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미술 교수 학습 방법 (배움을 여는)
미술 교수 학습 방법 (배움을 여는)
저자 : 한국교원대초등미술교육연구회
출판사 : 교육과학사
출판년 : 2015
ISBN : 9788925409696

책소개

▶ 이 책은 미술 교수 학습 방법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미술 교수 학습 방법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각 장의 내용은 몇 가지 체계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째, 해당 영역을 현장에서 지도하며 저자들이 일상적으로 경험한 상황을 간단한 이야기의 형식으로 가볍게 제시해 보았습니다. 현장의 교수 학습 장면을 떠올리며 가볍게 각 영역 교수 학습방법에 대한 고민을 시작해 보기 바랍니다. 제시된 장면뿐만 아니라 독자들이 체험하고 공감하는 현장의 교수 학습 장면을 떠올려 보는 열기 활동으로 이용해 보기 바랍니다. 둘째, 각 영역에 해당하는 일반적인 이론을 우선 소개하고 다루었습니다. 지나치게 이론적인 학술저서의 성격을 지양하고 현장 실천적인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깊이 있는 이론적 논의는 최소화하는 선에서 제시하였습니다. 논의된 이론적 담론에 대한 보다 구체적 탐색은 이 책의 저술 동기나 목적을 벗어나는 것 같습니다. 셋째,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수준에서 해당 이론들이 논의되고 있는 현실적 차원을 검토하고 논의해 보았습니다.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영역별 지도 내용을 중점적으로 파악해 보았습니다. 넷째, 이론적 논의와 현실적 차원의 논의를 반영하여 새롭게 활용 가능한 영역별 미술교수 학습방법을 제안하고 소개하였습니다. 다섯째, 제안한 새로운 미술교수 학습방법 활용을 위한 영역별 교수·학습 과정을 예시적으로 제시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에서는 미술교육 전문가뿐만 아니라 예비교사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수진을 위해 각 장의 내용을 지도하며 확장 적용해 보아야 할 고민거리를 예시적으로 제시해 보았습니다. 본문에 소개된 내용을 넘어 보다 확장된 차원에서 미술교수 학습방법에 대한 논의를 열어 가는 데 이용해 주기 바랍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 3

제1장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의 고찰 및 전환 모색 13
1. 미술교육의 의미와 가치 15
2. 미술교육에서 활용하는 일반적인 교수·학습 방법 18
1) 직접 교수법 … 21
2) 반응 중심 학습법 … 23
3) 창의적 문제 해결법 … 25
4) 귀납적 사고법 … 27
3. 미술 수업에서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전환 모색 29
1)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의 양상 … 29
2) 미술 수업에서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새로운 전환 모색 … 32

제2장 체험 영역 소통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39
1. 미술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체험 영역의 소통 41
2. 시각문화와 소통 42
3. 체험(소통)을 위한 인문학적 접근 중심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 45
4. 체험(소통)을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과정안(예) 47
1) 생활 속 시각 문화 찾아보고 시각 문화에 관심 갖기 교수·학습과정안 … 48
2) 느낌과 생각을 나타낼 수 있는 간단한 시각 이미지 탐색하기 교수·학습과정안 … 50
3) 시각 이미지의 의미 전달 방식 이해하고 활용하기 교수·학습 과정안 … 52
4) 시각 이미지의 제작 목적, 의도 알아보기 교수·학습 과정안 … 54

제3장 지각체험이 살아있는 놀이로서의 미술 교수·학습 방법 59
1. 미술과 지각 영역에 대한 교육적 배경 61
2. 미술교육에서의 지각에 대한 기본적 이해 63
3. 지각 체험을 위한 놀이 중심 지각 체험 교수·학습 방법 67
1) 놀이 중심 지각 체험 수업의 기초 원리 … 69
2) 놀이 중심 지각 체험 수업의 교수·학습 방법 … 72
4. 놀이 중심 지각 체험 교수·학습 과정안(예) 74
1) 감각 체험 놀이 중심 교수·학습 과정안(예) … 75
2) 지각 표현 놀이 중심 교수·학습 과정안(예) … 77
3) 지각과 개념의 관계 탐구 놀이 중심 교수·학습 과정안(예) … 81

