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남들은 모르는 미술 전공 이론 2: 동양미술사 한국미술사 동양 표현 (미대입시 교원임용을 위한 교양도서)
남들은 모르는 미술 전공 이론 2: 동양미술사 한국미술사 동양 표현 (미대입시 교원임용을 위한 교양도서)
저자 : 남정덕
출판사 : 미진사
출판년 : 2019
ISBN : 9788940805817

책소개

미대 입시와 교원 임용을 위한 교양 도서로, 동서양 미술사와 미학사, 미술 교육론, 매체별 표현의 종류와 특징을 알차게 수록했다. 제2권 동양미술사?한국미술사?동양 표현에서는 인도,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 동양미술사와 고대부터 동시대에 이르는 한국미술사의 얼개를 풍부한 컬러 도판과 함께 시대별로 정리했다. 또 회화, 서예, 조각, 공예 등의 동양 표현 파트까지 수록해 동양 미술을 더욱 폭넓고 깊이 있게 이해하도록 했다. 꼼꼼한 개념 정리, 꼭 필요한 보충 설명, 질문을 통해 사고를 키우는 “생각해 보기”란에 더해 QR코드를 활용한 동영상 자료를 수록했으며, 현직 미술 교사와 대학 교수의 검수를 통해 신뢰도를 높였다. 특히 중요한 부분에는 밑줄을 긋고, 기출 관련 내용에는 별표를 달아 한눈에 쏙쏙 들어오게 구성했다. 미술에 관해 거의 모든 내용을 담은 미대생의 필독서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미대 입시와 대학 강의, 교원 임용을 총망라
미술사부터 미술 교육까지, 이론과 실기로 꽉 채운 ‘미대생 교과서’

미대 입시와 교원 임용을 위한 교양 도서로, 1권 서양미술사·디자인사, 2권 동양미술사·한국미술사·동양 표현, 3권 미술 교육론·미학·표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서양 미술사와 미학사, 미술 교육론, 매체별 표현의 종류와 특징을 풍부한 컬러 도판과 함께 알차게 정리했다. 꼼꼼한 개념 정리, 꼭 필요한 보충 설명, 질문을 통해 사고를 키우는 “생각해 보기”란에 더해 QR코드를 활용한 동영상 자료를 수록했으며, 현직 미술 교사와 대학 교수의 검수를 통해 신뢰도를 높였다. 특히 중요한 부분에는 밑줄을 긋고, 기출 관련 내용에는 별표를 달아 한눈에 쏙쏙 들어오게 구성했다. 를 방문하면 미대 입시에 대한 정보와 미술 교사를 위한 수업 자료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 책의 독자]
미대 입시를 준비하는 사람, 대학 강의를 앞둔 사람, 교원 임용에 대비하는 사람, 미술을 체계적으로 공부해 보고 싶은 사람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Ⅰ. 동양미술사

01. 인도미술사
1. 인도 미술의 시대 구분
2. 시대별 특징과 주요 작품
ㆍ 인더스 문명
ㆍ 마우리아 왕조
ㆍ 슝가 왕조
ㆍ 안드라 왕조
ㆍ 쿠샨 왕조
ㆍ 굽타 왕조
ㆍ 팔라·촐라 왕조
ㆍ 무굴 왕조


02. 중국미술사
1. 중국 미술의 시대 구분
2. 중국의 고대 미술
ㆍ 상·주
ㆍ 진
ㆍ 한
ㆍ 위·진·남북조
3. 중국의 중세 미술
ㆍ 수·당
ㆍ 오대십국
ㆍ 송
ㆍ 원
4. 중국의 근세 미술
ㆍ 명
ㆍ 청

03. 일본미술사
1. 일본 미술의 시대 구분
2. 일본의 고대 미술
ㆍ 조몬/야요이 시대
ㆍ 고분 시대
ㆍ 아스카 시대
3. 일본의 중세 미술
ㆍ 나라 시대
ㆍ 헤이안 시대
ㆍ 가마쿠라 시대
ㆍ 무로마치 시대
4. 일본의 근세 미술
ㆍ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
ㆍ 에도 시대
5. 일본의 근대 미술 & 그 이후


Ⅱ. 한국미술사

01. 한국 미술의 이해
1. 한국미술사 개관
2. 한국 미술의 시대 구분

02. 고대 미술
1. 삼국 시대의 미술
2. 고구려
3. 백제
4. 신라

03. 중세 미술
1. 남북국 시대의 미술
2. 통일 신라
3. 발해
4. 고려

04. 근세, 조선의 미술
1. 조선 시대 미술의 특징과 시대 구분
2. 조선 시대 미술의 특징
3. 조선 시대 회화의 전개
4. 조선 초기
5. 조선 중기
6. 조선 후기
7. 조선 말기
8. 조선 시대 조소의 전개
9. 조선 시대 건축의 전개
10. 조선 시대 공예의 전개

05. 한국 근대 미술의 전개
1. 한국 근대 미술의 개관
2. 역사 및 사상의 배경
3. 한국 근대 화단의 형성
4. 한국 근대 동양 화단의 전개
5. 한국 근대 서양 화단의 전개
6. 한국 근대 조각의 전개

06. 한국 현대 미술의 전개
1. 한국 현대 미술의 개관
2. 1960년대
3. 1970~1980년대
4. 1990년대 이후 포스트모더니즘과 다원주의

07. 한국 현대 미술과 동시대 미술의 상호 작용
1. 포스트모더니즘으로의 이행
2. 매체 미술의 등장
3. 기존의 가치를 뒤집는 미술


Ⅲ. 동양 표현

01. 동양 회화 표현
1. 한국화의 구분
2. 수묵화
3. 채색화

02. 서예의 이해
1. 자세
2. 용필법
3. 글자의 구성
4. 임서와 창작
5. 한글 서체
6. 한자 서체
7. 전각의 기본
8. 서각의 기본

03. 전통 조각(불교 조각)
1. 불상의 종류
2. 불상 재료의 종류와 제작 방법
3. 불상의 형식

04. 전통 공예
1. 도자 공예
2. 금속 공예
3. 칠보 공예
4. 목공예
5. 염색 공예
6. 한지 공예

05 전통 건축과 탑
1. 전통 목조 건축의 이해
2. 전통 탑의 이해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