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아이의 사회성 (세상과 잘 어울리고 어디서나 환영받는 아이로 키우는 방법)
아이의 사회성 (세상과 잘 어울리고 어디서나 환영받는 아이로 키우는 방법)
저자 : 이영애
출판사 : 지식채널
출판년 : 2012
ISBN : 9788952766168

책소개

아이의 사회성은 부모로부터 시작된다!

세상과 잘 어울리고 어디서나 환영받는 아이로 키우는 양육법『아이의 사회성』. 이 책은 또래와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성격 형성과 학습 능력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성이 무엇이고, 나이에 따라 어떻게 발달하며, 어떤 방법으로 키워줘야 하는지 자세하게 설명한다. 기질, 애착, 양육방식과 환경 등 아이의 사회성을 형성하는 다양한 원인을 분석하고, 사회성을 키워주는 구체적인 전략과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각 단계별 성장 발달 특성과 사회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더불어 사회성 때문에 마음이 아픈 아이들에게 나타나는 문제 유형을 10가지로 정리하여 문제 원인과 해결 방법을 설명한다. 아이가 태어나면서부터 주어지는 것이 아닌 사회성을 부모와의 상호작용으로 키워주고 이를 토대로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방법을 알아가고 이 방법을 다른 사람에게 확대 적용해 조화를 이루어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리더십, 공감능력, 자기표현력, 문제해결능력, 책임감은
부모의 이해와 노력으로 완성되는 사회성의 열매다.

아이의 사회성에 대한 걱정과 기대로 생기는 막연한 불안을 털어버리자!

아이가 성장하여 부모님의 품을 떠나, 보육시설이나 학교에 다녀야할 때가 되면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자신의 아이가 또래 아이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따돌림을 당하거나 적응을 못할까봐 걱정을 합니다. 그리고 이런 걱정과 더불어 아이가 자라가면서 어느 누구와도 잘 어울리며 어디서나 주목받고 환영받는 아이로 성장하기를 바랍니다. 이런 걱정과 기대의 바탕에는 ‘사회성’이 녹아있습니다. 하지만 아이의 사회성은 다양한 영역의 조화로운 발달로 형성되기 때문에 각 영역들을 충분히 이해하고, 연령에 맞게 사회성이 잘 형성되어 가는지 확인하고, 또 발달을 돕도록 노력하기가 막연하고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아이와 아이가 살아갈 사회를 바라보며 막연한 불안과 기대의 감정들이 교차하는 것이 요즘 부모님들의 마음일 것입니다.

인간은 관계 속에서 행복해지는 존재, 사회성은 행복한 삶의 밑바탕이다.
요즘 들어 많은 아이들이 “친구가 놀려요”,“친구가 때려요”,“같이 놀아주지 않아요”,“따돌려서 죽고 싶어요” 등의 고민을 자주 이야기합니다. 과거에 비해 최근 들어서 더 많은 아이들이 이런 사회성의 문제, 더 나아가서는 집단 따돌림의 문제로 고통 받고 있습니다. 이런 사회성의 문제는 일시적으로 겪고 지나가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불안, 우울과 같은 정서적인 문제와 뒤섞이면서 아이들을 더욱 고통스럽게 만든다는 것에 문제의 심각함이 있습니다. 인간은 사람들 속에서 관계를 맺고 사랑을 주고받으면서 살아가야 행복해지는 존재입니다. 사람과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것이 힘들다면 하루하루 숨 쉬는 것조차 고통일 수 있습니다. 바로 이것이 우리가 아이의 사회성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정말 아이들이 행복한 삶을 살도록 돕고 싶다면 이제 부모님들이 주목해야 하는 것이 바로 사회성입니다.

이 책은 EBS , , SBS 등의 수많은 육아 관련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현실적인 육아조언으로 이 시대의 부모님들과 소통하고, 오늘도 상담과 치료 현장에서 수많은 아이들과 함께하고 있는 원광아동상담센터 이영애 소장이 전하는 사회성 발달의 열쇠를 담고 있습니다. 사회성이란 무엇이고, 사회성이 발휘되기 위해서 형성되어야 하는 자질들은 무엇인지, 이를 돕기 위해 부모의 역할은 어떠해야 하는지 부모님들께 잘 알려드려서 보다 많은 아이들이 좀 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마음이 오롯이 녹아있습니다.

태어날 때부터 훌륭한 사회성을 갖고 태어나는 아이는 없다.
아이의 사회성은 부모의 이해와 노력으로 형성된다.

