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여행자를 위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 중부권 (중부권)
여행자를 위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 중부권 (중부권)
저자 : 유홍준
출판사 : 창비
출판년 : 2016
ISBN : 9788936472917

책소개

베스트셀러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소장용 특별판!

『여행자를 위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는 누적 판매부수 370만, 한국 인문서 최초의 밀리언셀러, 전 국토를 박물관으로 만들며 문화유산답사 붐을 이끌어온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국내편 여섯 권을 지역별 세 권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기존 판본의 ‘답사기’보다 작은 판형으로 구성해 손에 쥐는 맛과 읽는 맛을 보강했다. 각권에는 기존 판본에 실렸던 ‘답사 일정표와 안내지도’를 수록하여, 국내 여행의 충실한 안내자 역할을 한다.

총 3권으로 구성된 시리즈의 1권 중부권에서는 경기·충청·강원도 지역의 문화유산을 돌아본다. 백제의 역사를 따라가는 부여·논산·보령 기행, 원주를 비롯한 강원도 기행 등이 실려 있다. 2권 전라·제주권에는 ‘답사기’의 화려한 시작을 알렸던 ‘남도답사 일번지’ 기행과 관광지이기만 했던 제주의 문화유산을 재조명한 제주도 답사기 전문이 실려 있다. 3권 경상권에는 무수한 문화유산의 전시관인 경주 기행, 운문사와 부석사로 대표되는 경상도의 사찰 기행이 그대로 옮겨져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진짜 여행자들을 위한 콤팩트 사이즈 ‘답사기’!
소장 가치 듬뿍한 답사여행 가이드북으로 재구성


누적 판매부수 370만, 한국 인문서 최초의 밀리언셀러, 전 국토를 박물관으로 만들며 문화유산답사 붐을 이끌어온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국내편 여섯 권을 지역별 세 권으로 재구성한 ?여행자를 위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전3권)가 출간되었다. ?창작과비평? 50주년을 기념해 기획된 이번 ‘여행자판’은 1~3권과 6~8권으로 나뉜 기존 ‘답사기’의 국내편을 중부권, 전라?제주권, 경상권으로 재구성해(4~5권은 ‘북한편’) 국내 여행에 실질적인 정보 가이드를 주고자 했다.
집집마다 한 권씩은 있다는 기존 판본의 ‘답사기’를 읽었던 독자들에게도, ‘답사기’를 아직 접해보지 못한 독자들에게도, 훨씬 더 핸디한 판형으로 구성해 손에 쥐는 맛과 읽는 맛을 보강한 이 ‘여행자판’은 국내 여행의 충실한 안내서가 될 것이며, 소장할 만한 가치가 충분할 것이다. 각권에는 기존 판본에 실렸던 ‘답사 일정표와 안내지도’가 실려 있고, 세트 구매자들에게는 ‘답사기’에 실린 주요한 지점을 표시한 여행 지도를 증정할 예정이다.

권역별 세 권으로 충실한 구성
『여행자를 위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는 모두 3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 ‘답사기’ 국내편의 내용을 빠짐없이 수록하고자 했다. 1권 중부권에는 경기·충청·강원도 지역의 문화유산을 돌아본다. 백제의 역사를 따라가는 부여·논산·보령 기행, 폐사지 답사의 운치를 새롭게 일깨워준 바 있던 원주를 비롯한 강원도 기행 등이 실려 있다. 2권 전라·제주권에는 ‘답사기’의 화려한 시작을 알렸던 ‘남도답사 일번지’ 기행과 관광지이기만 했던 제주의 문화유산을 재조명한 제주도 답사기 전문이 실려 있다. 3권 경상권에는 무수한 문화유산의 전시관인 경주 기행, 운문사와 부석사로 대표되는 경상도의 사찰 기행이 그대로 옮겨져 있다.
기존 판본의 국내편 6권이 불러일으켰던 전국적인 답사 붐에 대한 기록도 기록이려니와 ‘아는 만큼 보인다’ ‘전 국토가 박물관이다’ ‘사랑하면 알게 되고 알면 보이나니 그때 보이는 것은 전과 같지 않으리라’ 같은 명구들을 남긴 ‘답사기’를 새로이 읽는 맛을 선사한다. 또한 단순 여행 정보와 맛집 소개 일색의 여행 안내서와는 전혀 다른 품격의 독서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 인터넷에 떠도는 수많은 정보와는 차원이 다른 유홍준표 문화유산 해설, 읽을 가치와 소장 가치를 겸비한 ‘여행자판’은 세대를 불문하고 사랑받을 것이다.

