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신학, 정치를 다시 묻다 (근대의 신학-정치적 상상과 성찬의 정치학)
신학, 정치를 다시 묻다 (근대의 신학-정치적 상상과 성찬의 정치학)
저자 : 윌리엄 T. 캐버너
출판사 : 비아
출판년 : 2019
ISBN : 9788928645886

책소개

종교와 정치, 그 복잡한 관계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
근대가 제시하는 신학적 상상력의 문제를 폭로하는 문제작

정치 신학자 윌리엄 캐버너의 저작. 정치 영역에서 종교적 열정이 권력을 휙득하지 않도록 종교를 사적 영역에서만 다루어야 한다는 세속정치론에 반대해 이러한 ‘이야기’가 그리스도교를 모방하면서도 비튼, 뒤틀린 ‘신학적 상상력’의 산물임을 폭로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오늘날 많은 사람은 ‘종교’가 개인의 신념에 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공적 영역에 들어오면 다른 언어로 번역되거나, 종교적 신념을 정치화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여긴다. 과거의 종교 전쟁이나 오늘날 근본주의자들의 테러는 그러한 종교적 신념이 정치로 연결되었을 때 얼마나 혼란을 일으킬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예로 들면서 말이다. 하지만 이러한 틀 자체가 또 하나의 종교적 ‘믿음’, 혹은 일정한 이야기를 깔고 있는 것은 아닌가? 그리고 종교를 사적 영역으로 몰아낸 시기에는 과연 전쟁과 같은 폭력적인 사태들이 과거보다 덜 일어났는가? 캐버너는 이러한 물음을 가지고 근대 정치이론들이 갖고 있는 신학적 성격을 분석하고, 어떻게 근대 국가가 그리스도교 교회를 모방해 하나의 조직체(몸)로서 사람들에게 구원론을 제시했는지, 그리고 그러한 과정 속에서 공/사 구분을 나누어 그리스도교 교회를 사적 영역에 몰아넣었는지, 그 결과 발생한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분석한다.
독자들은 이 저작을 통해 ‘근대화’로 표현되는 거대한 물결이 실제로 어떠한 과정이었는지 새롭게 숙고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됨과 동시에 그리스도교라는 종교가, 그리고 그 종교가 전하는 가르침과 실천이 왜 개인의 신념으로 축소될 수 없는지, 왜 오늘날 그리스도교인 뿐만 아니라 무수한 사상가들이 다시금 그리스도교라는 원천에서 ‘지금, 여기’를 넘어설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 있는지를 가늠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인문독자와 그리스도교 독자 모두에게 도전을 주는 신선한 정치 신학 저작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종교와 정치, 그 복잡한 관계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

근대가 제시하는 신학적 상상력의 문제를 폭로하는 문제작



정치 신학자 윌리엄 캐버너의 저작. 정치 영역에서 종교적 열정이 권력을 휙득하지 않도록 종교를 사적 영역에서만 다루어야 한다는 세속정치론에 반대해 이러한 ‘이야기’가 그리스도교를 모방하면서도 비튼, 뒤틀린 ‘신학적 상상력’의 산물임을 폭로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오늘날 많은 사람은 ‘종교’가 개인의 신념에 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공적 영역에 들어오면 다른 언어로 번역되거나, 종교적 신념을 정치화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여긴다. 과거의 종교 전쟁이나 오늘날 근본주의자들의 테러는 그러한 종교적 신념이 정치로 연결되었을 때 얼마나 혼란을 일으킬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예로 들면서 말이다. 하지만 이러한 틀 자체가 또 하나의 종교적 ‘믿음’, 혹은 일정한 이야기를 깔고 있는 것은 아닌가? 그리고 종교를 사적 영역으로 몰아낸 시기에는 과연 전쟁과 같은 폭력적인 사태들이 과거보다 덜 일어났는가? 캐버너는 이러한 물음을 가지고 근대 정치이론들이 갖고 있는 신학적 성격을 분석하고, 어떻게 근대 국가가 그리스도교 교회를 모방해 하나의 조직체(몸)로서 사람들에게 구원론을 제시했는지, 그리고 그러한 과정 속에서 공/사 구분을 나누어 그리스도교 교회를 사적 영역에 몰아넣었는지, 그 결과 발생한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분석한다.

독자들은 이 저작을 통해 ‘근대화’로 표현되는 거대한 물결이 실제로 어떠한 과정이었는지 새롭게 숙고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됨과 동시에 그리스도교라는 종교가, 그리고 그 종교가 전하는 가르침과 실천이 왜 개인의 신념으로 축소될 수 없는지, 왜 오늘날 그리스도교인 뿐만 아니라 무수한 사상가들이 다시금 그리스도교라는 원천에서 ‘지금, 여기’를 넘어설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 있는지를 가늠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인문독자와 그리스도교 독자 모두에게 도전을 주는 신선한 정치 신학 저작이다.





