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디자인교육과 창의성: 융합과 집중
디자인교육과 창의성: 융합과 집중
저자 : 김선영
출판사 : 집문당
출판년 : 2013
ISBN : 9788930316101

책소개

융합집중형 디자인교육과 디자이너의 창의적 방법론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책으로, 어린이와 청소년의 미적 체험과 디자인 교육의 중요성, 문화와 전통의 가치를 전달하는 디자인의 표현, 디자인 아이디어 개발과 스토리텔링 및 스케치 기법의 중요성, 비선형적 사고체계의 재구성, 에듀테인먼트와 디자인교육을 고찰하였다. 특히 디지털 환경과 가상학습 환경이 융합된 멀티미디어 교육과 이-러닝 환경의 교육방법과 효과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융합집중형 디자인교육과 디자이너의 창의적 방법론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책으로, 어린이와 청소년의 미적 체험과 디자인 교육의 중요성, 문화와 전통의 가치를 전달하는 디자인의 표현, 디자인 아이디어 개발과 스토리텔링 및 스케치 기법의 중요성, 비선형적 사고체계의 재구성, 에듀테인먼트와 디자인교육을 고찰하였다. 특히 디지털 환경과 가상학습 환경이 융합된 멀티미디어 교육과 이-러닝 환경의 교육방법과 효과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기업 및 산업과 밀접한 디자인 분야에서의 창의력은 실무적응능력으로 연계되므로 반드시 기업 연계 교육과 국제적 감각의 배양을 위한 워크숍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 이상적인 연계과정을 보여주는 해외 선진 교육기관의 교육방식과 저자가 직접 체험한 워크숍의 사례를 통해 방법적 모형을 제언하였다. 라이프스타일과 디자인의 관계에서는 스타일과 트렌드 교육을 위해 공간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양식사, 조형언어, 스타일 변천사를 간략하게 서술하였다. 또한 IT 기술과 공간디자인 분야에서 대두되고 있는 체험 공간마케팅을 중심으로 디자인과 첨단정보기술의 적용사례를 고찰하였다.
또한 LED 조명, 유비쿼터스, 인터페이스의 개념이 적용된 브랜드숍 디자인과 공간마케팅, 첨단나노기술인 CNT 필름을 이용한 투명 사인보드와 제품디자인의 개발 사례를 통해 디자인과 신소재, 신기술의 관계를 언급하였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 서론

2. 디자인교육과 창의성의 의미

3. 미적 체험과 디자인교육

3.1. 미술교육과 디자이너의 미적 감각
3.2. 미술교육과 교육과정
3.3. 영국의 디자인교육정책

4. 창의적 발상을 위한 트레이닝
4.1. 정보화사회와 디자이너의 창의성
4.2. 디자인 실무와 아이디어 발상

5. 문화와 디자인교육
5.1. 디자이너의 창의성과 문화기술(Culture Technology)
5.2. 디자인과 문화 콘텐츠와의 결합

6. 디자인 아이디어 표현을 위한 스토리텔링(storytelling)
6.1. 스토리텔링의 시각적 표현
6.2. 공간 표현과 스토리텔링
6.3. 비선형적 사고체계와 아이디어의 재구성
6.4. 에듀테인먼트와 디자인교육

7. 디지털문화와 디자인교육
7.1. 디자이너와 디지털 트레이닝(digital training)
7.2. 디자인교육과 영상매체
7.3. 멀티미디어 학습환경과 디자인교육
7.4. 디자인 프로세스와 디지털 표현기법
7.5. 공간 개념과 디지털 미디어(Digital Media)

8. 디자인교육과 이-러닝(e-Learning)
8.1. 이-러닝과 학습환경
8.2. 창의적 발상과 이-러닝 콘텐츠 연구

9. 디자인산업과 디자인교육
9.1. 통합자, 커뮤니케이터로서의 디자이너의 역할
9.2. 유럽과 북미지역의 디자인교육
9.3. 디자인교육과 실무 적응력

10. 라이프스타일과 공간 환경디자인
10.1. 미적 의식변화와 디자인의 가치
10.2. 디자인 패러다임과 공간 양식

11. 도시 공공환경과 공간디자인
11.1. 공간디자인과 이미지 그리기
11.2. 공간디자인 프로세스
11.3. 도시 어메니티 환경(amenity environment)과 공공디자인
11.4. 도시 브랜드와 오픈 스페이스

12. 공간디자인과 감성마케팅
12.1. 감성체험과 브랜드스케이프(Brandscape)
12.2. 브랜드 가치를 전달하는 공간디자인
12.3. 브랜드 마케팅과 플래그십 스토어
12.4.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환경 구축
12.5. 브랜드 스토어의 물리적 환경과 디자인 요소
12.6. 브랜드 스토어의 감성 디자인 사례

13. 브랜드 스토어와 IT 환경(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13.1. 비주얼 콘텐츠(visual contents)와 유비쿼터스 환경(ubiquitous environment)
13.2. 브랜드 랜드마크(brand landmark)와 공간 인터페이스(spatial interface)

14. 디자인과 첨단소재
14.1. 플라스틱 소재와 환경요소
14.2.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과 공간 연출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