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전통생태지식과 세대소통: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사회생태기억 탐구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사회생태기억 탐구)
전통생태지식과 세대소통: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사회생태기억 탐구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사회생태기억 탐구)
저자 : 김고운
출판사 : 집문당
출판년 : 2021
ISBN : 9788930318921

책소개

다음 세대에게 우리가 전해야 할 것은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만이 아니다. 늦기 전에 걱정을 잠재울 새로운 길을 찾는 일이 시급하다. 특히 생태학자와 사회학자, 환경교육자들에겐 인류의 지속가능한 삶을 모색하는 시대적 사명이 안겨진 셈이다. 그러기 위해 지구 생태계와 구성요소들이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하고 그것들과 다양한 관계를 원만하게 이끌기 위한 지식과 지혜를 준비해야 다. 어느 사회에서나 위기의식은 있을 수 있다. 그럴 때 소통과 참여는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전통생태지식과 세대소통』의 저자들은 이 책에서 전통생태지식을 소재로 세대소통과 참여가 사회-생태계의 회복탄력성 자원으로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본다. 우리나라에 만연한 도농 격차에 따른 세대 간의 괴리를 확인하고 대학의 과학 교육 방법의 한계를 회복탄력성과 환경교육의 담론 내에서 재구성한 이 책이 다양한 질문과 고민거리를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다음 세대에게 우리가 전해야 할 것은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만이 아니다. 늦기 전에 걱정을 잠재울 새로운 길을 찾는 일이 시급하다. 특히 생태학자와 사회학자, 환경교육자들에겐 인류의 지속가능한 삶을 모색하는 시대적 사명이 안겨진 셈이다. 그러기 위해 지구 생태계와 구성요소들이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하고 그것들과 다양한 관계를 원만하게 이끌기 위한 지식과 지혜를 준비해야 하겠다.

어느 사회에서나 위기의식은 있을 수 있다. 그럴 때 소통과 참여는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우리는 전통생태지식을 소재로 세대소통과 참여가 사회-생태계의 회복탄력성 자원으로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에 만연한 도농 격차에 따른 세대 간의 괴리를 확인하고 대학의 과학 교육 방법의 한계를 회복탄력성과 환경교육의 담론 내에서 재구성한 이 책이 다양한 질문과 고민거리를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장 들어가며

1. 사회-생태계적 접근

2. 사회-생태계의 지속가능성

3. 회복탄력성 자원으로서의 전통생태지식

4. 전통생태지식의 특성



제2장 시민과학으로서 전통생태지식의 가능성과 과제

1. 사회-생태계 개념틀로 해석하는 시민과학

1) 사회-생태계의 다양한 시공간 규모

2) 적응주기와 교란

2. 보은 개안마을의 물길 복원 사례

1) 마을숲의 형성

2) 물길의 인위적 변화

3) 1980년과 1998년의 큰 홍수

4) 1999년 물길 복원 사업

3. 전통생태지식의 시민과학적 요소와 과제



제3장 전통생태지식 연구의 교육적 접근을 위한 현장조사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 방법

1) 반구조화된 면담과 사회생태기억 모형의 활용

2) 참여관찰

3. 전통생태지식 연구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소

1) 제도권 교육

2) 대안적 삶에 대한 관심

3) 부모의 영향

4) 전공의 영향

4. 전통생태지식 연구의 전과 후

1) 경관 요소에 대한 인식의 확장

2) 경계를 지닌 공간으로서 전통마을

5. 전통생태지식 연구의 교육적 의의: 장소성 형성과 관찰의 일상화

1) 장소성

2) 일상에서의 관찰



제4장 정규 수업과정으로서 전통생태지식 교육

1. 생태학 교과과정의 한계

1) 생태 교과 이론의 한계와 전통생태지식의 상호 보완적 역할

2) 실내학습의 한계와 야외학습의 필요성

2. 전통생태지식 교육을 위한 학습모형 개발

1) 교과목과 교재 선정

2) 실내학습: 역전학습 방식을 통한 생태 지식 습득

3) 야외학습: 세대 간 소통을 장려하는 현지조사와 성찰적 글쓰기

3. 학습모형 적용의 소결과

1) 실내학습 결과

2) 야외학습 결과

3) 개인 답사기 분석결과

4. 종합적 고찰

1) 학습모형과 에세이 쓰기를 통한 학습 효과와 생태소양의 고취

2) 회복탄력성과 학습, 환경교육의 연결



제5장 전통생태지식 학습모형을 활용한 지속가능발전 교육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1) 지속가능발전 교육과 문화유산교육

2) 생태학과 전통생태지식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절차와 방법

4. 결과 및 논의

1) 개인 차원의 학습 효과

2) 집단적 차원에서의 학습 효과

5. 문화유산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통합적 접근 방안의 교육적 의의와 종합적 고찰

6. 결론 및 제언



제6장 나가며



참고문헌



부 록

답사기. 외암마을, 그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며

1. 외암마을과의 첫 만남

2. 외암마을의 경관 요소와 생태학

3. 외암마을의 관광

조별보고서 1. 외암마을 물길과 회복탄력성

1. 들어가며

2. 외암마을 인공 물길의 과거와 현재

3. 외암마을 물길의 회복탄력성

4. 개선방안

5. 결론 및 의의

조별보고서 2. 보은 임한리 소나무 마을숲의 건강성 연구

1. 서론

2. 사전조사

3. 임한리 소나무숲의 건강성 평가

4. 원인분석

5. 해결방안

6. 결론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