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남들은 모르는 미술 전공 이론 3: 미술교육론 미학 표현 (미대입시 교원임용을 위한 교양도서)
남들은 모르는 미술 전공 이론 3: 미술교육론 미학 표현 (미대입시 교원임용을 위한 교양도서)
저자 : 남정덕
출판사 : 미진사
출판년 : 2019
ISBN : 9788940805824

책소개

미대 입시와 교원 임용을 위한 교양 도서로, 동서양 미술사와 미학사, 미술 교육론, 매체별 표현의 종류와 특징을 알차게 수록했다. 제3권 미술 교육론ㆍ미학ㆍ표현에서는 3권에서는 고대 아테네부터 현재까지의 미술 교육론을 정리했으며, 09개정 및 15개정 교육과정과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ㆍ학습 지도안을 함께 수록해 활용도를 높였다. 이와 함께 미술 감상과 비평, 미학, 표현 파트 역시 3권에 수록했다. 꼼꼼한 개념 정리, 꼭 필요한 보충 설명, 질문을 통해 사고를 키우는 “생각해 보기”란에 더해 QR코드를 활용한 동영상 자료를 수록했으며, 현직 미술 교사와 대학 교수의 검수를 통해 신뢰도를 높였다. 특히 중요한 부분에는 밑줄을 긋고, 기출 관련 내용에는 별표를 달아 한눈에 쏙쏙 들어오게 구성했다. 미술에 관해 거의 모든 내용을 담은 미대생의 필독서이다.

[이 책의 독자]

미대 입시를 준비하는 사람
대학 강의를 앞둔 사람
교원 임용에 대비하는 사람
미술을 체계적으로 공부해보고 싶은 사람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미대 입시와 대학 강의, 교원 임용을 총망라
미술사부터 미술 교육까지, 이론과 실기로 꽉 채운 ‘미대생 교과서’

미대 입시와 교원 임용을 위한 교양 도서로, 1권 서양미술사·디자인사, 2권 동양미술사·동양 표현, 3권 미술 교육론·미학·표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서양 미술사와 미학사, 미술 교육론, 매체별 표현의 종류와 특징을 풍부한 컬러 도판과 함께 알차게 정리했다. 꼼꼼한 개념 정리, 꼭 필요한 보충 설명, 질문을 통해 사고를 키우는 “생각해 보기”란에 더해 QR코드를 활용한 동영상 자료를 수록했으며, 현직 미술 교사와 대학 교수의 검수를 통해 신뢰도를 높였다. 특히 중요한 부분에는 밑줄을 긋고, 기출 관련 내용에는 별표를 달아 한눈에 쏙쏙 들어오게 구성했다. 를 방문하면 미대 입시에 대한 정보와 미술 교사를 위한 수업 자료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Ⅰ. 서양 미술 교육론의 전개

01. 서양 미술 교육의 기원
1. 미술에서 미술 교육으로의 변화
2. 고대 아테네의 미술 교육
3. 중세 유럽의 미술 교육
4. 르네상스 시기 유럽의 미술 교육
5. 절대 왕정의 이데올로기를 반영한 프랑스의 예술원 교육
6. 18세기 근대 미술 교육의 시작

02. 산업 혁명기의 미술 교육
1. 19세기 급변하는 유럽 사회
2. 표현 기능 중심 미술 교육의 초기 전개
3. 표현 기능 중심 미술 교육의 발전과 분화
4. 독일에서의 표현 기능 중심 미술 교육의 전개
5. 독일 바우하우스(BauHaus)의 등장
6. 표현 기능 중심 미술 교육의 2가지 측면

03. 진보주의의 등장과 미술 교육
1. 1900년대를 전후한 진보주의 운동의 흐름
2. 창의성 중심 미술 교육
3. 창의성 중심 미술 교육의 2가지 측면
4. 경제 대공황기 사회 재건주의와 미술 교육
5. 오와토나 프로젝트(Owatonna Project)

04. 지식의 전수, 이해 중심 미술 교육
1. 2차 세계 대전 이후 민주주의 국가의 교육 방침 변화
2. 학문 중심 미술 교육(DBAE)의 등장
3. 초기 학문 중심 미술 교육의 주요 교육자
4. 학문 중심 미술 교육의 전개
5. 학문 중심 미술 교육의 2가지 측면
6. NEO-DBAE
7. 하버드 프로젝트 제로(Project Zero)

