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교육사
교육사
저자 : 김선양
출판사 : 한국학술정보
출판년 : 2011
ISBN : 9788926824207

책소개

교육은 하나의 종합예술이다. 지난날 교육의 흔적을 되짚어 보며, 또 교육의 선각자들의 사상을 더듬어 보아, 우리의 이정표를 분명히 하자는 데 교육사연구의 의의가 있는 것이다. 를 1부 한국교육사, 2부 서양교육사로 나누어 엮어 보았다. 되도록 간략하고 초점적인 이해에 중점을 두었다. 사범대학 및 교직과를 이수하는 대학생들의 교재용으로 사용하는 데 그 주안점을 두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교육은 하나의 종합예술이다. 지난날 교육의 흔적을 되짚어 보며, 또 교육의 선각자들의 사상을 더듬어 보아, 우리의 이정표를 분명히 하자는 데 교육사연구의 의의가 있는 것이다.

「교육사」를 1부 한국교육사, 2부 서양교육사로 나누어 엮어 보았다. 되도록 간략하고 초점적인 이해에 중점을 두었다. 사범대학 및 교직과를 이수하는 대학생들의 교재용으로 사용하는 데 그 주안점을 두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부 한국교육사

서론
제1장 고조선시대의 교육
1. 고조선의 성립과 그 의의
2. 고조선시대의 교육

제2장 삼국시대의 교육
1. 삼국시대의 성립과 그 의의
2. 삼국시대의 학교교육
3. 신라통일시대의 교육

제3장 고려사회의 교육
1. 고려사회의 성격
2. 학교교육의 성립과 그 내용
3. 과거제도와 교육
4. 안향

제4장 조선사회의 교육
1. 조선사회의 성격
2. 조선사회의 교육제도
3. 교육규범의 정비
4. 과거제도와 교육
5. 성리학과 교육
6. 실학사상과 교육

제5장 조선말기의 교육
1. 조선말기의 시대배경
2. 근대학교의 성립과정
3. 일제 통감부와 교육
4. 안창호

제2부 서양교육사

제1장 희랍의 교육

1. 스파르타의 교육
2. 아테네의 교육
3. 소크라테스〈Socrates〉
4. 플라톤〈Platon〉

제2장 로마의 교육
1. 공화시대의 교육
2. 제정시대의 교육
3. 퀸틸리안〈Marcus Fabius Quintilian〉

제3장 중세의 교육
1. 원시기독교
2. 그리스도교의 교육
3. 수도원의 교육
4. 기사의 교육
5. 대학의 발달

제4장 문예부흥기의 교육
1. 이태리의 문예부흥
2. 인문주의의 교육
3. 에라스무스〈Desiderius Erasmus〉

제5장 종교개혁기의 교육
1. 종교개혁운동
2. 제수이트교단의 교육
3. 루터〈Martin Luther〉

제6장 실학주의의 교육
1. 실학주의의 운동
2. 실학주의의 교육
3. 실학주의의 학교교육
4. 코메니우스〈Johann Amos Comenius〉

제7장 계몽사조와 교육
1. 계몽사조의 교육
2. 범애파의 교육
3. 루소〈Jean Jacque Rousseau〉

제8장 신인문주의의 교육
1. 휴머니즘〈Humanism〉의 역사성과 제 입장
2. 신인문주의의 교육사상
3. 페스탈로치〈Johann Heinrich Pestalozzi〉
4. 헤르바르트〈Johann Friedrich Herbart〉
5. 프뢰뵐〈Friedrich Wilhelm August Fr?bel〉

제9장 국제노동운동과 교육
1. 인터내셔널〈International〉
2. 사회민주당의 발달
3. 오언〈Robert Owen〉

제10장 인도주의의 교육
1. 인도 및 인도주의
2. 톨스토이〈Leo Tolstoy〉
3. 간디〈Mahatma Gandhi〉

제11장 현대의 교육
1. 신교육운동
2. 현대교육사조
3. 듀이〈John Dewey〉
4. 러셀〈Bertrand Arthur William Russell〉

제12장 민주주의와 한국교육
1. 민주주의의 내용
2. 민주주의와 도의교육

결 론
참고문헌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