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이 모든 것을 만든 기막힌 우연들 (우주 지구 생명 인류에 관한 빅 히스토리)
이 모든 것을 만든 기막힌 우연들 (우주 지구 생명 인류에 관한 빅 히스토리)
저자 : 월터 앨버레즈
출판사 : 아르테(arte)
출판년 : 2018
ISBN : 9788950977054

책소개

우리는 이 세계를 물려받은 몇 안 되는 행운의 존재들이다!
빅 히스토리가 선사하는 세상과 인간을 보는 새로운 관점

● 소행성 충돌 공룡멸종설을 밝혀낸
저명 지질학자 ‘월터 앨버레즈’의 저서
● 이강환 서대문자연사박물관 관장 번역
● 이정모 서울시립과학관 관장 추천

다양한 분야를 단순히 결합했다고 해서 빅 히스토리가 되는 것은 아니다. 우주, 지구, 생명, 인류라는 네 가지 큰 구슬과 함께 인간의 삶에 얽힌 소소한 구슬을 인류 원리를 중심으로 꿰어야 빅 히스토리다. 『이 모든 것을 만든 기막힌 우연들』은 서 말의 구슬을 제대로 꿰어 보배로 만든 최초의 빅 히스토리 책이라고 단언할 수 있다. 공룡을 멸종시킨 다섯 번째 대멸종의 비밀을 밝힌 지질학자 알바레즈는 138억 년 우주의 역사에서 우리가 등장한 사건은 연속적인 우연의 결과임을 드라마틱하게 보여주면서 독자의 시야를 넓혀 준다. 자신의 존재에 대한 경외감과 우주에 대한 겸손함을 샘솟게 하는 책이다.
- 이정모 (서울시립과학관장)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소행성 충돌로 인한 공룡 멸종을 밝혀낸

지질학자 월터 앨버레즈가 풀어낸 장구한 역사



월터 앨버레즈는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아버지 루이스 월터 앨버레즈와 함께 소행성 충돌과 공룡 대멸종설을 밝혀내 주목을 받은 유명 지질학자이다. 저자는 『이 모든 것을 만든 기막힌 우연들』에서 138억 년의 우주 역사, 45억 년의 지구 역사, 수백만 년의 인류 역사, 국가의 생성과 소멸, 그리고 우리가 존재하기까지 이어진 몇 세대의 가계도 등 생각할수록 불가능하게 보이는, 인류를 비롯한 지구상의 모든 생명의 역사를 기막힌 우연들의 연속이라는 관점에서 흥미롭게 그려 낸다.

빅 히스토리는 우연의 연속이라는 파노라마와 같은 관점에서 역사가와 과학자 들이 함께 전통적 역사에 우주와 우주의 과거를 연구하는 과학적 통찰력을 결합시켜 새롭게 개척한 분야이다. 월터 앨버레즈 역시 빅 히스토리가 우주, 지구, 생명, 인류의 결합이라고 여기며, 이 네 가지 카테고리는 그가 UC 버클리 대학에서 개설한 빅 히스토리 강의의 중요한 주제이기도 하다. 그중 우주 역사, 지구 역사, 생명 역사는 명백히 과학의 영역인데, 역사학자 데이비드 크리스천, 교육학자 신시아 브라운과 같이 지금까지 빅 히스토리를 집필한 이는 대부분 인문학자인 것이 사실이다.

『이 모든 것을 만든 기막힌 우연들』은 역사가가 아닌 과학자가 쓴 첫 번째 빅 히스토리로, 역사들의 얽힘과 그 결과를 보다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서술했다. 앨버레즈는 전염성 강한 그의 호기심과 독특한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우리가 이 우주상에 존재하게 된 불가능한 여정을 가능하게 만들어 준 여러 믿기 어려운 사건들인 빅뱅, 초대륙 형성, 청동기 시대의 시작 등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빅뱅 순간에서 지금 우리 삶에 이르기까지

우주는 어떻게 변해 왔고, 그 변화는 현실을 어떻게 바꾸었나?



절대적으로 거대한 우주에 살고 있는 인간과 인간의 현실은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 우주 나이는 1920년대 허블과 휴메이슨이 빅뱅 우주론을 제기한 이래 수정을 거쳐 현재 138억 년으로 밝혀졌다. 그 후 지질학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현재 지구 나이는 약 45억 년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우주 역사와 지구 역사 모두 현재 인간의 기준에서 보면 너무 길어서 역사로 느껴지지 않을 수 있다. 지질학자 앨버레즈가 제시하는 빅 히스토리 관점에서 세상을 보려면 새로운 척도가 필요한데, 기록된 인류사는 5000년 정도 되지만 지구 역사는 약 45억~50억 년이기 때문에 100만 년을 인간 역사의 1년으로 간주하고 거대 역사를 생각해 보는 것이다. 그렇게 세상을 보면 공룡이 멸종한 6600만 년 전은 인류사에서 불과 66년 전의 일이다.

