정 박사가, 그리고 제8장 노년기의 여성교육은 김재인 박사가 각각 맡아 집필하였다.

제3부는 여성의 삶의 영역과 교육으로 제9장 정치와 여성교육은 이해주 박사가, 제10장 경제와 여성교육은 곽삼근 박사가, 제11장 문화, 여성, 여성주의 교육은 나임윤경 박사가, 그리고 제12장 환경과 여성교육은 임선희 박사가 각각 집필하였다. 제4부는 여성교육정책으로 제13장 여성 교육자 현황 및 정책과 리더십 증진은 민무숙 박사가, 그리고 마지막 장인 제14장 여성교육정책의 변천과 과제는 정해숙 박사가 집필하였다.

이 책은 평생교육사 자격증 취득에 필요한 과목인 여성교육개론의 교재로 집필하였으나, 교육에 관심 있는 다른 모든 사람들에게 여성교육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앞으로도 많은 분들의 지적과 질책을 받아 계속 공부하며 보완하여 나가리라 다짐하며, 수정본을 내는 데 힘이 되어온 여성교육 소모임 학습의 의미를 다시 되새겨본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 론 평생학습사회와 여성교육 ········································11
1. 여성교육과 성 평등 ··························11
2. 평생학습사회에서의 여성교육 ················20

1부 여성과 교육에 관한 이론적 관점
제1장 한국 여성교육이념의 역사적 변천 ·························33
1. 전통사회의 여성교육이념 ·····················34
2. 근대사회의 여성교육이념 ····················43
3. 현대사회의 성평등교육이념 ···················53
4. 향후 성평등교육이념의 과제 ··················59

제2장 교육과 성(性): 삶의 영역 간의 갈등 극복과 교육철학의 역할 ··············67
1. 문제제기 ··································67
2. 삶의 영역 간의 갈등과 성(性) ·················69
3. 교육과 성(性) ······························81
4. 양자택일(兩者擇一)의 극복과 대안 탐색 ·········93

제3장 페미니스트 페다고지(Feminist Pedagogy)의 이론적 접근 ·····················99
1. 페미니스트 페다고지란 무엇인가 ··············99
2. 페미니즘에 관한 여러 가지 관점 ··············105
3. 다양한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이론 ·············114
4. 한국의 성평등교육의 전망과 과제 ·············120

2부 여성의 생애주기와 교육
제4장 아동기의 성평등교육 ············································127
1. 아동기의 성과 교육 ························127
2. 가정에서의 성역할 사회화 ···················129
3. 교육기관에서의 성과 교육 ···················132
4. 또래집단에서의 성역할 사회화 ···············138
5. 아동기 성평등교육의 방향 ···················144

제5장 청소녀기의 교육과 진로개발 ································151
1. 청소녀기의 정의와 발달과업 ··················151
2. 중등학교 여학생의 진로선택 ·················154
3. 중등학교 여학생 진로선택의 연구 경향 ·········159
4. 중등학교 여학생 진로개발의 방향 ·············171

제6장 성인 전기의 여성교육 ··········································179
1. 성인 전기의 의미 ··························180
2. 성인 전기(early adulthood) 여성의 발달 특성 ···181
3. 성인 전기 여성과 교육 ·····················185
4. 성인 전기 여성과 학교교육 ··················188
5. 대학생활 및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성별 불평등 ·· 197
6. 성인 전기 여성과 평생학습 ··················202
7. 성인 여성의 경력개발과 평생학습 ·············208

제7장 성인 중기의 여성교육 ··········································217
1. 성인 중기의 정의 및 교육의 필요성 ············217
2. 성인 중기 여성의 특성 ·····················220
3. 성인 중기 여성의 교육요구 ··················226
4. 성인 중기 여성교육 현황과 평생교육 과제 ······234

제8장 노년기의 여성교육 ···············································241
1. 고령화와 여성의 평생학습 ···················243
2. 노년기 여성교육 관련이론 ···················248
3. 노년기 여성교육 현황 ······················262
4. 노년기 여성학습의 문제 및 과제 ·············284

3부 여성의 삶의 영역과 교육
제9장 정치와 여성교육 ··················································299
1. 여성과 정치 ······························299
2. 여성들의 정치의식을 저해하는 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302
3. 여성의 정치참여 현황 ······················307
4. 여성 정치참여의 필요성 ·····················314
5. 여성들의 정치참여 활성화를 위한 과제 ·········318

제10장 경제와 여성교육 ··················································329
1. 여성 경제활동에 대한 이해 ··················330
2. 여성의 경제활동 현황 ······················336
3. 여성인적자원 활용의 특성과 문제 ·············341
4. 지식기반사회 여성 직업교육의 방향 ···········346
5. 여성인적자원개발의 과제 ···················349

제11장 문화, 여성, 여성주의 교육 ··································363
1. 가부장 문화, 여성, 여성주의 교육 ·············363
2. 근대 인식론 ······························367
3. 여성인력개발센터 프로그램 ··················369
4. 자녀 사교육을 통한 ‘사회주도의’ 모성구성 과정 ·· 379
5. 여성들의 보살핌 노동과 모성에 대한 여성주의 교육···································395

제12장 환경과 여성교육 ··················································403
1. 환경문제와 여성 ··························403
2. 여성과 환경에 관한 관점 ···················405
3. 주요 여성 환경활동 ························409
4. 우리나라 여성의 환경 활동 사례 ··············414
5. 여성환경활동 교육을 위한 과제 ···············421

4부 여성교육정책
제13장 여성교육자 현황 및 리더십 증진 ·························431
1. 여성교육자 현황과 실태 ·····················431
2. 여성교육자 관련 정책 ·····················442
3. 여성교육자의 리더십 증진과 향후 역할 ········449

제14장 여성교육정책의 변천과 과제 ·······························463
1. 여성교육정책 수립 배경 ·····················463
2. 여성교육정책의 태동과 변천 ·················467
3. 외국의 성 평등교육정책 ·····················481
4. 여성교육정책의 발전과제 ···················492

찾아보기/ 496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