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종교개혁의 역사
종교개혁의 역사
저자 : 디아메이드 맥클로흐
출판사 : CLC(기독교문서선교회)
출판년 : 2011
ISBN : 9788934111634

책소개

세계적인 교회사 학자인 디아메이드 맥클로흐 교수가 저술한 이 책은 여러 면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인용하는 자료의 방대함, 다방면에 걸친 매우 깊이 있는 연구, 독보적인 역사 서술 방식, 종교개혁에 관한 독특한 역사적, 신학적 평가 등을 통해 세계적으로 종교개혁사 분야에서 최고의 탁월한 책으로 평가받았다. 미국비평가협회상, 올프슨 역사상, 브리티시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것은 당연한 결론이라 할 수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종교개혁 이전의 로마 가톨릭으로부터 시작하여, 루터와 칼빈, 츠빙글리, 존 녹스 등으로 이어지는 유럽 전역의 종교개혁의 발생과 진행과정,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해서 저자만의 탁월하고 깊이 있는 역사적, 신학적 안목으로 종교개혁사를 서술하였다. 특히 객관적인 역사서술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과 여러 인물들의 신학적 사상에 대한 그만의 독특한 평가가 이 책의 장점으로 손꼽힌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세계적인 교회사 학자인 디아메이드 맥클로흐 교수가 저술한 이 책은 여러 면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이 책은 인용하는 자료의 방대함, 다방면에 걸친 매우 깊이 있는 연구, 독보적인 역사 서술 방식, 종교개혁에 관한 독특한 역사적, 신학적 평가 등을 통해 세계적으로 종교개혁사 분야에서 최고의 탁월한 책으로 평가받았다. 미국비평가협회상, 올프슨 역사상, 브리티시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것은 당연한 결론이라 할 수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종교개혁 이전의 로마 가톨릭으로부터 시작하여, 루터와 칼빈, 츠빙글리, 존 녹스 등으로 이어지는 유럽 전역의 종교개혁의 발생과 진행과정,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해서 저자만의 탁월하고 깊이 있는 역사적, 신학적 안목으로 종교개혁사를 서술하였다. 특히 객관적인 역사서술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과 여러 인물들의 신학적 사상에 대한 그만의 독특한 평가가 이 책의 장점으로 손꼽힌다. 특히 3부에서 종교개혁 당시의 사회생활을 다룬 내용은 저자만의 방대한 연구를 통한 독특한 자료들이 많이 소개되어 있다.
이 책을 통하여 종교개혁의 역사가 새롭게 재발견되고, 재해석됨으로 한국교회의 갱신과 부흥에 귀한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

[특징]
■ 세계적인 학자, 디아메이드 맥클로흐 교수의 탁월한 학문적 깊이와 뚜렷한 신학적 관점 제공
■ 종교개혁당시의 정치, 사회, 역사, 문화, 신학 전 영역에 걸친 넓고 깊고 방대한 자료들 제공
■ 맥클로흐 교수만의 독특한 평가를 볼 수 있는 전혀 새로운 종교개혁사
■ 미국비평가협회상, 올프슨 역사상, 브리티시 아카데미상 등 세계적인 상을 휩쓴 대작

[추천 독자]
■ 종교개혁사를 학문적으로 연구하기를 원하는 신학생, 신학자
■ 종교개혁사를 통해 목회와 신앙생활에 도움을 얻기를 원하는 목회자, 평신도
■ 서양사 중 종교개혁사를 연구하기 원하는 일반학생, 교수, 일반인

[추천의 글]
이 책은 종교개혁을 신학의 개혁으로만 보지 않고 정치, 경제, 문화에 걸쳐 포괄적 개혁으로 보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 종교개혁이 중세의 연장이냐 현대의 시작이냐는 논란이 많은데 맥클로흐는 현대의 시작으로 보면서 전세계사의 대변혁인 종교개혁을 교회사만 아니라 세계사의 새 창조를 이룩한 사건으로 해석해 가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김홍기 박사/ 감리교신학대학교총장

맥클로흐는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저명한 종교개혁연구가인 엘튼(Geoffrey Elton) 교수의 지도 아래 박사학위 논문을 쓰고 옥스퍼드대학에서 교회사교수로 봉직하는 분으로 영국종교개혁의 대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영국종교개혁연구에서 반수정주의(Counter-Revisionist)이론을 주장했다. 맥클로흐는 최근의 연구경향을 종합하여 새로운 종교개혁사를 썼다. 저자는 종교개혁이 종교에만 영향을 미친것이 아니라 문화와 사회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다.
이양호 박사/ 연세대학교신과대학교수

기독교역사 중 종교개혁에 대한 폭넓고 깊은 역사관을 가지기 원하는 분들에게 교육적으로 또 일반적으로 유익하고 탁월한 안내서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라은성 박사/ 교회사아카데미대표

