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포스트모던 시대의 평생교육학
포스트모던 시대의 평생교육학
저자 :
출판사 : 집문당
출판년 : 2005
ISBN : 9788930312257

책소개

포스트모던 시대의 평생교육학을 연구한 책. 평생교육은 진화하는 교육개념의 현단계적 표현이라는 흐름 속에서 몇 가지 인식론적 전제들을 담았다. 생애에 걸친 학습은 학교교육을 통해서는 지원되기 어렵다. 이 책은 전통적인 학교교육학과의 철저한 구분 속에서 평생교육학의 이론적 구조를 탐색해 보아야 하는 이유를 규명하고 있다.
[kyobo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
[-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장] 평생교육학의 이론적 기초
1. 들어가며
2. 평생교육학의 연구문제와 방법론
3. 평생교육이 가져다 준 세 가지 파동
1) 제1차 파동
2) 제2차 파동
3) 제3차 파동
4. 평생교육학지식의 체계화
1) 평생교육개념론
2) 평생교육행태론
3) 평생교육체제론
4) 평생교육방법론

[제2장] 근대 국가주의 교육체제와 그 해체
1. 들어가며
2. 사회적 강령으로서의 교육 이데올로기
3. 근대 교육담론
1) 학습의 식민화
2) 장미의 이름
4. 학문적 규율과 정치적 통제의 결합
1) 근대 학교: 학문적 규율과 정치적 복종의 결합
2) 시스템으로서의 근대 학교

[제3장] 포스트모던 평생교육학의 전제조건
1. 근대라는 초안정 시스템을 넘어서
2. 지식혁명과 새로운 인식틀
3. 포스트모던 에피스테메
1) 주체의 규율 구속성으로부터의 해방
2) 도구적 합리성을 넘어서
3) 지식경계와 탈분화(De differentiation): 경계 넘기
4. 담론의 정치(politics of discourse)와 평생교육
5. 사회적 학습 관리체제의 전환: '제한적 형태'에서 '확장적 형태'로

[제4장] 정초주의의 붕괴와 학습주의의 탄생
1. 들어가며
2. 학습주의의 관점
3. 학습 연구의 생물학적 경계 넘기
4. 학습 연구의 중층성과 복합적 학습이론체제
5. 물리세계와 개념세계 그리고 학습 연구의 이중 접근
6. 마음의 진화: 학습주의적 시각에서의 학습생태학

[제5장] 교육과 경험의 사회적 진화
1. 어떤 수업 이야기
2. 경험과 세계의 관계
3. 평생학습: 자신의 경험을 구성해 가는 총체적 과정
4. 개인과 사회의 변증법
5. 사회적 학습양식(Social mode of learning)과 진화
1) 마음의 생산과 재생산
2) 사회 진화론과 학습양식 비판
3) 경험의 진화, 문화적 경험, 그리고 학습의 반란

[제6장] 교육적 경험과 평생교육
1. 교육과 경험의 변화
2. 교육적 경험의 조건
1) 경험의 성장성
2) 경험의 계속성
3) 경험의 자기 주도성
4) 경험의 비판성
5) 교육과 훈련의 구분
3. 평생교육의 조건: 실존, 관계, 경험
1) 의사소통
2) 관계중심사고
3) 인격적 앎
4) 상호 공진화

[제7장] 학습사회의 복잡생태계적 성격
1. 평생학습이라는 광야
2. 학습사회를 이해하는 한 가지 관점: 학습생태계
1) 근대 교육 관리체제의 해체
2) 복잡 적응계로서의 교육체제
3) 학습사회: 자기 생성적 복잡생태계
3. 복잡계로서의 학습사회
1) 근대 합리성의 한계
2) 복잡계로서의 학습사회
3) 포스트모던 교육체계의 복잡생태적 특징
4. 생명구조로서의 학습사회
1) 학습사회의 생명성
2) 생명 순환구조
3) 유기적 결합
5. 네트워크적 구조
1) 학습사회의 파생경로
2) 네트워크적 체제 구성
3) 네트워크적 지식생태계
4) 학습의 맥락적 동기화(contextual synchronization)

[제8장] 평생교육 신교육체제의 전제와 맥락
1. 학교개념의 변화와 평생학습사회의 등장
1) 학습사회의 교육양식
2. '시스템'으로서의 평생교육
1) 교육의 시스템적 성격
2) 복잡계(complex system)로서의 평생학습사회
3) 교육 시스템과 평생교육 시스템
3. 평생교육 시스템의 전제조건
1) 유비쿼터스 학습사회의 사회적 학습 관리체제
2) 학습자 재조명: 자기 주도적 평생학습자
3) 학문 지향/교과중심학교모형 일변도 탈피
4) 새로운 교육적 관계 형성: 교육에서 학습으로
5) 새로운 구조의 탐색: 창발적 네트워크
6) 다양한 교육경로의 구성과 공공성 확보
7) 경계 허물기: 평생교육체제로의 학교 재편

[제9장] 평생교육 신교육체제 모형
1. 평생교육제도의 구축
1) 체제와 제도
2) 개방형 평생교육제도
3) 개념구조
2. 의무교육 이후의 평생교육체제의 종합 구상
1) 평생교육체제에서의 생애학습분기점의 설정
2) 성인기초교육을 순환의무교육 트랙으로 명시화
3) 고등학교의 성격 재규정
4) 종합적 중등 후 교육체제: 고등교육, 평생교육, 그리고 직업능력 개발의 연계
5) 통합적 평생학습 인증을 통한 복합학력 인증체제
3. 개념 구현을 위한 필수조건
1) 필수조건 1: 학제의 기본특성 개방성, 복합성, 순환성
2) 필수조건 2: 창발적 네트워크(network) 기반 체제구조
3) 필수조건 3: 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과 평가
4) 필수조건 4: 복합적 학력 인증방식
5) 모형 구상: 개요
6) 시나리오: 전략
4. 개방형 평생교육체제 구축 4대 주요 전략
1) 국가핵심능력표준의 구축과 생애교육과정 재규정
2) 시수제, 연령제를 능력 인증제로 전환
3) 대안적 학력체제와 자격 능력 학력 호환체제 구축
4) 교육 관리의 교육부 일변도 탈피
5. 개방형 평생교육체제 구축 9대 세부 전략
1) 전략 1: 투입요인중심에서 산출요인중심으로 전환 "과목영역별 핵심표준능력 인증제"
2) 전략 2: 학습 리소스 네트워크를 통한 "시스템 학교"개념 도입
3) 전략 3: 능력표준을 만족시키는 "대안 프로그램 교육과정 활성화"
4) 전략 4: 대학 예비학교로서 "칼리지형 고등학교" 도입
5) 전략 5: post K 9 "특성화 학교부처별 관리방식" 도입
6) 전략 6: 고등학교 대학 산업체를 연결시키는 "학교 클러스터제" 확대 도입
7) 전략 7: 개방적 고등교육체제를 위한 "비전통적 학위 인증체제" 활성화
8) 전략 8: 비형식, 무형식 학습 인증을 위한 "경험학습 인증제" 실시
9) 전략 9: 능력표준에 기초한 "교육계좌제" 완성

[제10장] 평생교육 연구의 지향성

참고문헌
[yes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