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막스 베버 종교사회학 선집
막스 베버 종교사회학 선집
저자 : 전성우
출판사 : 나남
출판년 : 2008
ISBN : 9788930083393

책소개

종교의 대부활을 고민하다!

'나남신서' 제1339권 『막스 베버 종교사회학 선집』. 첨단과학이 이루어낸 21세기는 아이러니컬하게도 종교의 학문적, 정치적 대부활로 출발했다. 원인과 배경에 상관없이 종교는 여전히 우리의 삶에 막강한 힘을 발휘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상황에서 이 책은, 20세기 독일 태생의 현대사회학 사상가 막스 베버의 종교사회학 사유의 정점이 담긴 논문 4편을 통해 종교적 초월의 세속적 의미를 탐구한다. 특히 현대인을 지배하는 가장 숙명적 힘인 근대자본주의가 16~17세기 서유럽에서 발생하게 된 원인을 기독교에서 추적하고 있다.

또한 기독교뿐 아니라, 유대교, 유교, 도교, 불교, 힌두교 등의 세계종교로 분석할 대상을 넓혀, 그들의 세계관 구조를 합리주의라는 기준으로 분석한다. 종교로 인한 문명간 대립과 갈등의 원인뿐 아니라, 화해의 가능성도 모색하고 있다. 그러한 여정을 거침으로써, 세속화된 21세기에 종교의 의미를 성찰한다. 종교의 대부활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나침판이 되어주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종교적 초월의 세속적 의미는 무엇인가?



최첨단과학과 최첨단 세속 문화로 무장한 21세기는 아이러니컬하게도 종교의 학문적, 정치적 대부활로 시작하였다. 이슬람권은 말할 나위도 없고, 미국은 최첨단의 과학문명과 가장 세속화된 자본주의 문화를 자랑하지만 미국인의 70% 이상은 여전히 성경의 창조 이야기를 믿으며, 천사와 악마가 있다고 믿는다. 그 원인과 배경이 무엇이든 간에 종교는 여전히 우리의 삶에서 막강한 힘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다. 그럼 그러한 종교적 초월의 세속적 의미는 무엇인가? 의미상실의 첨단 과학시대에 종교는 무엇을 뜻하는가? 글로벌 시대에 문명간 충돌은 왜 발생하며, 화해의 가능성은 어디에 있는가?

이런 질문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장 먼저 찾는 것이 막스 베버의 종교사회학 관련 문헌일 것이다. 이제 그 중에서도 가장 먼저 찾게 될 책이 출간되었다. 베버의 종교사회학적 사유의 정수만을 모은<막스 베버 종교사회학 선집>이 그것이다.



지금으로부터 약 1세기 전, 그러니까 20세기가 출범하면서 베버가 세계종교를 연구하면서 제기했고, 또 지금도 계속하여 제기되는 관심사는 크게 세 가지였다. 첫째, 16~17세기에 근대 자본주의가 왜 중국, 중동 등 당시의 고도 문명권에 비해 후진성을 면치 못했던 서유럽에서 발생하였는가? 개신교의 금욕주의 윤리가 자본주의 특유의 노동윤리, 기업가 윤리, 생활태도 등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이 베버의 그 유명한 대답이다. 왜 20세기 후반에 동아시아에서 자본주의가 성공적으로 발전했는가라는,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학계의 주된 관심사였던 질문도 베버의 관심사를 그대로 이어받은 것이었다. 조만간에 왜 21세기에 세계 자본주의 패권은 동아시아로 넘어오게 되었는가 하는 화두가 유행할는지도 모른다.

둘째, 베버는 분석대상을 개신교만이 아니라 유교, 도교, 불교, 힌두교, 유대교 등으로 확장했고, 분석 내용도 단순히 종교론이 아니라 비교종교문명론이라 부를 만한 것으로 확장되었다. 즉 기독교론이 아니라 기독교 문명론, 유교론이 아니라 유교문명론이 비교론적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여기서 베버는 세계종교들의 세계관 구조를 합리주의라는 기준에 의거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고등종교는 나름의 합리성을 보여주는데, 해당 종교와 해당 사회의 어떤 영역이, 그리고 어떤 방향으로 합리화되었는가는 그 종교의 발생과 발전을 주도하는 사회계층의 관념적 이해관계와 현실적 이해관계에 의해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오늘날 글로벌 시대의 문명간 대립과 갈등의 원인뿐 아니라 화해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도 결정적 중요성을 갖는 분석적 출발점이다.

