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정신병리학 (정신병리의 개념적 접근)
정신병리학 (정신병리의 개념적 접근)
저자 : 강웅구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21
ISBN : 9788952129864

책소개

‘마음이 움직이는 방식’으로 이해하는 정신병리

우리나라의 정신건강의학과 수련 중에는 정신병리학과 관련된 별도의 과정이 없어서, 정신병리학은 어깨너머로 알음알음 배우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다 보니 특히 젊은 정신과의사들에서, 정신병리학에 대한 개념과 철학이 확고하지 못한 경우가 간혹 눈에 띈다. 임상 정신의학이 표면적으로 관찰되는 행동과 그것을 교정하는 약물 간의 조견표처럼 되어 가는 상황은 우려스럽다. 환자를 ‘매뉴얼에 정의된 행동양상 및 검사소견을 가지고 있는 대상’으로 보는 관점으로는 정신의학의 궁극적 목적인 인간에 대한 이해에 도달할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저자는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이 책은 정신병리 각각에 대한 상세한 기술보다는, 몇 가지 주요 정신병리들을 ‘마음이 움직이는 방식’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한 개념을 전개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저자는 독자들이 이 책의 견해를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이 책을 통해 환자들의 마음을 새로운 각도에서 조망해 볼 동기를 갖게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마음이 움직이는 방식’으로 이해하는 정신병리



우리나라의 정신건강의학과 수련 중에는 정신병리학과 관련된 별도의 과정이 없어서, 정신병리학은 어깨너머로 알음알음 배우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다 보니 특히 젊은 정신과의사들에서, 정신병리학에 대한 개념과 철학이 확고하지 못한 경우가 간혹 눈에 띈다. 임상 정신의학이 표면적으로 관찰되는 행동과 그것을 교정하는 약물 간의 조견표처럼 되어 가는 상황은 우려스럽다. 환자를 ‘매뉴얼에 정의된 행동양상 및 검사소견을 가지고 있는 대상’으로 보는 관점으로는 정신의학의 궁극적 목적인 인간에 대한 이해에 도달할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저자는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이 책은 정신병리 각각에 대한 상세한 기술보다는, 몇 가지 주요 정신병리들을 ‘마음이 움직이는 방식’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한 개념을 전개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저자는 독자들이 이 책의 견해를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이 책을 통해 환자들의 마음을 새로운 각도에서 조망해 볼 동기를 갖게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이 책에 대해서
일러두기
약어목록

1장 정신병리학의 개념과 역사

1부 | 기본적 문제들과 접근법

2장 뇌와 마음
3장 정상과 이상
4장 진단의 의미
5장 자연종
6장 정신병리의 진화적 관점
7장 현상학적 정신병리학

2부 | 측정과 진단

8장 정신병리학의 대상 및 측정
9장 정신기능의 분류
10장 진단체계 및 진단적 추론
11장 정신병리와 질병행동
12장 정신질환과 지표

3부 | 정신병리 각론

13장 의식
14장 의식 및 주의력의 병리
15장 자아의 병리
16장 지각의 병리
17장 사고형태 및 언어의 병리
18장 사고내용 및 태도의 병리
19장 정동과 정동의 병리
20장 기분장애의 분류학
21장 신경증의 개념 및 분류
22장 의사소통행위
23장 의지력과 의도적 행위의 병리
24장 지향성이 감소한 행위
25장 성격과 인격장애
26장 정신병리의 발달적 관점
27장 공격성, 성행동, 애착
28장 병식 또는 통찰
29장 뇌손상과 관계된 정신증상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