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영화로 철학하기
영화로 철학하기
저자 : 메리 리치
출판사 : 시공사
출판년 : 2004
ISBN : 9788952735850

책소개

이 책은 메리 리치 교수가 몇 년간 진행해온 '영화로 철학하기' 라는 강좌의 강의록과, 학생들이 펼친 토론 내용을 엮어 만든 철학 입문서로, 영화적 이미지에 철학적 문제를 연결시켜 이야기를 풀어 나간다. 영화 속의 구체적 상황에 질문을 던지고 그 질문에서 지혜로운 해답을 찾는 것이 바로 '철학하기'라고 주장하는 저자는 열두 편의 영화 속의 줄거리와 에피소드를 인용하여 철학을 쉽게 설명해 나간다. 따라서 철학하기를 직접 해 보려면 철학적 상...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책에서는 구체적으로 영화와 철학의 접목을 어떻게 시도하고 있을까? 예를 들어 회의주의, 상대주의, 도덕적 책임, 선악 중 개인의 정체성을 “존 말코비치 되기”와 “메멘토”로 풀어 보는 부분을 살펴보겠다. 저자는 ‘태어났을 때 당신과 지금의 당신이 동일한가?’라는 명제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이에 따르는 이론으로는 신체적 연속성 이론, 영혼 동일론, 심리적 연속성 이론이 있다. 그중 저자는 심리적 연속성 이론에 근거한 논리를 펴고 있다. 논리는 다음과 같다. 신체적 연속성 이론은 출생 당시부터 지금까지 연속적으로 존재해 왔다면 동일한 사람이라는 내용이다. 장기간에 걸쳐서도 변하지 않는 개인의 신체적 특성이라는 게 있는가? 여기에 가장 가까운 것이 DNA이다 그렇다면 DNA를 신체적 연속성 이론의 근거로 삼는다면 일란성 쌍생아나 복제아는 서로 구분이 되지 않는, 같은 사람이라는 논리가 나오게 된다. 이 이론은 “존 말코비치 되기”와 “메멘토”를 본 관객의 반응과 일치되지 않는다. 신체적 연속성 이론에 따르면 테디와 이야기한 레너드와, 그 다음날 아침 일어나서 이를 닦는 레너드는 모두 사고 전의 레너드와 동일한 인물이다. 또 “존 말코비치 되기”에서 통로를 통해 그 안으로 들어간 사람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이 되어야 한다. 그 통로를 들어간 사람의 신체는 사라졌다가 한참 뒤 뉴저지 톨게이트에 다시 나타난다. 신체적 연속성 이론을 신봉하는 사람은 톨게이트에 다시 나타난 사람이 아주 다른 사람이라고 말할 것이다. 두 번째로 영혼 동일론은 ‘나를 나이게 하는 것은 영혼이다.’라는 이론이다. 영혼은 평생 신체에 이런저런 방식으로 결부되어 있다가 죽을 때 신체에서 떨어져 나가 신체가 없는 형태로, 또는 다른 신체에 결부되는 방식으로 계속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 영혼 동일론을 “존 말코비치 되기”나 “메멘토”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불분명하다. 왜냐하면 영혼은 그 특성상 인간이 지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존 말코비치의 신체를 차지하고 있는 영혼은 말코비치의 것인가, 크레이그의 것인가, 아니면 둘 다인가? 레너드의 경우에도 비슷한 질문을 할 수 있다. 레너드의 원래 영혼은 사고 후에 존재하기를 그쳤다가 다시 새로운 영혼으로 대체된 것인가? 또는 일련의 새로운 영혼들이 그의 몸을 차지하고 있는 것인가? 신체는 관찰이 가능하다. 기억도 나의 관점에서는 관찰이 가능하다. 그러나 영혼은, 당신의 영혼은 물론이고 나의 영혼도 관찰하지 못한다. 세 번째 심리적 연속성 이론은, 1년 전을 기억하고 있다면 과거의 나와 지금의 나는 동일한 인물이라는 입장이다. 즉 죽었더라도 그 사람의 기억, 장기적인 심리적 특징, 의식의 흐름이 계속된다면 그 사람은 살아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것은 “존 말코비치”와 잘 어울린다. 크레이그는 통로 속으로 들어간 이후에도 계속 존재하는 것이다. 단지 그 과정에서 신체만 바뀌었을 뿐이다. 크레이그가 말코비치의 몸을 장악하면서 원래의 말코비치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경우 “메멘토”는 좀더 흥미롭다. 레너드가 자신에게 아내가 있다고 기억하는 것처럼 우리는 과거에 우리에게 벌어졌던 일을 기억한다. 우리의 경우, 심리적 연속성의 이론은 아무런 문제없이 수용된다. 그러나 레너드에게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테면 테디에게 “난 레너드 셸비야, 난 샌프란시스코 출신이야.”라고 말하는 시점의 레너드가 사건 이전의 레너드 셸비와 같은 사람이라고 해 보자. 하지만 그 다음날이 되면 레너드는 테디와 나눈 이 대화를 기억하지 못한다. 그가 하룻밤을 자고 나면 기억의 연결 고리를 통한 정체성의 이행이나 의식 흐름의 연속성이 작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테디와 대화했던 레너드와 아침에 일어나 이를 닦는 레너드는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심리적 연속성 이론에 따르면 이것은 진실이 될 수 없다. 왜냐하면 서로 동일하지 않은 두 명의 레너드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레너드의 경우는 다르다고 말할 수 있다. 왜냐하면 두 레너드(테디와 대화한 레너드, 아침에 이를 닦는 레너드)의 사고가 나기 전 부분은 시간상 겹치지 않기 때문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작가의 글
들어가는 글
제1부 지식과 진실
1장 회의주의 - 토털 리콜과 매트릭스
2장 상대주의 - 힐러리와 재키
제2부 마음, 신체, 그리고 개인
3장 개인의 정체성 - 존 말코비치 되기와 메멘토
4장 인공 지능 A.I
제3부 윤리와 도덕적 책임
5장 윤리학 - 범죄와 비행
6장 자유의지, 결정론, 도덕적 책임 - 가타카와 메멘토
제4부 철학, 종교, 인생의 의미
7장 악의 문제 - 제7봉인과 휴거
8장 실존주의 - 제7봉인, 범죄와 비행, 라스베이거스를 떠나며
주석
영화 스토리 라인과 분초 표시
옮긴이의 글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