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성폭력, 성경, 한국교회
성폭력, 성경, 한국교회
저자 : 권지성 외 9인
출판사 : CLC(기독교문서선교회)
출판년 : 2019
ISBN : 9788934119722

책소개

이 책은 교회 내 성폭력 문제에 관해서 본격적으로 진단한 최초의 책입니다. 미투 운동으로 촉발된 한국 사회의 여성 억압과 차별 문제는 논란 속에서도 사회를 개혁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한국교회는 이 문제를 정면에서 다루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한국교회는 개혁의 예외 지역 혹은 개혁의 퇴보 지역으로 남아있습니다. 이 책은 문제를 외면하는 한국교회에 정면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개혁을 촉구합니다.

이 책은 현상이 아니라 원인을 치열하게 파고들었습니다. 11개의 논문은 성폭력 문제를 반복 재생하게 만드는 생각과 구조를 구체적으로 파헤칩니다. 한국교회 성폭력 문제는 윤리 의식이 부족하거나 개인이 일탈해서 일어난 것임과 동시에 문제를 반복 재생하게 만드는 원인이 내재했기 때문에 일어난 것입니다. 저자들은 그 원인을 치열하게 파고들었습니다.

이 책은 인문학이 어떻게 실제적인 도구로 활용되는지 보여줍니다. 문제를 보고 분노하거나 원망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원인을 발견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문학적 사고가 필요합니다. 신문과 방송, 주변에서 경험한 현상들의 원인을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서 인문학적 사고 방법을 실제적으로 배울 수 있습니다. 현상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면서 사고의 확장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교회 내 성폭력 문제에 관해서 본격적으로 진단한 최초의 책입니다. 미투 운동으로 촉발된 한국 사회의 여성 억압과 차별 문제는 논란 속에서도 사회를 개혁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한국교회는 이 문제를 정면에서 다루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한국교회는 개혁의 예외 지역 혹은 개혁의 퇴보 지역으로 남아있습니다. 이 책은 문제를 외면하는 한국교회에 정면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개혁을 촉구합니다.



이 책은 현상이 아니라 원인을 치열하게 파고들었습니다. 11개의 논문은 성폭력 문제를 반복 재생하게 만드는 생각과 구조를 구체적으로 파헤칩니다. 한국교회 성폭력 문제는 윤리 의식이 부족하거나 개인이 일탈해서 일어난 것임과 동시에 문제를 반복 재생하게 만드는 원인이 내재했기 때문에 일어난 것입니다. 저자들은 그 원인을 치열하게 파고들었습니다.



이 책은 인문학이 어떻게 실제적인 도구로 활용되는지 보여줍니다. 문제를 보고 분노하거나 원망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원인을 발견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문학적 사고가 필요합니다. 신문과 방송, 주변에서 경험한 현상들의 원인을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서 인문학적 사고 방법을 실제적으로 배울 수 있습니다. 현상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면서 사고의 확장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저자

권지성(스위스 취리히대학교 연구교수, 기독연구원느헤미야 구약학 객원교수)

박유미(안양대학교, 구약학 겸임교수)

최순양(이화여자대학교/감리교신학대학교 조직신학 외래교수)

유연희(감리교신학대학교 구약학 외래교수)

성기문(현대목회와사역연구소 소장, 구약학)

송진순(이화여자대학교 신약학 외래교수)

한수현(감리교신학대학교 신약학 외래교수)

강호숙(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실천신학 외래교수)

박성철(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초빙교수)

오제홍(영국 아버딘대학교 Ph.D. 과정, 조직신학)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추천사

조석민 박사(기독연구원느헤미야 연구위원 / 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신약학 교수)

박대영 목사(광주소명교회 담임 / 「묵상과 설교」 편집장)

기고자들 8

서문 10



제1부 구약성경과 성폭력 문화 22

제1장 디나 사건에 대한 비평학적 접근법들(창세기 34장) / 권지성 23

제2장 왜 다윗은 다말의 부르짖음에 침묵했을까? / 박유미 46

암논의 성폭행 사건과 다윗이 암논에게 미친 영향

제3장 서발턴 여성 “레위인의 첩 이야기”와 한국교회 성폭력의 문제들 / 최순양 66

제4장 사사기 21장 모로 읽기: 야베스와 실로의 딸들을 기억하며 / 유연희 90

제5장 #MeToo 시대와 구약 선지서의 포르노그래피 해석 논란 / 성기문 117



제2부 신약성경과 성폭력 문화 140

제6장 교회 내 젠더 폭력과 하나님 나라의 정의 / 송진순 141

제7장 바울 서신, 동성애 혐오인가 성폭력에 대한 저항인가? / 한수현 167



제3부 교회와 성폭력 문화 193

제8장 교회 리더의 성(聖)과 성(性)에 관한 연구 / 강호숙 194

성의 사각지대를 형성하는 교회 메커니즘 문제에 대한 실천신학적 분석

제9장 보수 교단 내 성차별적 설교에 대한 여성신학적 고찰 / 강호숙 218

성차별적 설교의 정의와 기준 및 예수 정신에 합당한 설교에 대한 여성신학적 접근

제10장 아우구스티누스와 장 칼뱅의 신학과 가부장제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박성철 243

제11장 종교개혁 직분(職分) 제도와 여성의 사회적/종교적 위치 / 오제홍 264

사회학 이론을 통해 바라본 종교개혁의 직제와 여성의 위치에 대한 관계성 연구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