종교와 정치, 그 복잡한 관계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

근대가 제시하는 신학적 상상력의 문제를 폭로하는 문제작



“근대 정치는 광석에서 철 원소를 분리하듯 이전에 부적절하게 뒤섞여 혼동을 일으키던 성스러운 것과 세속적인 것을 적절히 분리해냄으로써 발견된 것이 아니다. 근대 정치는 발견된 것이 아니라 상상되고 발명된 것이다. 1장에서 보여주겠지만 ‘종교’를 초월자를 향한 개인의 내면적 경향으로 보는 관점 또한 상당히 최근에 만들어진 발명품이다.

정치와 종교를 상상의 행위로 보는 작업은 그 역사적 우연성을 의식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작업을 통해 정치와 종교가 오늘날 있는 방식처럼 계속 있어야 할 필요는 없다는 희망을 품게 될 수 있다. 또한 이 작업은

정치적 상상과 신학적 상상을 같은 토대에 두는 것이기도 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신학적 상상은 대안적 시공간을 빚어낼 기회를 얻게 된다.” - 본문 中



과연 근대는 어떠한 인류 사회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가? 통념적으로 사람들은 근대에 일어난 변화 중 하나로 그리스도교의 사사화를 든다. 16세기 사상가들은 종교가 정치에 악영향만을 미쳤다고 판단했으며 정치와 종교의 완전한 분리, 나아가 종교 자체에 회의를 품었다. 중세 시기 일어난 십자군 전쟁, 이교도에 대한 탄압, 그리고 이른바 ‘종교 전쟁’은 그러한 회의를 정당화시켜주는 종교적 폭력의 대표적인 사례였다. 그리고 이후 국가와 민족 사이에서 갈등이 일어날 때, 사회 안에서 갈등이 일어날 때 사람들은 종교적 광신주의가 다시금 고개를 들었다고 생각했고 또 다시 비극의 시대를 맞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든 종교의 힘을 제어해야 한다고, 종교가 정치에 관여하지 못하게끔 막아야 한다고 믿었다. 하지만 과연 이러한 진단은 적절한 것일까? 그리고 이는 역사, 인류 사회에서 일어나는 폭력의 근원, 작동 원리를 적절하게 성찰하는 것일까?

는 이러한 종교와 정치의 관계에 대한 통념적인 인식에 근본적인 도전을 제기하는 저작이다. 정치 신학자 윌리엄 캐버너는 홉스, 루소, 로크와 같은 근대 초기 정치 사상가들의 저작을 ‘다시’ 읽어내고 ‘종교 전쟁’을 다시 검토해 근대에 일어난 전환은 국가라는 몸이 교회라는 몸을 대체한 것, 국가를 바탕으로 하는 신학-정치적 상상력이 교회를 바탕으로 하는 신학-정치적 상상력을 대체한 사건으로 진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교회는 그리스도교라는 하나의 ‘종교’로 재발명되었으며 교회의 구원론을 비틀어 모방한 국가의 구원론이 사람들의 정치적 상상력을 사로잡게 되었다고 말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종교 전쟁’은 신앙의 열정에 타오르던 이들이 벌인 폭력 사태가 아니라 국가가 교회를 자신 아래 두기 위해 무수한 폭력을 감내한 사건이었다. 그리고 초기 근대 사상가들은 이를 ‘신학적’으로 정당화했다고, 그리고 무수한 그리스도교 사상가들 조차 이러한 신학적 틀에 종속된 채 교회의 역할을 고민하게 되었다고 캐버너는 진단한다.

독자들은 이 저작을 통해 ‘근대화’로 표현되는 거대한 물결이 실제로 어떠한 과정이었는지, 정치와 종교의 관계를 새롭게 숙고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됨과 동시에 그리스도교라는 ‘종교’가, 그리고 그 종교가 전하는 가르침과 실천이 왜 개인의 신념이라는 현대적 종교 개념으로 축소될 수 없는지, 왜 오늘날 그리스도교인 뿐만 아니라 무수한 사상가들이 다시금 그리스도교의 다양한 원천에서 ‘지금, 여기’를 넘어설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 있는지를 가늠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인문독자와 그리스도교 독자 모두에게 도전을 주는 신선한 정치 신학 저작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문과 감사의 말

서론: 시공간에 대한 규율된 상상들



1. 국가가 구세주라는 신화

I. 그리스도교 이야기

II. 국가 이야기

III. 종교 전쟁

IV. 종교의 창조

V. 왜 국가는 우리를 구원하는 데 실패했는가?

VI. 성찬의 대항-정치를 향하여



2. 시민 사회가 자유공간이라는 신화

I. 머레이와 동조자들

II. 공적 역량 달성

III. 문제들

IV. 공적 공간으로서 교회



3. 세계화가 보편적이라는 신화

I. 보편적인 것의 지배

II. 이탈의 규율

III. 제병 안의 세계

IV. 공간적 이야기로서 성찬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