사회성은 아이가 태어나면서부터 주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아이가 자라면서 부모와 주변사람들의 노력에 따라 사회성은 성장해 나갑니다. 사회성의 출발점은 바로 부모입니다. 아이들은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토대로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방법을 알아가고, 이 방법을 다른 사람들에게 확대 적용하게 됩니다. 부모와 원만한 상호작용을 주고받으며 성장한 아이는 다른 사람들과도 조화를 잘 이루며 살아갑니다. 그러나 부모와 상호작용을 제대로 주고받지 못한 아이들은 다른 사람들과 관계 맺는 방법을 잘 모릅니다. 이처럼 사회성 발달의 첫 단추는 부모와의 관계 속에서 시작됩니다. 부모는 아이가 ‘사회적 인간’으로 건강하게 잘 자랄 수 있도록 튼튼한 뿌리를 만들어주고 좋은 열매를 맺을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아이가 진정으로 행복해지기를 원하십니까? 그렇다면 사회성이란 무엇이고, 아이의 사회성이 어떤 과정을 통해 발달하는지 알아봐야 합니다. 사회성이 아이의 원만한 인간관계와 인생을 결정지어줄 핵심 키워드이고 행복으로 이끄는 지름길이기 때문입니다.

흔들리지 않는 안정된 육아를 원한다면 아이를 충분히 이해하고, 걱정하고, 실천하라.
아이들이 성장하는 동안 사회성도 함께 발달합니다. 일반적으로 사회성은 영유아기 때 기초가 닦이고 아동기를 거쳐 꽃이 피고, 그 뒤 조금씩 수정, 보완되면서 개개인마다 고유한 특성으로 자리 잡게 됩니다. 영유아기 때 사회성의 기초가 잘 닦이면 이를 토대로 본격적으로 관계에 적응을 하게 되는 아동기를 거치면서 사람들과 함께 사는 즐거움을 만끽하고 편안한 생활을 해나갈 수 있게 됩니다.
그러나 영유아기 때 사회성의 기초가 제대로 닦이지 않으면 쓸데없는 일에 과도한 에너지를 사용하면서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삶이 행복하지 않습니다. 유치원, 학교, 더 나아가서는 사회생활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고 사람들과 어울리는 일을 힘들어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아이에게 사회성의 기초가 형성되는 영유아기는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입니다. 부모님들은 이 시기에 아이의 사회성 형성이 제대로 될 수 있도록 역할을 다해주셔야 합니다. 성장 발달의 각 시기마다 사회성이 어떻게 발달하는지 이해하고 아이의 성향에 맞게 사회성이 잘 발달되도록 지도하는 일이 중요합니다.
이 책에서는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각 단계별 성장 발달 특성과 사회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방법을 친절하게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부모들은 아이에 대한 막연한 불안과 과도한 기대를 줄이고 흔들리지 않는 안정적인 육아를 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사회성은 다양한 영역의 조화로운 발달을 통해 이루어진다.
사회성이란 사회의 기준에 맞게 행동하고, 성격이 원만해 남과 충돌 없이 지내고, 다른 사람과 쉽게 사귀고, 친구가 많으며, 집단생활과 사회적 활동을 즐기면서 여기에 참여하는 정도를 말합니다. 이 정의에 따르면, 사회성이란 한 가지 영역이 아닌 다양한 영역에서의 조화로운 발달이 전제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사회의 기준에 자신을 잘 맞추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기 조절 능력과 도덕성이 발달되어야 하고, 성격이 원만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부모와 안정된 애착관계가 이뤄져야 하고, 다른 사람과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대의 마음과 상황을 이해하는 정서 능력이 발달되어야 하며 자존감이 제대로 발달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 책에서는 사회성을 형성하는 여러 요인들 중에서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기질, 출산 직후 양육자와의 애착, 자라면서 교육을 통해 성장해가는 정서지능, 자기조절능력, 자존감, 도덕성 을 사회성 형성의 중요한 여섯 가지 열쇠로 정리하고, 이에 따른 친절한 설명과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제공하여 부모의 이해와 실천을 돕고 있습니다.

아이의 사회성은 부모의 현재와 과거를 돌아보게 하는 거울이다.
저자는 수많은 시간 다양한 아이들과 함께 울고 웃었던 경험과 상담 사례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사회성 형성의 부족으로 나타나는 아이들의 문제 유형을 10가지로 정리한 후 문제 원인과 해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비록 다른 아이들의 사례이지만 이 사례들을 읽다보면 많은 부분 공감을 하게 될 것입니다. 자연스럽게 지금의 양육방식과 환경은 어떠한지, 마음가짐은 어떤지, 나와 내 아이의 기질은 어떠한지, 부모 스스로 어린 시절 마음의 상처들은 없었는지 등을 돌아보게 됩니다. 이를 통해 부모 스스로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보게 되어 아이를 좀 더 잘 이해 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아이와 부모 자신의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양육태도, 마음가짐, 환경 활용법, 대화법, 놀이법 등 사회성을 키워주고 지속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전략을 익히게 됩니다.