05. 다문화 미술 교육과 포스트모더니즘
1. 1990년대 이후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 대두
2. 다문화 미술 교육의 등장
3. 다문화 미술 교육에 대한 교육자들의 견해
4. 다문화 미술 교육의 시사점

06. 시각 문화 미술 교육(VCAE)
1. 시각 문화와 시각적 문해력
2. 정보화 시대의 도래와 포스트모더니즘 담론
3. 시각 문화 미술 교육의 등장
4. 시각 문화 미술 교육에 대한 교육자들의 견해
5. 시각 문화 미술 교육의 시사점

07. 현재 미술 교육의 흐름
1. 인문학과 미술 교육
2. 융합 교육과 미술 교육
3.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 교육(CBAE)
4. 문화 탐구 기반 미술 교육

Ⅱ. 감상 교육과 미술 비평론

01. 감상과 비평 교육
1. 감상과 비평 교육의 의미와 목적
2. 감상과 비평 교육의 등장 배경
3. 예술 작품의 존재 구조와 수용 미학
4. 감상과 비평 교육의 발전과 학자별 견해
5. 미술 비평의 준거가 되는 비평 유형과 감상 교육 구조

02. 박물관·미술관 교육
1. 정의와 기능
2. 운영
3. 발전과 역할
4. 전시
5. 교육 내용
6. 박물관·미술관과 연계한 학교 미술 교육

03. 아동의 미적 발달 단계의 이해
1. 아동의 성장과 발달 단계
2. 아동 미술을 보는 4가지 관점
3. 아동 미술 표현 능력의 발달
4. 아동 미적 인식 능력의 발달

Ⅲ. 미술과 교육과정

01.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정의
02. 교육과정의 편제(15개정 기준)
03. 미술과 09개정 교육과정
04. 미술과 15개정 교육과정
05. 미술과 교수·학습 지도의 현장 적용
1. 미술과에서의 교수·학습
2. 교수·학습 과정의 일반적 단계
3. 실제 수업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
4. 미술과 교수·학습 지도안의 제작
5. 교과서에서 수업 콘텐츠 발굴하기

Ⅳ. 동서양의 미학

01. 미술(美術)과 미(美)에 대한 논의
1. 미술의 범위
2. 미의 개념
3. 미와 미술을 바라보는 몇 가지 분류
4. 미술 교육

02. 서양 미학의 역사
1.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미학
2. 중세 시기의 미학
3. 르네상스 시기의 미학
4. 근대 미학

03. 모더니즘 미학의 전개
1. 20세기 전환기로의 미적 인식
2. 기호학적 관점의 예술
3. 현상학적 관점의 예술
4. 비판적 관점의 예술
5. 기술 복제와 가상 실재
6. 작가와 정체성

04. 미(美)에 대한 동서양의 차
1. 동서양 미와 예술 구분

05. 동양 미학의 전개
1. 중국의 미와 화론
2. 한국의 미학

Ⅴ. 표현

01. 조형 요소와 원리
1. 조형 요소
2. 조형 원리

02. 드로잉과 드로잉 재료
1. 소묘의 개념
2. 드로잉 재료

03. 회화 표현의 방법
1. 안료와 용구
2. 수채화(Water Color)
3. 구아슈(Gouache)
4. 템페라(Tempera)
5. 유화(Oil Color)
6. 아크릴화(Acrylic Color)
7. 한국화와 용구

04. 판화의 이해
1. 판화의 기초
2. 볼록판화(Relief)
3. 오목판화(Intaglio)
4. 평판화(Planography)
5. 공판화(Stencil)
6. 디지털 프린트와 현대 판화의 새로운 정의

05. 조소의 이해
1. 조소의 기초
2. 조각의 기초
3. 소조의 기초

06. 사진과 만화, 영상의 발전
1. 사진
2. 만화
3. 영상, 그래픽과 애니메이션

07. 색채의 이해
1. 색채 지각의 원리
2. 색의 체계
3. 색채 감각과 역사
4. 색의 조화와 감정 효과
5. 한국의 전통색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