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한국의 STAINED GLASS (스테인드글라스: 빛과 색채의 향연)
한국의 STAINED GLASS (스테인드글라스: 빛과 색채의 향연)
저자 : 정수경
출판사 : 이담북스
출판년 : 2011
ISBN : 9788926818428

책소개

우리나라 스테인드글라스의 발전을 역사적 전환점을 기준으로 1, 2부로 나누어 서술했다. 스테인드글라스의 기원과 스테인드글라스 부흥의 역사를 서구 작품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1970년대 이후 한국 스테인드글라스의 역사를 시대별, 주요 작가별로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최초의 스테인드글라스의 이야기와 일제강점기의 스테인드글라스에 대해서도 다룬다.



특히 각 작가들의 작품을 시대별로 나누어 서술하는 데에 집중했다. 작가 한 명 한 명이 가지고 있는 특징적인 요소를 살펴보고 그들의 보편적 작품 세계와 스테인드글라스 작품이 변모하는 양상, 스테인드글라스의 새로운 가능성을 엿본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한국에 스테인드글라스가 도입된 지 어느덧 한 세기가 지났다. 1970년대 이후 유럽 현대 스테인드글라스 도입기를 기점으로 한다 해도 근 40년의 역사가 흐른 셈이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스테인드글라스 연구서인 이 책은, 그간 많은 발전을 이룬 한국 스테인드글라스의 역사적․예술적 가치와 그 의미를 미술사적인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있다.

한국 스테인드글라스의 100여년 역사를 조망한 이 책은 크게 1, 2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한국 가톨릭교회의 서구 스테인드글라스의 수용과 창조적 발전’에서는 우선, 스테인드글라스의 정의와 기원, 서구 중세 스테인드글라스의 전성기 및 그 이후의 쇠퇴기, 그리고 19세기에 다시 찾아온 스테인드글라스 부흥의 역사를 서구 작품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어서 우리나라에 최초로 스테인드글라스가 유입된 경위와 작품의 양식적 특성을 서울 명동 주교좌성당과 대구 계산동 주교좌성당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일제 강점기 관공서를 중심으로 설치되었던 일반 건축물의 스테인드글라스도 다루었다. 아울러 한국 작가들의 스테인드글라스 작품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그 출발을 알리는 여러 징후들에 대해서도 함께 개괄하였다.

제2부 ‘한국의 현대 스테인드글라스’에서는 이남규를 시작으로 전개되는 1970년대 이후 한국 스테인드글라스의 역사를 주요 작가별로 소개하고 있다.
한국의 스테인드글라스는 1970년대에 이르러 가톨릭교회를 중심으로 국내 작가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 새롭게 전개된 스테인드글라스의 추상적 경향을 선보였던 이남규와 남용우, 그리고 한국 가톨릭교회의 정서를 반영한 성서적 내러티브가 강조된 경향을 보인 최영심, 김겸순의 작품을 시대 흐름에 따라 서술하고 있다. 이어 ‘건축적 예술’로서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대규모 작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한 1990년대 이후의 한국 스테인드글라스의 흐름을 조광호, 마르크 등 국내의 대표적인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제시하였다.

한국 스테인드글라스의 다양한 표현양상과 새로운 도전을 소개한 이 책의 후반부에서는 교회 건축에만 국한되지 않고, 일반 건축물은 물론 공공조각, 퍼포먼스 등 새로운 영영과의 접목을 시도하며 그 표현의 장을 부단히 넓혀가고 있는 스테인드글라스의 새로운 가능성을 조망하였다. 저자는 시각 예술로서 스테인드글라스가 지닌 표현의 다양성과 스테인드글라스의 교육 및 작가양성의 중요성, 한국 스테인드글라스의 발전을 위해 요구되는 올바른 방향제시와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이 책을 맺고 있다.

이 책에는 다양한 부록도 실려 있다. 저자는 국내의 대표적인 스테인드글라스 작가들의 작품목록과 한국 스테인드글라스 연표 그리고 한국의 대표적인 스테인드글라스 공방을 소개하는 부록을 더해 이 분야에 관심이 있는 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서울 문화재단 ‘2010년 예술연구서적 발간 지원사업 선정 저서’로 선정된 이 책은 주제의 참신함과, 다년간에 걸쳐 여러 작가들을 만나고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작품을 촬영하고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연구해온 저자의 열의가 돋보이고 있다.

한국의 스테인드글라스는 그간 꾸준한 발전을 이루어왔음에도 관련 연구와 서적이 거의 전무한 실정이었다. 그러므로 국내에서 첫 선을 보이는 스테인드글라스 연구서인 이 책이 한국 스테인드글라스 예술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향후 발전 가능성과 올바른 방향 제시를 위한 하나의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일러두기
들어가는 글

제1부 : 한국 가톨릭교회의 서구 스테인드글라스 수용과 창조적 발전

1장. 서구 스테인드글라스의 기원과 역사
1. 위대한 빛과 색채의 발견
2. 빛을 찬미하는 예술에서 잃어버린 예술로 : 중세 고딕 시대~18세기 스테인드글라스
3. 19세기 스테인드글라스의 부활과 현대의 스테인드글라스

2장. 유럽 스테인드글라스의 유입과 전개
1. 파리 외방전교회의 교회 건축과 19세기 유럽 스테인드글라스의 유입
2. 서울 명동 주교좌성당과 대구 계산동 주교좌성당의 스테인드글라스
3. 일제강점기 일반 건축물의 스테인드글라스

3장. 한국 스테인드글라스의 전환기
1.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전후의 한국 가톨릭 미술과 스테인드글라스
2. 외국 수도회를 통해 제작된 스테인드글라스
3. 스테인드글라스 전문 공방의 설립

제2부 : 한국의 현대 스테인드글라스

1장. 빛을 그리는 회화에서 빛이 존재하는 회화로 ─ 이남규
1. 달드베르로 형상화된 인상주의 회화
2. 창에 그린 그림

2장. 한국적 정서가 담긴 현대 스테인드글라스 ─ 남용우
1. 독일 현대 스테인드글라스의 수용
2. 한국적 정서를 찾아가며

3장. 빛과 색으로 그려낸 성경 ─ 최영심, 김겸순
1. 현대적 감각으로 창조된 성경의 내러티브적 표현
2. 절제된 빛을 통한 성경 메시지의 전달

4장. 회화적 표현을 통한 창 개념의 확장 ─ 조광호
1. 건축공간에 실현된 거대한 빛의 회화
2. 암호, 작가 고유의 상징

5장. 분할된 색유리로 이루어낸 빛의 오케스트라 ─ 마르크
1.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담아
2. 색과 빛의 분할을 통한 음악적 공간
3. 상징-문자-명상

6장. 창작의 열린 장, 스테인드글라스
1. 순수 예술의 새로운 표현의 장
2. 과거와 현재가 소통하는 공간으로

7장. 교회 건축을 넘어서, 창의 개념을 넘어서
1. 일반건축의 스테인드글라스
2. 건축에서 독립된 스테인드글라스
3. 공연 예술과 스테인드글라스

8장 . 한국 스테인드글라스의 과제와 전망

나오는 글
미주
용어해설
도판목록
참고문헌
부록 1. 한국 스테인드글라스 연표
부록 2. 한국 스테인드글라스 주요 작가 작품 목록
부록 3. 한국의 대표적인 스테인드글라스 공방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