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복음주의 회복 (내일을 위한 어제의 신앙)
복음주의 회복 (내일을 위한 어제의 신앙)
저자 : 로버트 E. 웨버
출판사 : CLC(기독교문서선교회)
출판년 : 2012
ISBN : 9788934112297

책소개

포스트모던 시대로 바뀌는 흐름 속에서 기독교는 정체성과 방향성의 혼돈 가운데 처해 있다. 이런 가운데 기독교 신앙이 변질되지 않고 새로운 문화 속에 육화되고 통합되는 길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향해 웨버는 나아간다.



웨버는 그 길의 첫 번째 이정표는 초대 교회라고 본다. 사도 시대부터 초대 교회는 오늘날과 비슷하게 이교적이고 상대주의적인 사회 속에서 형성되고 존재하였다. 그렇지만 초대 교회는 이교사상과의 조우 속에서 대안문화적인 공동체(countercultural community)를 이루어 그 시대 흐름 속에서 교회다운 교회로서 존재하였다. 이렇게 사도들로부터 기원하여 교부들로 이어지며 종교개혁가들과 그 이후로 보편적으로 수용된 예전과 신학의 전통을 통해 형성된 신앙의 뼈대(framework of faith)를 회복하자고 웨버는 독려한다.



구체적으로 2천 년의 교회 역사 속에서 예배, 교육, 영성과 선교 사역 등에서 복음의 메시지를 어떻게 세속 문화에 이식하고 열매 맺게 했는지를 살펴보며, 오늘날 상대주의적인 포스트모던 세상과의 소통방안을 제시한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ㆍ본서에서 로버트 E. 웨버가 기독교의 현 상황에 대해 가지는 문제의식은 기독교가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 붙잡혀 있다는 데서 출발한다. 포스트모던 시대로 바뀌는 흐름 속에서 기독교는 정체성과 방향성의 혼돈 가운데 처해 있다. 이런 가운데 기독교 신앙이 변질되지 않고 새로운 문화 속에 육화되고 통합되는 길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향해 웨버는 나아간다.
웨버는 그 길의 첫 번째 이정표는 초대 교회라고 본다. 사도 시대부터 초대 교회는 오늘날과 비슷하게 이교적이고 상대주의적인 사회 속에서 형성되고 존재하였다. 그렇지만 초대 교회는 이교사상과의 조우 속에서 대안문화적인 공동체(countercultural community)를 이루어 그 시대 흐름 속에서 교회다운 교회로서 존재하였다. 이렇게 사도들로부터 기원하여 교부들로 이어지며 종교개혁가들과 그 이후로 보편적으로 수용된 예전과 신학의 전통을 통해 형성된 신앙의 뼈대(framework of faith)를 회복하자고 웨버는 독려한다. 구체적으로 2천 년의 교회 역사 속에서 예배, 교육, 영성과 선교 사역 등에서 복음의 메시지를 어떻게 세속 문화에 이식하고 열매 맺게 했는지를 살펴보며 오늘날 상대주의적인 포스트모던 세상과의 소통방안을 제시한다.

[추천 독자]
ㆍ2천 년 교회 역사 속에서 기독교 교회가 집중해온 목회 사역과 미래 기독교에 대한 중요 이슈들과 관점들을 개관하고 싶은 목회자들, 신학생들
ㆍ항구적인 복음을 설교하기를 원하는 설교자들
ㆍ영원한 복음의 핵심을 이해하기를 원하는 신자들

[추천의 글]

이 책에서 로버트 웨버 박사는 내가 1979년에 시도했던 핵심적인 신학 의제들을 매우 깊이 있고 조리 있게 정리하여 완성했다.
-토마스 오덴(Thomas C. Oden)
Drew University 신학과 윤리학 교수

이 책에서 우리는 고대 기독교의 전통으로부터 우리가 속한 포스트모던 세계를 향하여 복음을 선포할 능력을 발견할 수 있다. 이 책은 승리자 그리스도에 관한 주제로부터 기독교에 대한 안내를 포괄적으로 담고 있다.
-클락 피녹크(Clark H. Pinnock)
McMaster Divinity College 신학부 교수

『복음주의 회복』(Ancient Future Faith: Rethinking evangelicalism for a postmodern world)은 내러티브 지향적인 기독교의 기본 지침서로서 그리고 보편적인 복음주의를 약속하는 지도와 같은 책이다.
-게리 도리언(Gary Dorrien)
『복음주의 신학의 재구성』(The Remaking of Evangelical Theology)의 저자

오늘날 기독교의 본질이 퇴색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서 『복음주의 회복』을 통해 복음주의 기독교의 방향을 제시하는 저자의 실천신학적 통찰과 혜안이 한국 교회 현장을 새롭게 갱신하는 데 귀한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하면서 적극적으로 일독하기를 권한다.
-김상구 박사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실천신학 교수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추천사 / 5

서문 / 9

역자서문 / 11

감사의 글 / 13



1부. 무대 마련하기 / 17

1장. 패러다임적 사고 / 21

2장. 근대의 패러다임에서 포스트모던 패러다임으로의 변화 / 31

3장. 고전 기독교로의 회귀 / 47



2부. 고전/포스트모던 그리스도 / 73

4장. 역사 속의 다양한 그리스도 패러다임들 / 77

5장. 사도전승에 나타난 승리자 그리스도 / 89

6장. 총괄갱신의 신학 / 103

7장. 중심되신 그리스도 / 113



3부. 고전/포스트모던 교회 / 125

8장. 역사 속의 다양한 교회 패러다임들 / 131

9장. 교회의 신학 회복하기 / 139

10장. 역사적인 연결고리를 회복하기 / 153



4부. 고전/포스트모던 예배 / 169

11장. 역사 속의 다양한 예배 패러다임들 / 173

12장. 예배의 신학과 예전 회복하기 / 183

13장. 상징적인 소통 회복하기 / 191



5부. 고전/포스트모던 영성 / 207

14장. 역사 속의 다양한 영성 패러다임들 / 211

15장. 고전적인 영성 / 221

16장. 포스트모던 세계 속의 기독교 영성 / 231



6부. 고전/포스트모던 선교 / 247

17장. 과정으로서의 복음주의 / 251

18장. 지혜로서의 교육 / 273

19장. 세상 속의 교회 / 293



부록: 고전/포스트모던 권위 / 313

맺는말 / 367

참고 문헌 / 371

색인 / 387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