이렇게 관점을 빅 히스토리에 맞춰 놓고 상상력을 동원해 우주와 지구, 생명의 역사를 보자. 그가 말하는 기막힌 우연들 중 첫 번째 우연은 바로 빅뱅이다. 우주는 “모든 공간을 포함하는 빅뱅이라고 하는 어마어마하게 뜨겁고 무한히 작은 점에서 신비롭게 시작했다.” 수소, 헬륨, 미량의 리튬밖에 없었던 우주가 암흑시대를 거쳐 별 내부의 원소를 융합하고 별의 일부를 폭발시켜 물질을 진화시켰다. 이때 주변 성운이 폭파하면서 생성된 무거운 원소들이 우리은하의 태양 주변에 모여들게 되었다. 그렇게 해서 우리은하 내에 암석의 생성이 가능한 조건이 갖춰졌고 태양계 내에서 지구라는 안정화된 행성이 존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저자는 지구 역사에서 ‘규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규소는 지구가 탄생할 때에 산소, 마그네슘, 철과 더불어 우리 행성을 구성한 주요 요소였고 석기 제작, 유리와 같은 인공 물질의 발명, 컴퓨터에도 쓰이는 중요한 원소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구가 이 규소를 응축하고 사용 가능한 형태로 만드는 과정이 인류가 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여기에서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판구조론이 등장한다. 판과 판, 즉 다른 대륙끼리 마그마에 의해 갈라지고 부딪히면서 일어난 대륙충돌에 의해 이산화규소를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는 화강암이 만들어지는 덕택에 석영 결정이 생성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퇴적된 석영 결정은 풍화작용 덕분에 모래 언덕이나 강의 수로, 해변에 쌓여서 거의 영원히 남는다. 이렇게 판의 이동과 거친 풍화작용을 거쳐 처음에는 행성에 존재하지 않았던 석영이 지구에 만들어졌다.

규소는 사실 지구가 자원을 생산하는 과정의 한 예이다. 빅 히스토리 관점에서 보면 우리는 칼 세이건의 말처럼 지구가 집적한 ‘별 먼지’로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그 결과로 만들어진 대양과 산맥, 강과 같은 지형들이 인류사를 만드는 데 크나큰 영향을 미쳐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생명은 어떨까? 아무것도 없는 우주에서 지구라는 행성이 생성된 것도 무수한 우연의 중첩으로 가능했던 일이지만, 생명이 탄생하는 것 역시 우연들의 연속이다. 우리 몸을 이루는 세포의 첫 조상은 어떻게 생겨난 것일까? 아직 이 기원은 밝혀지지 않았는데 긴 명왕누대와 시생대 잠복기 중 어느 시기엔가 우리 몸을 이루는 세포가 등장했고, 진정세균, 고세균의 세포내공생으로 진핵생물이 만들어졌다. 이것은 DNA를 가지는 핵을 포함한 우리 세포의 주요 부분이 되었다. 이후 다세포동물이 진화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몸이 등장했고 고생대를 거치며 동물이 바다에서 육지로 올라와 뼈와 껍데기 같은 단단한 부분이 발달하게 되었으며, 중생대를 거치며 육지 위에서 파충류, 조류, 양서류, 포유류 등이 나타났다. 이후 6600만 년 전 유카탄반도에서 있었던 거대한 충돌이 심각한 환경 변화를 일으켰고 공룡이 멸종하면서 영장류, 즉 인간의 조상이 진화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제 인류에 이르렀다. 인간은 지구에서 거주 가능한 지역을 거의 전부 차지하고 있는 놀라운 종이다. 신대륙을 향한 호기심, 화성과 달 탐사로까지 이어지는 모험심! 이렇게 놀라운 특징을 지닌 인간을 만든 특징은 무엇일까? 월터 앨버레즈는 불과 도구의 사용을 인간의 중요한 특징으로 꼽는다. 단순한 가열의 수단으로서 불을 사용한 초기 인류를 지나 인간과 불의 만남은 산업혁명과 로켓 발사를 가능하게 했다. 또 도구는 어떤가? 석기시대, 청동기시대 등 광물을 가공하고 이를 사용하면서 인류를 문명을 이룩했고 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발전은 앞서 살펴본 지구 역사에서 광물의 생성 과정과 긴밀하게 얽혀 있고, 지질은 인간 문명이 의존하는 자연 자원을 발견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해 왔다. 대양, 산맥 강과 같이 지구가 만들어 낸 우연의 결과물들이 없었다면 인류사는 어떻게 바뀌었을지 모르는 일이다. 이러한, 규칙성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앞선 사건이 후대의 조건이 되는 이러한 맞물림은 독자들이 느낄 수 있는 빅 히스토리의 빼놓을 수 없는 매력이다.