눈부시게 놀라울 뿐이다.
Michael Howard/ The Times Library Supplement

본서는 단순한 종교개혁의 ‘한 역사’가 아니라 ‘바로 그 역사’이다. 16세기의 종교적 논쟁을 이보다 더 자세하고, 더 객관적이며, 더 명쾌하게 서술한 책은 없을 것이다. 『종교개혁의 역사』는 학문적인 깊이가 있고, 지성을 깨우치며, 마음을 동요시키는 걸작 중의 걸작이다. 이 한 권의 역사서가 종교개혁의 표준이 될 것이다.
Michael Dirda/ The Washington Post book world

술술 읽을 수 있으면서도 학문적으로 탁월한 걸작…종교개혁에 관한 단연 최고의 책이라 할 수 있다.
David Edwards/ The Guardian (London)

근대 초기 유럽의 종교와 그 유산에 대한 역사의 표준이 될 만하며, 4반세기 국제 학계의 연구를 종합하고 평가하고 있다…가장 뛰어난 역사가인 맥클로흐는 인류의 분명한 역사적 근거를 분별하게 한다.
Ronald Hutton/ The independent

본서는 평범한 역사학자가 ‘현기증’을 일으킬 만큼 탁월하게 역사를 다루고 있다.
The Economist

다양하고, 풍부하며, 매혹적이다…진기하고 지적인 역사가는 종교개혁이 르네상스에서 파생되었음을 알려주고, 종교개혁의 배경을 형성한 문화적 흐름을 흥미진진하게 보여준다. 본서는 종교개혁을 위엄 있고도 명확하게 서술하고 있다.
Publishers Weekly

기념비적이다…『종교개혁의 역사』는 획기적인 작품이다.
Lisa Jardine/ The Observer(London)

정치에서 마법, 예전에서 성(性)까지, 본서에서 다루는 모든 유럽 역사는 숨막힐듯한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역사서의 모델이 되는 작품이다.
Noel Malcom/ Sunday Telegraph(London)

훌륭하다…진정한 기쁨의 순간이다…맥클로흐의 분명한 문체로 당연한 분량이 반이나 줄어들었다.
Felipe Fernandez―Armesto/ The Sunday Times(London)

엄청난 백과사전 같다…맥클로흐는 종교개혁의 역사에 분명한 초점을 맞추고 대중에게 가장 널리 읽히도록 설명하고 있다.
Financial Times

최근에 출간된 역사서 중 가장 권위 있고 수려한 작품 중 하나이다. 종교개혁 시대의 삶과 인간 그리고 사상과 투쟁에 대한 맥클로흐의 분석은 아주 예리하며 심오하다. 불후의 명작이다.
the Atlantic Monthly

사람들이 믿음 때문에 서로 죽고 죽이는 시대에 종교개혁은 서구세계를 나누어 놓았다. 이 시대의 사건들을 명확하게 서술하면서, 디아메이드 맥클로흐가 그 해 수상을 석권하며 써내려간 새로운 역사는 성직자, 군주, 학자, 정치가 의 역사이다. 열성적인 마틴 루터로부터 급진적인 로욜라 그리고 학대 받은 크랜머로부터 야심찬 필립에 이르기까지 종교적인 투쟁을 탁월하게 재창조한다. 유럽과 신대륙에 이르기까지 종교개혁과 반종교개혁의 많은 가닥들을 한 데 모은 맥클로흐는 극적인 변화가 일상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이로써 사랑, 성, 죽음과 미신에 관한 생각을 전복시키면서 근대를 형성하게 된다. 객관적이고, 학문적인 깊이가 있으며, 심오하다. 자타가 공인하는 종교개혁에 관한 최고의 책이다.
Karen Armstrong/ Los Angeles Times Book Review

위대한 일을 해냈다. 학문적 걸작과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필치를 경탄하지 않을 수 없다.
The Times Literary Supplement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추천사: 김홍기 박사(감리교신학대학교 총장)

추천사: 이양호 박사(연세대학교 신과대학 교수)

추천사: 라은성 박사(교회사아카데미 대표)

추천사

목차

사진, 삽화, 지도, 목록

사진 목록

삽화 목록

지도 목록

감사의 글

역자 서문

서 문



제 1 부 일반 문화

제 1 장 구교(1490―1517)

1. 교회 안의 구원 조망

2. 첫 번째 기둥: 미사와 연옥

3. 기도에서의 평신도의 역할

4. 두 번째 기둥: 교황의 수위권

5. 균열된 기둥: 정치와 교황권

6. 교회 VS 연방

제 2 장 희망과 두려움(1490―1517)

1. 경계의 이동

2. 예외 사례: 이베리아 반도

3. 이베리아 반도에서의 성과: 서방교회의 진출

4. 새로운 가능성: 종이와 인쇄기술

5. 인문주의: 책으로 비롯된 새로운 세계

6. 갱신의 실행

7. 개혁 또는 최후 심판의 날?

8. 에라스무스: 실현된 희망인가 여전한 두려움인가?

