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미와 아트, 대중문화와 소통하다
미와 아트, 대중문화와 소통하다
저자 : 양해림
출판사 : 집문당
출판년 : 2014
ISBN : 9788930316491

책소개

21세기는 흔히 소통, 융합, 통섭, 퓨전의 시대라 일컫는다. 이는 어느 하나의 전공영역에 깊게 몰두하여 파묻힌다는 것이 어렵게 되었다는 것을 뜻한다. 이 책은 미와 예술, 그리고 대중문화와의 소통형식을 다루어 보았다. 전반부에는 미와 예술에 관한 이론적인 내용들을 담았고, 후반부에는 대중문화와 대중예술과의 연관성을 다루었다. 즉 전반부에는 미와 아트의 탄생, 미의 모방, 미의 구성, 예술과 과학과의 관계를, 후반부에는 문화와 대중문화의 상호연관성, 퓨전현상, 대중예술과 포스트모더니즘, 예술과 이미지, 미디어 아트, 문화콘텐츠, 한류 등을 다루었다. 이러한 내용으로 구성하였기에 책을 읽을 때 독자들이 장(章) 순서대로 읽어갈 필요는 없다. 따라서 편리한 대로, 손길 가는 대로 읽어도 무방하게 이 책을 편성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21세기는 흔히 소통, 융합, 통섭, 퓨전의 시대라 일컫는다. 이는 어느 하나의 전공영역에 깊게 몰두하여 파묻힌다는 것이 어렵게 되었다는 것을 뜻한다. 이 책은 미와 예술, 그리고 대중문화와의 소통형식을 다루어 보았다. 전반부에는 미와 예술에 관한 이론적인 내용들을 담았고, 후반부에는 대중문화와 대중예술과의 연관성을 다루었다. 즉 전반부에는 미와 아트의 탄생, 미의 모방, 미의 구성, 예술과 과학과의 관계를, 후반부에는 문화와 대중문화의 상호연관성, 퓨전현상, 대중예술과 포스트모더니즘, 예술과 이미지, 미디어 아트, 문화콘텐츠, 한류 등을 다루었다. 이러한 내용으로 구성하였기에 책을 읽을 때 독자들이 장(章) 순서대로 읽어갈 필요는 없다. 따라서 편리한 대로, 손길 가는 대로 읽어도 무방하게 이 책을 편성했다.

최근 시중에 미와 예술에 관한 서적은 즐비하게 널려 있으나, 대중문화와 관련하여 기술한 책은 그다지 흔치 않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은 21세기 소통, 융합, 통섭의 시대를 맞아 시험적 형식일 수 있다. 이는 움베르토 에코가 “21세기는 갖가지 문화가 뒤섞인 잡종적 혼합이 될 것”이라고 예언한 것과 같다. 퓨전(Fusion)의 사전적 의미는 융해?용융?융합, 합병, 제휴 등의 의미로 쓰이는데, 말하자면 여러 가지 장르가 함께 뒤섞이는 잡종적 혼합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21세기 들어서도 문화의 잡종교배현상은 지속적으로 나타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다양한 장르간의 결합으로 새로운 문화가 탄생했고, 예술문화에서 탈장르 바람은 세계 정신사의 흐름 속에서도 포착되었다. 탈장르의 현상은 문화예술인들이 그동안 엘리트적이고 고답적인 문화를 지양하고 보다 대중적인 문화에, 중심부보다는 그동안 소외되어 왔던 주변부에 관심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른바 탈장르 현상의 근저에는 주변부의 자기 목소리 찾기가 깊숙이 담겨져 있다.

흔히 대중과 대중문화는 예술을 파괴하고 세상의 진선미를 부정하면서 사이비 예술?문화만이 판치게 되는 주범으로 몰아붙이기도 한다. 그래서 상업성?저속성?획일성을 띤 문화만이 대중들에게 영입하게 되어 진정한 예술가는 설 자리를 잃을 것이라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종종 들려온다. 또한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디딤돌이 되었던 지금까지의 전통문화가 점차 사라져 가면서 상업적인 대중문화가 잠식하여 공동체가 와해될 위기에 놓였다는 목소리도 무성하다. 좋든 싫든 우리는 예술과 대중문화를 적대관계로 설정하는 경우를 종종 목격하곤 했다. 그러나 대중이 지배하는 대중매체의 시대가 이미 도래했다는 사실을 기꺼이 인정하여 새로운 문화시대를 차곡차곡 준비해야 하지 않을까?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장 미의 오디세이란?

-미의 오디세이는 어디서 기원했을까?

-미의 탄생: 예술과 주술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아트는 어디서 유래했을까?



제2장 그리스 비극의 탄생: 니체의 시선

-그리스 비극은 어디서 기원했을까?

-아폴론과 디오니소스의 예술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아폴론과 디오니소스는 어떻게 화해할까?



제3장 예술과 미메시스는 어떤 관계일까?

-미메시스는 어디서 기원했을까?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제4장 바움가르텐의 근대미학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미학의 선구자, 바움가르텐의 감성적 학문이란?



제5장 미와 예술, 미적인 것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미와 예술, 미적인 것의 의미란 무엇일까?

-미의 유형은 어떻게 분류될까?



제6장 예술과 과학은 상호 유사성이 있을까?

-예술의 과학화는 어떤 패러다임으로 전개되어 왔을까?

-예술과 과학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제7장 플럭서스와 백남준의 비디오 아트는 무엇일까?

-플럭서스 운동(Fluxusbewegung)이란 무엇일까?

-백남준의 비디오 아트란 무엇일까?



제8장 예술과 이미지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이미지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영상이미지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제9장 비트의 세계란 무엇일까?

-디지털 미디어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미디어 아트란 무엇일까?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콘텐츠는 어떤 관계일까?

-문화콘텐츠와 디지털 미디어는 어떻게 확산될까?



제10장 매체가 곧 메시지인가?

-매체가 사회를 바꿀 수 있을까?

-핫미디어와 쿨미디어는 어떻게 다를까?



제11장 21세기에도 문화.예술의 잡종적 교배가 순항할까?

-왜 퓨전(Fusion)현상일까?

-왜 포스트모더니즘은 탈장르를 말할까?

-예술과 포르노는 서로 적대적 관계일까?



제12장 문화와 대중문화는 어떤 관계일까?

-문화란 무엇일까?

-대중문화란 무엇일까?

-대중문화와 이데올로기는 어떤 관계일까?



제13장 대중매체와 대중예술은 어떤 관계일까?

-대중매체는 어떻게 도래했을까?

-디지털 TV는 예술의 기능을 확산해 나갈 수 있을까?

-대중예술과 광고는 어떤 관계일까?

-대중음악은 어떻게 전파되어 왔을까?



제14장 한류열풍은 순항할까?

-일본의 대중문화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미국의 대중문화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한류열풍이란?

-한류열풍은 순항할까?



참고문헌

찾아보기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