우주, 지구, 생명, 인류와 인간의 삶이라는 구슬을

잘 꿰어 낸 우연과 경이의 빅 히스토리



월터 앨버레즈는 2006년부터 버클리 대학에 ‘빅 히스토리: 우주, 지구, 생명, 인류’라는 제목의 강의를 개설하여 운영해 오고 있고, 이 책은 그 강의에 기반한 것이다. 이 책을 번역한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이강환 관장은 빅 히스토리가 그동안 별개의 학문으로 발전해 온 천문학, 지질학, 생물학, 화학, 인류학, 고고학 등 여러 분야의 학문을 모두 포괄하여 다룸으로써 “다양한 관점으로 역사를 바라볼 수 있게 해 주는 최적의 학문”이라고 강조한다. 철학적 사고와 마찬가지로 과학적 사고가 우리에게 주는 이로움은 지식을 넘어서 우리가 살아가는 매일의 일상에서 벗어나 더 크고 넓은 영역에 미치는 운동과 생성의 원리를 생각해 봄으로써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새롭게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의 추천사를 쓴 서울시립과학관 이정모 관장이 말하듯 “다양한 분야를 단순히 결합했다고 해서 빅 히스토리가 되는 것은 아니”며 “우주, 지구, 생명, 인류라는 네 가지 큰 구슬과 함께 인간의 삶에 얽힌 소소한 구슬을 인류 원리를 중심으로 꿰어야 빅 히스토리”이다. 『이 모든 것을 만든 기막힌 우연들』은 “서 말의 구슬을 제대로 꿰어 보배로 만든 최초의 빅 히스토리 책”으로, 우주의 탄생부터 연속성과 우연성으로 이어진 긴 흐름의 일부인 우리를 생각하게 하며, 우리 자신과 우리가 살고 있는 주변 환경을 새롭게 볼 수 있는 관점을 선사한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프롤로그 이 모든 것을 만든 위대한 여정, 빅 히스토리

1장 빅 히스토리, 지구, 인간 현실
멕시코 탐험 | 밈브랄 탐사 | 밈브랄 발견 | 빅 히스토리 | 인간 현실 | 빅 히스토리와 인간 현실

우주
2장 빅뱅에서 지구까지
‘경이로움’의 의미 | 노새 마부의 발견 | 지질학과 빅뱅 | 단 여섯 개의 수 | 암흑시대와 별빛 시대 | 우리 행성의 탄생

지구
3장 지구가 준 선물
지구에 의해 응축된 별 먼지 | 지구가 자원을 유용하게 만드는 방법 | 지구와 인간이 가장 선호하는 원소 | 규소와 석기 | 유리와 컴퓨터의 재료, 모래 | 판구조론과 석영 모래 | 지구 물질과 인간 현실

4장 대륙과 해양이 있는 행성
인간 현실에서 대륙과 해양 | 포르투갈, 스페인, 그리고 대륙과 해양의 지도 제작 | 대륙이 움직인다! | 지구 역사의 순환 | 판게아의 운명과 탐험의 미래 | 리스본의 파괴 | 과학이 포르투갈의 발견과 함께 시작됐을까?

5장 두 산맥 이야기
빅 히스토리의 산맥들 | 역사학자가 산맥을 보는 관점 | 초기 여행자가 산맥을 보는 관점 | 현대 여행자와 예술가가 산맥을 보는 관점 | 암석에 쓰인 산 역사 읽기 | 산 샌드위치를 만드는 방법 | 산으로 만든 조각품

6장 고대 강에 대한 기억
기차에서 본 풍경 | 허드슨강 | 이리 운하 | 빙하 경계 강과 인류사 | 고대의 잃어버린 강 | 한밤의 사막 여행 | 캘리포니아의 골든 리버

생명
7장 생명 역사의 개인적인 기록
“끝없는 순환이 가장 아름답고 가장 경이로운 것을 만든다” | 기원: 명왕누대와 시생대 | 오랜 잠복기: 시생대와 원생대 | 함께 사는 세포들: 시생대 후기 | 바다에서 육지로: 고생대 | 그늘에서 살아남기: 중생대 | 해방!: 신생대 | 똑바로 걷고, 현명하게 생각하고, 소리 내어 말한다: 플라이오세 제4기

인류
8장 위대한 여정
느리지만 어디에나 있는 종 | 다른 곳에는 사람이 살까? | 사람으로 가득 찬 땅 | 먼 곳과 가장 먼 곳 | 인간 여정의 시작 | 유전자에 기록된 여정 | 우리는 어떻게 여행했을까? | 통찰

9장 인간 되기
언어, 불, 그리고 도구 | 지구의 불의 역사 | 불과 초기 인간 | 불을 다루는 인간 | 도구와 청동기시대 | 스쿠리오티사의 고대 광산 | 구리는 어디에서 왔을까? | 청동기시대의 주석

에필로그 이 모든 일이 일어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부록
심화 자료 | 도판 목록 | 주석 | 색인 | 감사의 말 | 옮긴이의 글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