깊이 있는 답사여행의 길잡이
저자 유홍준이 이번 ‘여행자판’의 「책머리에―답사여행객을 위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에 “애당초 내가 처음 ‘답사기’를 저술할 때는 독서를 위한 기행문”이라고 쓴 데에서 알 수 있듯이, 7권 ‘제주편’과 8권 ‘남한강편’ 이전에는 특정 지역이 아닌 전국 각지를 두루 돌아본 경우가 많았다. 그러다보니 실제 답사나 여행을 갈 경우, 그 지역의 내용만 압축적으로 보기에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지역별 관광 여행 안내서가 다수 출간되어 있으나, 문화유산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을 동반한 ‘답사기’ 여행에 대한 수요는 여전했다.
이에 창비는 올해 『창작과비평』 50주년을 맞이해 전국의 문화유산에 대한 이해를 갖춘 여행의 편의를 돕고 새로운 답사 여행을 위한 안내서로 재구성하는 기획을 내놓게 되었다. 이번 ‘여행자판’에서는 전면적인 개정보다는 지역별 재구성에 더 의의를 두고 편집했으며 핸디한 판형과 새로운 장정으로 선보이고자 했다. 여전히 매년 수만의 독자들이 찾아 읽는 책으로서의 매력이 유효한 ‘답사기’는 이번 ‘여행자판’을 통해 그동안 ‘답사기’를 읽지 않은 독자들에게는 여행 가이드북이자 인간·역사·문화가 살아숨쉬는 인문교양서가 될 것이며, 이미 ‘답사기’를 읽은 독자들에게는 실용성을 가미한 여행 가이드북이 될 것이다. 특히 젊은 독자층을 겨냥해 기존의 표지와 완전히 다른 디자인을 선보이되, 기존 ‘답사기’의 내용은 빠짐없이 넣고자 했다.
20여 년 넘게 독자들의 사랑을 받은 ‘답사기’의 저자 유홍준은 이에 대해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도 어느 순간에는 글맛을 느낄 수 없는 옛글이 되어 독서의 대상으로서는 생명을 다하게 되고 내용만 살아남아 답사여행의 길잡이가 될 것이다. 그렇다면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의 최종 형태는 답사여행의 안내서로 마무리하는 것이 현명하다는 생각도 들었다”라는 뜻을 밝히기도 했다.
결코 느슨한 독서를 허락하지 않되, 입담과 글맛이 살아 있는 ‘답사기’가 인문서를 넘어서 ‘답사여행 안내서’로 새롭게 태어났다. 이유 있는 변신을 한 이번 『여행자를 위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가 고급 실용서의 영역에 성공적으로 안착하리라 기대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권 중부권[경기/강원/충청]〉

회상의 백제행
회상의 백제행 1ㅡ서울: 말하지 않는 것과의 대화
회상의 백제행 2ㅡ공주: 정지산 산마루에 누대를 세우고
회상의 백제행 3ㅡ부여: 산에, 언덕에 피어날지어이
부여·논산·보령 1: 내 고향 부여 이야기
부여·논산·보령 2: 그 많던 관아는 다 어디로 갔나
부여·논산·보령 3: 백제의 여운은 그렇게 남아 있고
부여·논산·보령 4: 바람도 돌도 나무도 산수문전 같단다

예산 수덕사와 서산 마애불
예산 수덕사: 내포땅의 사랑과 미움
개심사와 가야산 주변: 불타는 가야사와 꽃피는 개심사
서산마애불: 저 잔잔한 미소에 어린 뜻은

양양 낙산사와 하늘아래 끝동네
양양 낙산사: 동해 낙산사의 영광과 상처
관동지방의 폐사지: 하늘 아래 끝동네

아우라지강의 회상
아우라지강의 회상ㅡ평창·정선 1: 산은 강을 넘지 못하고
아우라지강의 회상ㅡ평창·정선 2: 세 겹 하늘 밑을 돌아가는 길

원주의 문화유산과 폐사지
주천강 요선정: 주천강변의 마애불은 지금도 웃고 있는데
법흥사에서 김삿갓 묘까지: 시시비비 시시비(是是非非是是非)
청령포와 단종 장릉: 고운 님 여의옵고 울어 밤길 예놋다
원주 거돈사터·법천사터와 충주 청룡사터: 마음이 울적하거든 폐사지로 떠나라
원주 흥법사터와 여주 고달사터: 돌거북이 모습이 이렇게 달랐단 말인가

남한강변의 명승 탐방
청풍 한벽루: 누각 하나 있음에 청풍이 살아 있다
단양8경: 단양의 명성은 변함없이 이어질 것이다
구단양에서 신단양까지: 시와 그림이 있어 단양은 더욱 아련하네
영춘 온달산성과 죽령 옛길: 강마을 정취가 그리우면 영춘가도를 가시오
제천 의림지에서 충주 목계나루까지: 산은 날더러 잔돌이 되라 하네

충주 탄금대와 여주 신륵사
여주 신륵사: 절집에 봄꽃 만발하니 강물도 붉어지고
충주 가흥창에서 탄금대까지: 석양의 남한강은 그렇게 흘러가고 있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