제 3 장 새 하늘: 새 땅(1517―1524)

1. 어거스틴의 영향

2. 루터, 선한 수도사(1483―1517)

3. 우발적인 개혁(1517―1521)

4. 누구의 개혁인가? (1521―1522)

5. 복음주의적 도전: 츠빙글리와 급진주의(1521―1522)

6. 취리히와 비텐베르크(1522―1524)

7. 축제의 세월(1521―1524)

제 4 장 민중을 설득하는 관리(1524―1540)

1. 극대화된 유럽의 반역(1524―1525)

2. 국가교회 또는 기독교 분파주의자들(1525―1530)

3. 개신교의 탄생(1529―1533)

4. 슈트라스부르크: 새 로마인가 새 예루살렘인가?

5. 왕들과 종교개혁자들(1530―1540)

6. 새로운 다윗왕? 뮌스터와 그 여파

제 5 장 유예된 재연합: 가톨릭과 개신교(1530―1560)

1. 남부의 부흥

2. 이그나티우스 로욜라와 초기 예수회

3. 타협에 대한 희망: 1541―1542년의 위기

4. 트리엔트공의회: 첫 회합(1545―1549)

5. 제네바의 칼빈: 뮌스터 사건에 대한 개혁자의 대답

6. 칼빈과 성만찬: 개신교의 분열 확정

7. 개혁파 개신교: 칼빈에 대한 대안들(1540―1560)

제 6 장 조롱거리가 된 재연합(1547―1570)

1. 합스부르크(Habsburg) 왕조의 위기(1547―1555)

2. 황제의 피폐함과 교황의 망상(1555)

3. 가톨릭의 회복: 잉글랜드(1553―1558)

4. 왕조들의 전환점(1558―1559)

5. 트리엔트공의회의 마지막 회합(1561―1563)

6. 무장한 개신교: 프랑스와 저지대국가(1562―1570)



제 2 부 경계지어진 유럽

제 7 장 경계지어진 새로운 유럽(1569―1572)

1. 북쪽과 남쪽의 종교

2. 트리엔트종교개혁의 성공들

3. 기독교에 대한 가톨릭의 보호(1565―1571)

4. 전투적인 북쪽의 개신교들(1569―1572)

5. 성 바돌로메의 대학살(1572)

6. 폴란드: 선택적 미래? (1569―1576)

7. 개신교와 섭리

제 8 장 북쪽: 개신교 중심지

1. 루터교의 정의: 협화신조

2. 독일에서의 제2종교개혁

3. 발트해의 종교 전쟁: 폴란드―리투아니아와 스칸디나비아

4. 북네덜란드: 개신교 승리

5. 북네덜란드: 알미니안 논쟁

6. 개혁파 성공: 스코틀랜드

7. 엘리자베스의 잉글랜드: 개혁파교회?

8. 아일랜드: 반종교개혁의 발생

제 9 장 남쪽: 가톨릭 심장부

1. 이탈리아: 반종교개혁의 심장

2. 스페인과 포르투갈: 필립왕의 교회

3. 세계 선교로서 반종교개혁

제 10 장 중부 유럽: 종교 논쟁

1. 제국과 합스부르크 영토: 파괴된 교회

2. 합스부르크가, 비텔스바흐가 그리고 가톨릭 회복

3. 트란실바니아: 개혁파 이스라엘

4. 프랑스: 왕국의 몰락(1572―1598)

5. 프랑스: 늦은 반종교개혁

제 11 장 결정과 파괴(1618―48)

제 12 장 종결부: 잉글랜드 유산(1600―1700)

1. 새로운 잉글랜드의 시작: 리차드 후커와 랜슬롯 앤드류스

2. 초기 스튜어트 잉글랜드: 교회의 황금시대?

3. 세 왕국의 전쟁(1638―1660)

4. 개신교의 영역(1660―1700)

5. 아메리카의 시작



제 3 부 삶의 패턴들

제 13 장 시대변화

1. 시대의 종말

2. 하나님의 음성 듣기

3. 적그리스도와의 싸움: 우상

4. 적그리스도와의 싸움: 마녀

제 14 장 죽음, 삶 그리고 권징

1. 죽음과 마법과의 협상

2. 말씀으로부터 말하기

3. 경건의 훈련

4. 개신교의 정신

제 15 장 사랑과 성: 고수

1. 공통적인 유산

2. 사회 안에서의 가족

3. 남색의 공포

제 16 장 사랑과 성: 변화

1. 윤리회복운동

2. 가톨릭, 가족과 독신

3. 개신교와 가정

4. 종교에서의 선택들

제 17 장 결과적인 사건들

1. 종교개혁전쟁

2. 차이를 관용하다

3. 상반되는 두 물줄기: 인문주의와 자연철학

4. 상반되는 두 물줄기: 유대교와 의심

5. 계몽과 그 이후



부록

참고도서목록

약어표

사진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