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인도 기독교 사상
인도 기독교 사상
저자 : 로빈 보이드
출판사 : CLC(기독교문서선교회)
출판년 : 2020
ISBN : 9788934121992

책소개

지금까지 한국에 소개된 기독교의 역사와 신학, 사상은 주로 서구교회의 시각에서, 그리고 서구교회를 중심으로 기록된 것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오늘날 서구교회의 영향력이 급속히 쇠퇴하고 그동안 변방으로 치부되어온 신생교회들이 세계 기독교의 중심을 차지하게 되면서 복음과 신학의 현장화라는 문제가 긴급하고도 필수적인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오늘날 인도교회와 신학자들은 이 과제를 가장 선구적으로, 그리고 모범적으로 수행해 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런데도 지금까지 한국교회에 그 기본적인 사례들조차 소개되지 못한 점은 심히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 책은 이런 배경에서 기획되고 번역되었다. 그동안 베일에 싸여 있던 인도 기독교의 신학과 사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책이다.



저자 로빈 보이드 박사는 인도 선교사였던 부모님에 이어 2대째 인도에서 선교사로 사역하면서 구자라트의 연합신학교에서 인도의 기독교 신학을 정리하고 소개하는 귀한 작업을 수행했으며, 그 작업의 소중한 결실이 바로 이 책이다.



지난 2천 년 동안의 인도교회 역사 속에서 인도인들에 의해 형성된 특징적인 인도 기독교 신학과 사상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으며, 특히 18세기 후반 인도 르네상스 시기로부터 20세기 후반에 이르기까지 인도의 문화와 끊임없이 소통하면서 토착화된 인도 신학을 세우기 위해 분투했던 여러 기독교 신학자들의 사상을 시대적 상황과 더불어 잘 소개해 주고 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지금까지 한국에 소개된 기독교의 역사와 신학, 사상은 주로 서구교회의 시각에서, 그리고 서구교회를 중심으로 기록된 것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오늘날 서구교회의 영향력이 급속히 쇠퇴하고 그동안 변방으로 치부되어온 신생교회들이 세계 기독교의 중심을 차지하게 되면서 복음과 신학의 현장화라는 문제가 긴급하고도 필수적인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오늘날 인도교회와 신학자들은 이 과제를 가장 선구적으로, 그리고 모범적으로 수행해 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런데도 지금까지 한국교회에 그 기본적인 사례들조차 소개되지 못한 점은 심히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본서는 이런 배경에서 기획되고 번역되었다. 더 나아가 이 책은, 그동안 베일에 싸여 있던 인도 기독교의 신학과 사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 나침반 역할을 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본서의 저자인 로빈 보이드(Robin H. S. Boyd) 박사는 인도 선교사였던 부모님에 이어 2대째 인도에서 선교사로 사역하면서 구자라트의 연합신학교에서 인도의 기독교 신학을 정리하고 소개하는 귀한 작업을 수행했으며, 그 작업의 소중한 결실이 바로 이 책이다. 지난 2천 년 동안의 인도교회 역사 속에서 인도인들에 의해 형성된 특징적인 인도 기독교 신학과 사상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으며, 특히 18세기 후반 인도 르네상스 시기로부터 20세기 후반에 이르기까지 인도의 문화와 끊임없이 소통하면서 토착화된 인도 신학을 세우기 위해 분투했던 여러 기독교 신학자들의 사상을 시대적 상황과 더불어 잘 소개해 주고 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추천사

임성빈 박사 | 장로회신학대학교 총장

임희모 박사 | 한일장신대학교 명예교수

윤순재 박사 | 주안대학원대학교 총장

김한성 박사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선교영어학과 교수

이규대 박사 | 인도네시아 스리위자야신학대학교 선교학 교수

머리말

제2판 서문

초판 서문

역자 서문



제1장 서론

제2장 신학적 전통의 몇 가지 원천들

제3장 복음과 인도의 르네상스

제4장 힌두교에 대한 합리적인 논증: 느헤미야 고레

제5장 지존하신 그분 외에는: 브라흐마반답 우빠디야이

제6장 인도의 컵 안에 있는 생명의 물: 순다르 싱

제7장 박띠 마르그로서의 기독교: 아빠사미

제8장 새 창조의 신학: P. 첸치아

제9장 성령의 기독론: V. 차까라이

제10장 대화를 위한 준비: P. D. 데바난단

제11장 오늘의 인도 신학

제12장 인도 신학 사상의 유형과 용어들

제13장 평가와 전망

제14장 힌두 기독교?

제15장 성취 ? 마음의 동굴에서 462

제16장 행위의 길: M. M. 토마스 512

제17장 크리스트아드바이타: 단지바이 파키르바이(1895-1967) 542



용어 해설

참고 문헌

인명 색인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