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여성의 눈으로 본 한일 근현대사
여성의 눈으로 본 한일 근현대사
저자 : 한일여성공동역사교재 편찬위원회
출판사 : 한울아카데미
출판년 : 2011
ISBN : 9788946044067

책소개

소외당해 온 여성의 눈으로 다시 역사를 보려고 애쓴 결과이다. 이 책에서는 당시 조선을 위시해서 여러 아시아 국가가 일본의 침략을 받기 시작한 시기부터 2000년까지를 다루었다. 인류 역사상 가장 전쟁이 많았던 20세기 후반을 다룬 것이다. 일본은 오늘까지 전쟁에 패했음을 인정하지 않을 분 아니라, 전쟁 중에 저지른 범죄를 축소/왜곡/부정하고 있다. 일본군 성노예문제에 이르러는 이른바 '위안부'의 산 증언도 인정하지 않고 있다.

노령의 피해자는 한을 품은 채 세상을 떠나고 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한일 여성 공동 역사 교재를 내면서_한국
한일 여성 공동 역사 교재를 내면서 _일본

제1장 일본 제국주의 확장과 조선 강제 점령
1. 근대화의 동기와 일본 제국주의의 확립
2. 근대 여성 지배를 위한 법적 기반 구축
3. 사회운동과 여성 의식의 발전

제2장 3ㆍ1운동과 사회운동의 전개
1. 3ㆍ1운동의 발발과 한국의 여성운동
2. 일본 여성운동의 진전
3. 조선의 항일 민족주의 운동과 여성
4. 간토 대지진과 사회운동
5. 사회주의 ㆍ공산주의 운동과 여성운동
6. 신간회와 근우회의 통일운동
7. 여성 민중운동

제3장 생활과 문화
1. 교육의 확장과 여성 생활
2. 제국주의와 종교ㆍ교화 정책
3. 자본주의의 발전과 여성의 노동
4. 가족과 성별 역활
5. 우생정책과 출산, 산아조절 운동
6. 재일 조선인, 재조 일본인

제4장 전시 동원과 일본군 '위안부'
1. 아이사ㆍ태평양 전쟁 발발
2. 일본의 군국주의 정책
3. 내선일체 이데올로기와 민족성 말살
4. 총동원 체제
5. 일본군 '위안부' 제도
6. 여성의 전쟁 협력

제5장 해방과 분단, 한국전쟁
1. '대일본제국' 의 붕괴와 여성
2. 미국의 점령과 여성정책
3. 미 점령기 여성운동
4. 한국전쟁과 여성
5. 해방 직후의 재일 한국인 여성
6. 미군과 기지촌 여성
7. 강화 후의 여성운동과 반기지투쟁

제6장 민주화 투쟁과 여성
1. 동아시아의 냉전 체재와 여성
2. 민주화 투쟁
3. 노동운동ㆍ시민운동과 여성
4. 베트남전쟁
5. 일본의 우먼ㆍ리브
6. 가족생활의 변화
7. 재일 한국인 여성운동과 이주노동자 문제
8. 일본의 청년문화와 마이너리티 운동
9. 한국의 대중문화와 반체제문화

제7장 여성운동의 성장과 여성국제전범법정
1. 여성운동의 발전
2. 일본군 성노예 문제 해결을 위한 운동
3.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4. 헤이그 판결 이후 : 앞으로의 운동방향
5. 2000년대 한국 여성운동의 전망

참고
연표
편집 후기_한국
편집 후기_일본
찾아보기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