셋째, 베버는 일종의 과학과 세속화의 시대에 종교의 의미에 대해 성찰했다. 오늘날 국내외의 여러 정황이 보여주듯이, 우리가 종교를 무엇이라고 규정하든, 그리고 종교적 신앙의 동기와 배경이 무엇이든 간에, 종교는 현존하는 인류의 절대 다수에게 여전히 커다란 호소력을 발휘하는 정신적 힘이라는 점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그렇다면 그 힘은 무엇에 기인하는가?

베버에 의하면, 인간은 물질적 생존의 욕구만 갖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 존재로서의 삶의 궁극적 의미와 가치를 찾으려는 실존적 욕구도 갖고 있다. 인간은 경제적 잉여가치만이 아니라 문화적 잉여가치에 대한 욕망도 있다는 말이다. 종교는 구원의 욕구로 대변되는 이 문화적 잉여가치를 충족시켜 주는 고도로 정교한 의미체계이다. 근대의 과학적 합리주의는 이런 욕구를 충족시키던 기존의 종교적 윤리적 가치체계를 무력화시켰지만, 그 자신은 이 실존적 욕구를 창출시킬 능력이 없다. 바로 이것이 첨단과학의 21세기에 종교가 부활하는 근본이유인 것이다. 종교의 부활에 수반되는 근본주의적 폭력의 폐해가 있지만, 그것은 종교의 부활에 눈을 돌려야 할 이유가 아니라 오히려 그 부활을 한층 더 진지하게 분석해야 할 이유가 된다.

이렇듯 베버가 제기한 문제들은 모두다 1세기 후에 다소 변형된 형태로 다시 제기되고 있다. 오늘날 그 문제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는 우리 시대가 풀어야 할 과제이다. 그리고 그 설명방식도 베버와는 다른 것이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베버를 지지하든 찬성하든 간에, 문제를 이해하고 풀어가는 데 베버라는 높은 산을 피해갈 수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그 산 속에서 길을 잃지 않으려면 일종의 지적 지도가 필요하고, 베버 자신의 육성으로 된 것이면 더 말할 나위 없을 것이다. 이 책은 바로 이 육성으로 된 지도 역할을 해줄 것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역자서문_5



신분집단, 계급 그리고 종교 15

1. 농민층의 종교성 18

2. 초기 기독교의 도시적 성격 24

3. 귀족과 종교성: 기사적 신앙전사(騎士的 信仰戰士) 29

4. 관료층과 종교성 37

5. 시민계층의 종교성 40

6. 경제적 합리주의와 종교적-윤리적 합리주의 44

7. 소시민층의 매우 다양한 종교적 태도: 수공업자층의 종교성 47

8. 특권으로부터 가장 많이 소외된 계층의 윤리적 구원종교성 54

9. 구원종교의 계급규정성 및 신분규정성 59

10. 유대교적 그리고 힌두교적 천민-종교성: 원한 71

11. 지식인층이 종교에 미친 영향 85

12.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에서의 소시민적 주지주의 99

13. 상류층 주지주의와 평민적 주지주의, 파리아적 주지주의와 종파적 종교성 109

14. 서구에서 종교적으로〈계몽된 자들〉의 교단형성 116

세계종교와 경제윤리: 비교 종교사회학적 시도

서 론 119

1. 문제제기: 종교, 경제윤리, 사회계층 123

2. 종교발생의 심리적-사회적 동인 131

3. 종교적 합리화 과정과 사회계층 151

4. 종교적 엘리트 집단의 성격과 경제윤리 168

5. 방법론적 관점 180

6. 지배조직으로서의 종교 공동체 185



세계종교와 경제윤리: 비교 종교사회학적 시도

중간고찰:종교적 현세거부의 단계와 방향에 대한 이론 201

1. 현세거부 동기의 합리적 체계화 작업이 가진 의미 205

2. 금욕주의와 신비주의의 유형론 209

3. 현세거부의 방향 213

4. 현세거부의 제 단계 265

5. 신정론의 세 가지 합리적 형태 274



종교사회학 논문집

서 언 279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