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한 권으로 꿰뚫는 소예언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만나는 12예언자)
한 권으로 꿰뚫는 소예언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만나는 12예언자)
저자 : 김창대
출판사 : IVP
출판년 : 2013
ISBN : 9788932812762

책소개

『한 권으로 꿰뚫는 소예언서』는 열두 권의 소예언서가 단순히 개별적으로 나열된 책이 아니라, 신학적 의도에 따라 의미 있는 구조와 패턴으로 배열되었으며 성도들에게 ‘인애와 공의와 의의 삶을 촉구하는’ 잘 짜인 책임을 보여 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한 권으로 꿰뚫는 소예언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만나는 12 예언자

‘소예언서 열두 권이 관통하는 한 권의 책’이라는 전제 아래
21세기를 진단하고 소예언서를 목회 현장과 접목시킨 선구적인 책!


“그리스도인들의 머릿속에서 변두리에 머물던 소예언서가
구약의 핵심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탁월한 입문서다”
_ 김지찬, 총신대 구약학 교수

소예언서는 교회 강단에서나 성도들의 성경 읽기에서 구약의 변방으로 치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 책은 열두 권의 소예언서가 단순히 개별적으로 나열된 책이 아니라, 신학적 의도에 따라 의미 있는 구조와 패턴으로 배열되었으며 성도들에게 ‘인애와 공의와 의의 삶을 촉구하는’ 잘 짜인 책임을 보여 준다.

한 권의 구조로 풀어낸 소예언서 12권!

오늘날 구약신학은 본문 배후에 있는 역사적 사건의 재구성보다는 최종 완성된 책이 정경적 문맥 속에서 지니는 신학적 메시지에 더 관심을 기울이는 추세다. 이 같은 패러다임 변화에 발맞추어 이 책은 한 권의 통일된 책이라는 관점에서 소예언서 메시지의 핵심이 무엇인지를 규명한다.

실제로 소예언서를 한 권의 책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면, 처음에 위치한 호세아서가 하나님과 백성들 간의 사랑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끝에 나오는 말라기서도 하나님과 백성들 간의 언약적 사랑에 초점을 맞추면서 진정으로 하나님을 사랑하고 경외할 것을 권고한다. 그리고 소예언서의 정중앙에 위치한 미가서는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은 하나님 사랑인 인애를 가슴에 품고 하나님의 뜻을 실천하는 공의의 삶을 사는 것이라고 선언한다(미 6:6-8).

또한 소예언서는 종말의 구원 프로그램으로서 장차 메시아가 올 것이고 요엘서의 예언처럼 성령이 부어질 것을 내다본다. 메시아의 오심과 성령의 부으심의 목적은 종말에 백성들이 궁극적으로 공의와 인애와 의의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소예언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된 메시지로 공의와 인애와 의의 삶을 살 것을 촉구한다.

그래서 구약 성경의 소예언서가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의미에 대해 저자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소예언서는 우리에게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을 체험해서 하나님을 진정으로 사랑(인애)하고, 자발적으로 하나님의 뜻을 실천하는 공의의 삶을 살도록 촉구합니다. 그런 인애와 공의의 삶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는 상태가 ‘의’입니다. 이런 점에서 소예언서는 오늘날 값싼 은혜에 안주하는 한국 교회에 귀중한 경종을 울립니다.
물론 여기서 공의와 의의 삶은 우리의 공로가 아닙니다. 이 삶은 우리 자신이 아무것도 아닌 존재(nothing)임을 직시하고 하나님의 사랑을 느낄 때,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하여 자발적으로 맺는 열매입니다. 따라서 그것은 하나님의 사랑이 원인이 되어 맺히는 열매이기에, 우리의 공로가 아니라 하나님의 선물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이 열매는 하나님을 진정으로 사랑하는 사람이 자연스럽게 수행하는 결과물이기 때문에, 성도라면 그 사랑이 공의와 의의 삶으로 드러나게 되어 있습니다.
소예언서는 이 점을 매우 일관되게 제시합니다. 더욱이 인애를 바탕으로 공의와 의의 열매를 맺는 사람은 무엇보다도 심령이 가난한 자이며, 자신이 하나님 앞에서 아무것도 아닌 존재임을 철저하게 자각하는 자임을 강조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소예언서는 하나님의 사랑과 우리의 의무를 새롭게 조명해 주는 책입니다.”

■ 추천의 말

‘소예언서’는 교계나 학계에서 그 중요성이 제대로 평가되지 못한 분야였다. 이 책은 그동안 소외되었던 이 분야의 연구 풍토를 쇄신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는 소예언서 전체를 통전적이며 공시적인 관점에서 고찰하였으며, 오늘에 적용할 신학적 메시지를 선명하게 부각시켜 주었다. 이 책은 한국 교회 강단을 풍성하게 하고 구약 성경 전체를 바르게 볼 수 있는 안목을 한층 향상시켜 줄 것이다.
_권혁승, 서울신대 구약학 교수

김창대 교수는 학문적 성과를 쉽게 설명해 내는 장점을 지닌 구약학자다. 그의 저서 「한 권으로 꿰뚫는 소예언서」는 소예언서 열두 권을 한 권의 책으로 이해하려는 최근 구약신학의 학문적 성과를 한국 독자들을 염두에 두고 평이하게 풀어내면서, 그동안 그리스도인들의 머릿속에서 그저 변두리에 머물던 소예언서가 구약의 핵심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탁월한 입문서다. 목회자와 신학생은 물론 일반 그리스도인들도 읽어볼 필요가 있는 책이기에 기쁜 마음으로 추천한다.
_김지찬, 총신대 구약학 교수

개혁주의 구약학자가 “소예언서 열두 권은 신학적 통일성이 관통하는 한 권의 책”이라는 전제 아래 21세기를 진단하고 목회 현장을 접목시킨 선구적인 책이다. 소예언서의 중앙이자 신학적 중심축인 미가 6:6-8을 중심으로 각 권의 구조와 내용을 분석하고 신학적 메시지를 설명할 뿐 아니라, 유대인의 전통에서는 왜 소예언서를 한 권의 책으로 간주하는지, 왜 순서가 호세아서부터 말라기서까지인지를 정직하게 씨름한 한국 초유의 쾌저(快著)이다.
_김진섭, 백석대 부총장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서론: 왜 소예언서를 읽어야 하는가?

1장. 소예언서 개관
2장. 호세아
3장. 요엘
4장. 아모스
5장. 오바댜
6장. 요나
7장. 미가
8장. 나훔
9장. 하박국
10장. 스바냐
11장. 학개
12장. 스가랴
13장. 말라기

참고문헌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