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위험사회를 넘어, 안심사회의 조건 (’위험사회 한국’의 소통현실 성찰 그리고 ’안전국가-안심사회’를 위한 과제)
위험사회를 넘어, 안심사회의 조건 (’위험사회 한국’의 소통현실 성찰 그리고 ’안전국가-안심사회’를 위한 과제)
저자 : 김원제
출판사 : 한국학술정보
출판년 : 2017
ISBN : 9788926879207

책소개

우리 사회 리스크 이슈에 대해 어떻게 소통할 것인가?
사회적 신뢰를 유지하고 바람직한 변화를 이루어가기 위한
‘안전국가-안심사회’를 위한 진단과 처방!

각종 재난이나 테러, 위험으로부터 국민들을 지키고 보호(안전)하는 것이 국가의 역할이다. 이른바 ‘안전국가’이다. 안전국가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시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 안전국가는 일종의 최종적인 목표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중간단계로 사회의 각종 불안요소를 줄여나감으로써 국민들로부터 안전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안전을 넘어 국민이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사회 즉 ‘안심사회’를 구축하는 것도 국가의 막중한 역할이다. 객관적 위험 그 자체를 줄이려는 노력도 중요하나, 위험에 대한 국민들의 주관적인 인식인 불안을 줄이려는, 즉 국민안심을 증대시키는 방안은 국민의 안전을 지향하는 정부의 필수적인 정책 활동이라고 하겠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우리 사회 리스크 이슈에 대해 어떻게 소통할 것인가?

사회적 신뢰를 유지하고 바람직한 변화를 이루어가기 위한

‘안전국가-안심사회’를 위한 진단과 처방!



각종 재난이나 테러, 위험으로부터 국민들을 지키고 보호(안전)하는 것이 국가의 역할이다. 이른바 ‘안전국가’이다. 안전국가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시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 안전국가는 일종의 최종적인 목표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중간단계로 사회의 각종 불안요소를 줄여나감으로써 국민들로부터 안전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안전을 넘어 국민이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사회 즉 ‘안심사회’를 구축하는 것도 국가의 막중한 역할이다. 객관적 위험 그 자체를 줄이려는 노력도 중요하나, 위험에 대한 국민들의 주관적인 인식인 불안을 줄이려는, 즉 국민안심을 증대시키는 방안은 국민의 안전을 지향하는 정부의 필수적인 정책 활동이라고 하겠다. 위험사회 극복을 위한 기본목표도 ‘안전사회(safety society)’가 아니라 ‘안심사회(relief society)’로 설정해야 할 것이다. 위험사회의 극복, 회복과정을 거쳐 안심사회로의 진전이 우리의 나아갈 방향이다.

한국사회가 지니는 위험을 공론화하고, 시스템적으로 대비하려는 정부차원의 노력들은 비교적 최근 활발해지는 편이지만, 여전히 학술적 차원에서의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기존 한국사회의 위험을 분석한 연구들은 서구의 위험사회이론에 입각하여 한국사회를 분석하거나, 특정 사고나 재난재해에 대한 단편적 분석에 그치고 있으며, 한국사회 위험시스템을 세밀하게 분석하여 대응방안을 제시하기보다는 대중적 처방의 제시에 머무르고 있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위험사회로서 한국의 현실을 상세하게 분석하고, 이를 통해 안심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실용성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시급하게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논의를 촉발하고 그 실체적 적용을 통해 ‘안전-안심 한국’의 조건 및 전략적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프롤로그



Chapter 1. 미래 한국사회를 위한 성찰적 과제, ‘리스크 코리아’



1. ‘위험사회’ 논의의 당위성

1.1. 위험한 사회를 사는 우리

1.2. 불신시대 극복을 위한 과제



2. 위험, 위기 그리고 재난에 대한 개념적 이해

2.1. 위험의 개념 및 속성

2.2. 주요 개념 이해, 위기와 재난



3. 위험사회 한국의 문제적 현실

3.1. 복합위험사회에 진입한 한국

3.2. 위험사회 극복을 위한 성찰적 과제



Chapter 2. 위험사회 한국의 소통현실에 대한 성찰적 진단



1. 2014년 세월호 참사

1.1. 한국사회의 모순이 잉태한 참사

1.2. 위험을 증폭시킨 건 언론



2. 2015년 메르스 사태

2.1. 낯선 전염병의 공포

2.2. 정부와 언론의 무책임

2.3. 교훈과 시사점



3. 원자력을 둘러싼 갈등 이슈

3.1. 원자력 리스크의 속성

3.2. 원자력발전을 둘러싼 사회적 논쟁

3.3. 교훈과 시사점



4. 디지털 리스크, 그리고 IoT 문명 리스크

4.1. 접속의 시대, 리스크에 불안한 사이버 세상

4.2. 디지털 리스크 이슈들

4.3. 리스크 예방 및 대응 전략



5. 생활 위험 이슈들

5.1. 도시생활 위험 이슈

5.2. 식품 위험 이슈

5.3. 먹는 물 위험 이슈

5.4. 가습기 살균제 사망 이슈

5.5. 기후변화 및 지구온난화 이슈



Chapter 3. 위험사회를 넘어, 신뢰시스템 기반 안심사회 구현



1. ‘안전한 국가’ 그리고 ‘안심사회’

1.1. 우리는 안전한 국가에 살고 있는가?

1.2. 안전과 안심 개념

1.3. 안심사회를 향하여



2.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2.1. 시스템 차원의 접근 필요성

2.2. 거버넌스 개념 및 접근법

2.3. 리스크 거버넌스 및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거버넌스



3. 신뢰시스템의 구축

3.1. 신뢰시스템 구축의 필요성

3.2. 리스크 상황과 신뢰

3.3. 신뢰시스템 구축방안 및 조건



Chapter 4. 안심사회의 조건, 사회적 신뢰회복과 커뮤니케이션 합리화



1. 사회적 신뢰회복과 소통 강화

1.1. 사회적 상호작용과 신뢰

1.2. 신뢰와 커뮤니케이션의 관계

1.3. 커뮤니케이션 기반 갈등관리

1.4. 커뮤니케이션 합리화 기반 사회적 신뢰회복 사례들

1.5. 시사점(그리고 다시 세월호…)



2. 위기관리 활동과 커뮤니케이션 합리화

2.1. 위기관리 프로세스

2.2. 위기관리 활동과 커뮤니케이션

2.3. 국민소통과 민주적 거버넌스



3.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3.1.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필요성과 원칙

3.2.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개념 이해

3.3.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모델 및 방법론

3.4.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원칙

3.5.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실행전략 및 지침

3.6. 소셜미디어와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에필로그

참고문헌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