제4장 조형 요소와 원리 지도를 위한 체험-표현 통합 교수·학습 방법 85
1. 조형 요소와 조형 원리 87
1) 조형 요소 … 88
2) 조형 원리 … 89
3) 미술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표현 영역의‘조형 요소와 조형 원리’… 93
2. 체험과 표현을 위한 조형 요소와 조형 원리 교수-학습 방법 96
1) 조형 요소의 이해를 위한 탐색 및 표현활동 … 100
2) 조형 원리의 이해 및 활용을 위한 탐색 및 표현활동 … 102
3) 조형 요소와 원리 지도 교수-학습 지도 모형 … 106
3. 조형 요소와 원리 교수·학습 과정안(예) 107
1) 주변 환경에서 조형 요소 탐색하기 교수·학습 과정안 예시 (예) … 109
2) 주변 환경에서 발견한 조형 요소와 원리를 활용하여 표현하기 교수·학습과정안 (예) … 110
3) 조형 원리의 종류에 따른 느낌 표현하기 교수·학습 과정안 (예) … 111
4) 조형의 요소와 원리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예) … 112

제5장 화육법에 기초한 한국화 표현 교수·학습 방법 117
1. 한국화에서 화육법(畵六法)이란 119
1) 기운생동 … 120
2) 골법용필 … 120
3) 응물상형 … 121
4) 수류부채 … 121
5) 경영위치 … 121
6) 전이모사 … 122
2. 미술과 교육과정과 화육법에 관련한 한국화 표현 교육내용 122
3. 한국화 표현 교수·학습 방법 124
1) 일반적인 한국화 표현 교수·학습 방법 … 124
2) 화육법에 기초한 통합적 한국화 표현 교수·학습 방법 … 125
4. 화육법에 기초한 한국화 표현 교수·학습 과정안(예) 127
1) 수묵화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과정안 (예) … 128
2) 수묵채색화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과정안 (예) … 129
3) 수묵담채화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과정안 (예) … 131
4) 채색화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과정안 (예) … 132

제6장 판화의 특성과 종류에 따른 발문 137
1. 판화학습과 발문에 대한 교육적 배경 139
1) 판화의 특성 … 139
2) 판화의 종류 … 140
3) 발문의 교육적 이해 … 142
2. 판화의 특성 이해를 위한 발문 143
1) 간접성 이해를 위한 발문 … 143
2) 복수성 이해를 위한 발문 … 144
3. 판화의 종류 이해를 위한 발문 145
1) 볼록판화 … 146
2) 평판화 … 155
3) 공판화 … 157
4. 판화 표현활동 교수·학습 과정안(예) 159
1) 모노타이프를 이용한 평판화 교수·학습 과정안(예-약안) … 160
2) 프로타주 기법을 이용한 볼록 판화 교수·학습 과정안(예-세안) … 162
3) 스텐실을 이용한 공판화 교수·학습 과정안(예-약안) … 164

제7장 미술영재들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169
1. 미술영재들의 특성과 교육과정 171
2. 미술영재교육과정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 175
3. 통합 프로그램에 따른 교수·학습 과정안 180
4. 미술-과학 통합 교수·학습 세부 과정안 183

제8장 스토리텔링으로 풀어가는 미술사 교수·학습 방법 189
1. 미술과‘미술사’영역에 대한 교육적 배경 191
2. 감상 영역 미술사에 대한 기본적 이해 193
3. 미술사 수업을 위한‘스토리텔링’중심 교수·학습 방법 196
4. 스토리텔링 중심 미술사 수업 교수·학습 과정안(예) 199
1) 반응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스토리텔링 중심 교수·학습방법(세안) … 200
2) 반응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스토리텔링 중심 교수·학습방법 2(약안) … 204
3) 귀납적 사고법을 적용한 미술사 스토리텔링 교수·학습방법(약안) … 206

제9장 수용미학을 바탕으로 한 미술 비평 교수·학습 방법 211
1. 미술과 감상 영역의‘미술 비평’에 대한 교육적 배경 213
1) 미술 비평에 대한 이해 … 215
2) 미술 비평 교수·학습 이론 … 218
2. 수용미학을 바탕으로 한 미술 비평의 의미 탐색 220
1) 수용미학 … 220
2) 수용미학을 바탕으로 한 미술 비평 … 222
3. 수용미학을 바탕으로 한 미술 비평 교수·학습 방법 224
4. 수용미학을 바탕으로 한 미술 비평 교수·학습 과정안(예) 227
1) 수용미학을 바탕으로 한 미술 비평 교수·학습 과정안 (예-1) … 228
2) 수용미학을 바탕으로 한 미술 비평 교수·학습 과정안 (예-세안) … 229
3) 수용미학을 바탕으로 한 미술 비평 교수·학습 과정안 (예-2) … 233
4) 수용미학을 바탕으로 한 미술 비평 교수·학습 과정안(예-3) … 235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