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기독교신앙과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에 대한 복음주의의 반응)
기독교신앙과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에 대한 복음주의의 반응)
저자 : 밀라드 J. 에릭슨
출판사 : CLC(기독교문서선교회)
출판년 : 2012
ISBN : 9788934112242

책소개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신앙의 관계를 다루고 있는 『기독교신앙과 포스트모더니즘』. 이 책은 포스트모더니즘에 복음주의의 다양한 반응을 대표적인 학자 6명의 연구를 중심으로 개관하고 있다. 먼저 포스트모더니즘을 거부하는 입장에 있는 데이비드 웰스, 토마스 오덴, 프란시스 쉐퍼를 다루고 다음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스탠리 그렌츠, 리차드 미들턴과 브라이언 왈시, 케이스 퍼트를 다루었다. 매 장마다 해당 학자들의 견해에 대한 분석적 요약과 평가를 싣고 있다. 이는 그리스도의 복음을 믿으며 이 시대의 고민을 안고 살아가는 신앙인들에게 유익을 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특징]

■ 본서는 포스트모더니즘에 복음주의의 다양한 반응을 대표적인 학자 6명의 연구를 중심으로 개관하고 있다. 먼저 포스트모더니즘을 거부하는 입장에 있는 데이비드 웰스, 토마스 오덴, 프란시스 쉐퍼를 다루고 다음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스탠리 그렌츠, 리차드 미들턴과 브라이언 왈시, 케이스 퍼트를 다루었다. 매 장마다 해당 학자들의 견해에 대한 분석적 요약과 평가를 싣고 있다.
본서의 저자 밀라드 J. 에릭슨(Millard J. Erickson)은 보수적인 침례교 신학자로 온건한 칼빈주의 성향을 띠고 있다. 그는 근대주의에 상응하여 포스트모더니즘을 “부드러운 포스트모더니즘”과 “경직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분류하여 고찰한다. 그리고는 경직된 포스트모더니즘의 위협은 분명한 것이 아닌 반면, 부드러운 포스트모더니즘은 기독교 신앙의 진리성을 주장할 수 있는 문을 열어준다고 평가하면서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을 제시한다.

[추천 독자]

■ 복음주의 입장에서 이 시대를 통찰하고자 하는 모든 그리스도인
■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복음주의 설교자와 현장사역자들
■ 복음주의 입장에서 신학을 하는 학도들

추천의 글

포스트모더니즘은 우리 시대를 대변하는 시대정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어떤 모양으로든 이에 대한 반응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나 몰라라 할 수는 없는 상황인 것입니다. 이런 때에 비록 원서가 출간된 것보다는 10여 년 늦은 시점이기는 하지만 여러 복음주의 신학자들의 반응을 요약해준 이 책이 번역 출간됨은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습니다.

김의원 박사/ 전 총신대 총장, 백석대학교대학원 학사부총장

본서는 복음주의 입장에서 신학을 하는 학도들에게 꼭 필요한 책입니다. 이에 번역서로 국내에 출간되는 것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아울러 그리스도의 복음을 믿으며 이 시대의 고민을 안고 살아가는 많은 신앙인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한상화 박사/ 아시아연합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교수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추천사 / 5
저자 서문 / 7
역자 서문 / 9

1부 서론

1장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 / 19
1. 역사적 배경 / 22
2.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 27

2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부정적 응답

2장 단호한 거부: 데이비드 웰스 / 33
1. 근대성에 대한 묘사 / 35
2. 포스트모더니즘의 발흥 / 41
3. 기독교의 반응 / 46
4. 복음주의 신학의 실종 / 50
5. 해결 / 53
6. 평가 / 58

3장 미래로 돌이키라: 토마스 오덴 / 63
1. 근대성의 특징 / 66
2. 포스트모던성 / 73
3. 근대성의 죽음 / 75
4. 평가 / 86

4장 이성에로의 도피: 프란시스 쉐퍼 / 93
1. 상황의 분석 / 95
2. 인간의 곤경 / 102
3. 기독교에 대한 적극적인 변호 / 104
4. 비기독교인에 대한 접근 / 115
5. 평가 / 117

3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긍정적 응답

5장 어떤 복음주의자도 가보지 않은 곳까지 담대히 가보자: 스탠리 그렌츠 / 123
1. 현재 상황에 대한 묘사 / 124
2. 근대 정신에 대한 묘사 / 125
3. 포스트모던성에 대한 묘사 / 127
4. 복음주의에 대한 묘사 / 132
5.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평가 / 134
6. 포스트모던 신학의 윤곽 / 137
7. 탈개인주의 / 139
8. 탈합리주의 / 142
9. 탈이원론 / 144
10. 탈지식 중심 / 145
11. 평가 / 145

6장 신학은 이전의 신학과는 다르다: 리차드 미들턴과 브라이언 왈시 / 155
1. 포스트모던적 상황에 대한 묘사 / 157
2. 실재에 대한 생각 / 158
3. 해체 / 161
4. 거대담론에 대한 불신 / 165
5. 성경적 대답 / 168
6. 자아 / 173
7. 분석적인 요약 / 182
8. 평가 / 183

7장 해체주의적 복음주의: 케이스 퍼트 / 191
1. 지식에 대한 현대적 접근 / 192
2. 포스트모던적 비판 / 196
3. 신학에 대한 포스트모던적인 매개체 탐구 / 198
4. 퍼트의 신고난(theopassional)의 신학 / 204
5. 분석적인 요약 / 216
6. 평가 / 217

4부 결론

8장 포스트모던적 변증학: 해체된 말이 물가로 갈 수 있는가? / 227

색인 / 239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