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사회복지와 위험관리
사회복지와 위험관리
저자 : 노충래
출판사 : 집문당
출판년 : 2009
ISBN : 9788930314275

책소개

사회복지기관 및 실무자들에게 ‘안전한 업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이론적 논의와 함께 실제적 지침을 제공하는 책이다.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다양한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위험관리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인식하며, 나아가 위험관리에 대한 이해를 높여 궁극적으로 개인 및 기관, 사회제도적 차원에서 안전한 업무환경을 조성하여 보다 질적인 서비스, 책임 있는 서비스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방안을 다루고 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전통적으로 대인서비스를 제공해 온 사회복지사들은 클라이언트의 폭력에 매우 취약하였으며, 사회복지기관의 이용자 및 입소자들과 함께 사회복지기관의 종사자들도 기관 내외에서 발생 가능한 갖가지 안전사고에 충분한 대비책을 갖추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기관 내 직원 간 폭력 및 성희롱, 공금횡령 및 전산정보의 유출 등 보안과 관련해서도 종종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위험관리의 미흡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는 클라이언트 개인뿐 아니라 사회복지 종사자 및 가족, 그리고 기관에게도 신체적.정신적.심리적.재산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책은 사회복지기관 및 실무자들에게 ‘안전한 업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이론적 논의와 함께 실제적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저술되었다. 이 책에서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다양한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위험관리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인식하며, 나아가 위험관리에 대한 이해를 높여 궁극적으로 개인 및 기관, 사회제도적 차원에서 안전한 업무환경을 조성하고 보다 질적인 서비스, 책임 있는 서비스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발생가능한 위험의 유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위험관련 이론, 국내외 동향을 살펴보았다. 2부는 위험관리의 유형에 따른 사정과 개입전략을 다루었으며, 3부에서는 위험관리의 향후 과제를 개인 및 기관, 법적.제도적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부 사회복지의 위험(Risk)에 대한 이해



제1장 사회복지현장의 제반위험

1절 현대사회복지와 폭력

2절 사회복지와 안전사고

3절 사회복지와 보안



제2장 위험 및 위험관리에 대한 이해

1절 위험의 개념과 유형

1. 위험의 개념

2. 위험 요인의 분석

3. 사회복지현장의 위험 유형

4.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위험 대상과 범위

5.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위험의 영향

2절 위험관리의 개념 및 위험관리 이론

1. 위험관리의 필요성

2. 위험관리의 개념 및 위험관리 이론

3. 위험관리 과정과 위험사정

3절 위험관리와 윤리적 딜레마

1. 사회복지 실천과 윤리적 갈등

2. 사회복지의 위험관리와 윤리적 갈등



제3장 국내외 위험관리의 실태

1절 미국

1. 위험관리 동향과 실태

2. 위험관리 대책

2절 영국

1. 위험관리 동향과 실태

2. 위험관리 대책

3절 일본

1. 위험관리 동향과 실태

2. 위험관리 대책

4절 한국

1. 위험관리 동향과 실태

2. 관계법령 및 체계

3. 위험관리 대책방안



제2부 위험관리의 사정과 개입전략



제4장 클라이언트 폭력

1절 클라이언트 폭력의 개념 및 유형

1. 클라이언트 폭력의 개념

2. 클라이언트 폭력의 유형

3. 클라이언트 폭력이 사회복지사에게 미치는 영향

2절 클라이언트 폭력의 위험요인

1. 클라이언트의 개인적 요인

2. 환경적 요인

3. 피해자로서의 사회복지사의 요인

3절 클라이언트 폭력의 위험사정

1. 클라이언트 폭력의 사정 요인

2. 신변안전에 대한 지침

4절 폭력발생에 대한 개입전략

1. 예방적 차원의 개입방안

2. 사후개입방안



제5장 직장 내 폭력

1절 직장 내 폭력의 개념 및 유형

1. 직장 내 폭력의 개념

2. 직장 내 폭력의 분류

2절 직장 내 폭력발생의 위험요인

1. 개인적 요인

2. 사회적 요인

3절 직장 내 폭력 위험관리 사정

4절 직장 내 폭력발생에 대한 개입전략



제6장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사고와 재난

1절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안전사고

1. 안전사고와 재난

2. 분야별 안전사고 유형

2절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요인

1. 클라이언트 요인

2. 사회복지사 요인

3. 환경적 요인

3절 안전사고의 사정지침

1. 아동.청소년 시설의 안전사고 사정

2. 노인복지시설의 안전사고 사정

4절 사고 발생에 대한 개입전략

1. 일반적인 안전사고의 위험관리

2. 긴급 시 대응체제의 정비

3. 위험예지훈련

4. 응급환자 발생 및 안전사고 시 조치사항

5. 사망자에 대한 조치사항

5절 시설 안전관리에 대한 지침

1. 안전관리의 개념

2. 사회복지시설의 안전관리

3. 아동.청소년 관련 시설의 안전관리

4. 노인복지시설의 안전관리

5. 장애인복지시설의 안전관리

6. 정신장애인시설의 안전관리

7. 안전사고 발생의 기록 및 매뉴얼화



제7장 사회복지현장에서의 보안

1절 사회복지현장에서의 보안 문제

2절 보안사고 위험요인

3절 보안사고 대처 및 개입전략

1. 보안사고의 대처

2. 보안사고 대처를 위한 개입전략



제3부 사회복지 위험관리 과제



제8장 사회복지 위험관리 과제

1절 개인 차원의 위험관리 과제

1. 신체적.정신적.심리적 건강관리

2. 위험관리 인식 향상

2절 기관 차원의 위험관리 과제

1. 안전한 업무환경의 조성

2. 위험관리 인식향상 및 적정 예산의 확보

3절 법적.제도적 차원의 위험관리 과제



참고문헌

부록

찾아보기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