추천의 글

제가 이영애 선생님과 EBS 교육방송〈부모〉를 제작했을 때 시청자들이 가장 높은 호응을 보내주신 주제는 ‘사회성 발달을 돕는 놀이’ 편이었습니다. ‘사회성은 배운 만큼, 그리고 그것을 인간관계 속에서 연습한만큼 성장한다’고 합니다. 우리 아이들이 함께 건강하게 더불어 사는 지혜가 필요한 때 알차게 구성한 책이 나와서 부모님들이 많이 좋아하실 것 같습니다.
고영준 (EBS 생방송 부모 PD)

“우리 아이가 머리는 좋은 것 같은데, 친구가 없고 눈치도 없어요.” 진료실에서 부모님으로부터 이런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사회성이 부족해서 그렇습니다.”라고 설명을 하지만 막상 “그러면 어떻게 사회성을 키워줘야 하나요?”라는 질문을 들으면 한마디로 대답하기에는 너무 어렵다고 대답할 수밖에 없어서 마음이 무거웠다. 이제는 사회성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가진 저자의 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부모님은 물론 관련 전문가에게도 일독을 권하고 싶다.
김주영 (연세주니어 분당클리닉 원장)

요즘 상담센터를 방문하는 아이들이 많이 늘었습니다. 아이들의 문제행동이나 버릇은 타고난 기질이 원인인 경우도 있지만, 부모의 양육 방식과 여러 환경 문제가 원인인 경우도 많습니다. 이 책에는 아이의 사회성 발달을 위해 성장단계에 따라 부모님들이 꼭 확인하고 노력해야 할 숙제들이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아이의 밝은 미래를 위해서라면 기꺼이 해내야 할 소중한 숙제들입니다.
신철희 (신철희아동청소년 상담센터 소장)

많은 부모님들이 갈망하고 있던 책이 드디어 나왔다. 사회성은 인간발달의 완성, 즉 인간성장의 열매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이의 사회성을 발달시키려면 복잡하면서도 세밀한 기술이 필요한 쉽지 않은 일이다. 저자는 상담과 치료, 방송활동 등 많은 시간을 투자해 아이들을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왔다. 그 결과 아이를 염려하고 걱정하는 저자의 마음이 오롯이 담긴 책이 나왔다. 부모님들은 이 책을 통해 아이의 사회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함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양육 방식들을 만나게 될 것이다.
이영미 (한국놀이치료학회 학회장, 분당어린이카운슬링 소장)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Intro. 사람 마음도 컴퓨터 안을 들여다보듯 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_4

1.사회성 제대로 보기
인간발달의 종합선물세트 _18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능력 _20
남을 이해하고 어울려 살게 하는 마음의 힘 _23
배우고 연습한 만큼 성장하는 능력 _26
Tip! 사회성이 높은 아이와 낮은 아이 _29

2.사회성 발달 과정 들여다보기
영아기(0세~만 2세) _33
나와 남을 구분하고 사회성의 기반을 다지는 때 _33
사회성 뿌리 만들기 _36
사회성 자질 키우기 _38
Tip! 0세~만 2세 아이들에게 나타나는 사회성 발달 과정 _41
유아기(만 3세~만 6세) _42
사회성 발달의 황금기 _43
친사회적 행동들이 나타나는 시기 _44
사회성의 기둥을 만드는 시기 _50
Tip! 엄마와 아빠 역할의 차이점 _55
Plus page 사회성 발달을 위한 바람직한 아빠 역할 _56
Tip! 아빠와의 놀이 방법 _58
아동기(만 6세 이상) _59
사회성이 본격적으로 발휘되는 시기 _59
친구들의 평가를 중요시하는 아이들 _60
Tip! 또래관계 발달 과정 _61
사회성을 가지 치고 다듬어주자 _62
Tip! 사회성이 나타나는 놀이 형태 _63

3.사회성을 키워주는 다양한 열쇠들
첫 번째 열쇠-기질 _66
기질이 사회성 발달 과정에 미치는 영향 _67
Tip! 순한 아이와 까다로운 아이의 차이점 _69
내 아이의 기질에 맞는 양육법 _70
아이와 벌이는 전쟁 같은 일상, 기질이 문제다 _72
Tip! 기질이 까다로운 아이 잘 훈육하는 방법 _74
사회성 좋은 아이로 키우기 위한 기질별 맞춤 전략 _75
Tip! 기질이 까다로운 아이에 대한 훈육지침 _78
두 번째 열쇠-애착 _79
안심하고 세상과 교류할 수 있게 하는 애착 _79
Tip! 안정된 애착관계를 형성한 아이 vs 불안정한 애착관계를 형성한 아이 _81
애착은 어울림의 맛을 알게 하는 밥상이다 _82
나와 타인을 이해하는 비밀지도 _84
세상을 향해 돌진하게 하는 디딤돌 _86
안정된 애착관계로 사회성을 키우는 부모의 전략 _88
Tip! 애착 발달 과정 _94
세 번째 열쇠-정서지능 _95
인생의 성공을 예언해주는 정서지능 _96
뇌에 새겨지는 영유아기의 정서 경험 _98
안정된 관계 속에서 싹트는 정서조절 능력 _101
생각과 마음 사이의 균형 잡기 _102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고 이해할 수 있는 힘 _105
Tip! 나이에 따른 정서발달 단계 _107
건강한 자기표현 속에 싹트는 사회성 _108
Tip! 정서지능이 높은 아이와 정서지능이 낮은 아이 _109
정서지능 발달을 위한 부모의 전략 _110
Tip! 아이에게 사용할 수 있는 감정단어들 _111
네 번째 열쇠-자기조절 _115
자기조절 능력이 부족한 아이들 _115
집단따돌림이 일어나는 이유 _117
자기 욕구와 다른 사람의 욕구 교집합 만들기 _119
책임감을 갖고 행동을 조절하게 하는 힘 _120
자기조절 능력 발달을 위한 부모의 전략 _122
다섯 번째 열쇠-자존감 _125
자존감을 지탱하는 세 기둥 _126
Tip! 자존감이 높은 아이와 낮은 아이 _127
자신과 주변 사람들을 사랑하는 힘 _128
자존감은 세상을 보는 안경이다 _130
자존감과 리더의 자질 _131
Tip! 자존심과 자존감의 차이 _132
자존감을 높여주는 부모의 전략 _133
Tip! 내 아이의 자존감, 집에서 평가해보기 _135
자존감을 키워주는 놀이 원칙 _136
Tip! 자존감을 높이는 칭찬의 원칙 _141
여섯 번째 열쇠-도덕성 _142
Tip! 도덕성의 7가지 덕목 _143
도덕성 없이는 사회성도 없다 _144
도덕성은 아이의 나이에 따라 발달한다 _144
도덕적 잣대보다는 이유가 중요하다 _147
보고 배우는 것이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_149
도덕성을 키워주는 양육 방법 _149
Plus page 사회성 발달을 방해하는 증상들 _156
“다른 아이에 비해 늦어요.” _156
“다른 아이와 상호작용을 하려 하지 않아요.” _157
“주의가 산만해요.” _158
“어른에게 반항적이에요.” _159
“폭력적이고 문제행동을 많이 일으켜요.” _160
“소심하고 걱정이 많아요.” _162

4.사회성 때문에 마음이 아픈 아이들
예민하고 까다로운 기질을 가진 영철이 _167
유치원 적응이 어려운 민경이 _171
독단적인 윤경이 _176
의존적인 초롱이 _180
자기주장을 제대로 못하는 한별이 _186
친구들에게 자기주장을 굽히지 않는 세린이 _191
산만해서 또래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도용이 _196
친구들 의견에는 다 맞춰주고 엄마 앞에서는 온갖 신경질을 다 부리는 세명이 _200
사회적 상황 파악 능력이 부족한 성훈이 _205
집단따돌림의 기억 때문에 고통스러워하는 미정이 _209
Plus page 사회성의 열매 _213
공감 _213
자기표현 _215
문제해결 능력 _216
책임감 _218
리더십 _218
Tip! 리더십의 구성요소 _222
Tip! 리더십이 있는 아이 vs 리더십이 부족한 아이 _224

5.사회성을 키워주는 구체적인 전략
화내지 않고 이유 설명하기 _229
친사회적 행동 보여주기 _230
Tip! 아이의 사회성을 키워주는 5가지 방법 _231
‘엄마’라는 어항에서 나와 바깥세상으로 들어가도록 하라 _232
홈그라운드의 이점 100퍼센트 활용하기 _234
형제관계를 최대한 이용하라 _236
내 아이의 강점과 약점 잘 파악하기 _242
단계별로 접근하기 _245
Tip! 울음으로 모든 것을 해결하는 아이 지도하는 방법 _250
친구 사귀는 방법 가르치기 _251
Tip! 사회성 교육에 도움이 되는 방법들 _254
관계를 유지하는 방법 가르치기 _257
Tip! 아이들이 좋아하는 행동과 싫어하는 행동 _258
집단따돌림에 대처하는 방법 _259
Tip! 놀리는 아이들에게 대응할 수 있는 말대답들 _263
Tip! 사회성 발달을 도울 수 있는 전략들 _264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