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한동대에서 만난 하나님 (갈대상자 속 한동인들의 이야기)
한동대에서 만난 하나님 (갈대상자 속 한동인들의 이야기)
저자 : 김대일
출판사 : 두란노서원
출판년 : 2011
ISBN : 9788953116153

책소개

일상에서 하나님을 기억하고 묵상할 줄 아는 청년 김대일의 『한동대에서 만난 하나님』. 스물세 살인 한 청년의 하나님과의 순수한 동행을 따라간다. 특히 하나님을 최고로 여기면서 하나님의 마음을 배우기 위해 노력하고 헌신하는 대학인 한동대에서 감동의 하나님을 만나도록 이끌고 있다. 한동대에서의 아주 자그마한 사건도 흘려보내지 않고 하나님의 마음으로 묵상하고 소화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젊은이들에게 하나님 나라를 품고 달리는 멋진 다음 세대가 되자고 도전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한 청년의 하나님과의 순수한 동행
글 속에서 하나님의 숨소리가 들린다.
그 숨소리를 들으며 하나님 나라를 꿈꾼다.

하나님과 동행하는 사람들은 공통점이 있다. 일상에서 하나님을 느낀다는 것이다. 하나님과 먹고 마시고 공부하고 자고 호흡하는 것이다. 저자는 비록 나이는 어리지만 하나님과 동행하려고 노력하는 학생이다. 비록 한 학기 동안 한동대 학생으로 있었지만, 4년 아니 그보다 더 많이 다닌 사람처럼 한동대에 대해 잘 알고 있다. 그 이유는 하나님과의 교제를 쉬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아주 자그마한 사건도 흘려보내지 않고 하나님의 눈과 마음으로 그 사건을 묵상하고 소화하려 노력했다. 이 책은 바로 그러한 노력의 결과물이며, 저자가 만난 한동대의 하나님 이야기다.
한동대 이야기하면 김영애 사모님이 쓴 《갈대상자》가 있다. 하나님이 허락하신 베스트셀러라 불릴 정도로 많은 이들에게 감동과 은혜를 선사한 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쓰게 된 이유를 저자는 이렇게 밝히고 있다.
“《갈대상자》가 이미 한동대학교의 감동과 기적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나는 바깥이 아니라 안에서, 위가 아니라 아래에서, 총장님과 사모님, 교수님들이 모르는 학생들 사이에서 일어났던 우리만의 이야기를 전하고 싶다. 왜냐하면, 내가 한동 안에서 직접 체험한 학생들의 작은 헌신과 믿음의 도전은 너무나도 색다르고 감동적이었기 때문이다. 하나님이 세우고 지키시는 대학의 학생들은 갈대상자 안에 담긴 민족의 소망과 같았다.”
이 책은 하나님 안에서 바른 비전을 품고 하나님의 사람으로 살기를 소망하는 청소년, 대학생들과 학부모들에게 큰 도전과 감동을 줄 것이다.

추천사
이 책은 대목마다 미소 짓게 하는 잔잔한 감동이 있습니다. 신선한 재미가 있습니다. 탁류와 같은 이 시대에 휩쓸려 떠내려가지 않고 물살을 거슬러 올라가는 힘찬 물고기와 같은 한 청년이 하나님께 드리는 시편입니다.
김영길 (한동대학교 총장)

영적 성숙도는 나이와 상관이 없는 것 같습니다. 자식은 부모의 거울이라는 말이 있듯이, 부모님의 신실한 인품과 영성을 그대로 물려받은 김대일 군은 이 책에서 이미 세상을 향해 물맷돌을 던지고 있습니다.
김영애 (《갈대상자》 저자)

잠자리에 들어야 할 시간을 훌쩍 넘겨 새벽까지 이 책을 읽으며 큰 감동을 받았습니다. 많은 젊은이와 청소년들도 이 책을 통해 내가 느낀 따뜻함과 기쁨을 느꼈으면 합니다. 너무도 진솔하고 순수하여 꽃밭의 꽃들을 보는 듯 해맑은 즐거움과 많은 교훈을 얻었습니다.
이윤구 (전 대한적십자사 총재, 한동대학교 석좌교수)

이 책을 읽으며 하나님의 터치에 민감하지 않으면 도무지 볼 수 없는 하나님의 나라가 가슴에 와 닿았습니다. 어느새 마음은 둔감해졌고, 보이지 않는 것들은 보지 않으려는 영적 까막눈이 되어버린 내 속사람이 활력을 찾고, 세상적인 눈이 비늘을 벗을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심규진 (15대 한동대학교 총학생회장, POSCO Management & Innovation Consulting 컨설턴트)

예수님은 당신의 식탁에 대일 군을 초대해 주셨습니다. 대일 군은 예수님과 함께 거하며 더불어 먹고 마시며, 고난과 희생과 열정과 감사와 섬김과 사랑을 배웁니다. 대일 군은 이 식탁의 아름다움을 말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입니다. 대일 군의 삶을 이토록 따뜻하고 아름답게 만들어 주시는 하나님의 이야기를 적극 추천합니다.
장수완 (한동대학교 졸업, 장로회신학대학교 신대원 재학중)


하룻밤은 선배들이 우리 10명을 비롯한 모든 새내기에게 자그마한 파란색 또는 하얀색 카드를 나눠주고 거기에 개인의 꿈과 비전을 쓰게 했다. 나는 솔직히 내가 받은 파란색 종이에 어떤 비전을 적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비전이 불확실했기 때문인 것 같다. 아마도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사는 것’이라고 적었을 것 같다. 최소한 그것만큼은 지금도 확실하기 때문이다.
아무튼 선배들은 그 카드들을 수거해 갔다. 다음 날 선배들의 안내로 900명의 새내기들은 조명이 꺼진 캄캄한 한동대 효암 채플에 집합했다. 다 자리에 앉을 때까지 새내기들은 어둠 속에서 웅성웅성 떠들었다. 우리의 눈이 채플실 안의 어두운 공간에 조금씩 적응되어 갔다.
어느덧 학생들이 다 앉고, 무대 위의 큰 스크린에서 동영상 하나가 시작되었다. 학생들이 떠들던 소리는 사라지고 자연스럽게 조용해졌다. 밤사이에 선배들이 파란색 또는 하얀색 카드를 대형 포스터에 한 장씩 여기저기 붙이는 장면을 담은 동영상이었다. 수많은 카드들을 열심히 붙이는 선배들의 동영상이 끝나고 스크린이 천천히 올라갔다. 캄캄한 채플에 무대조명이 켜지고 스크린 뒤 무언가에 조명이 집중되었다. 새내기들은 모두 스크린 뒤에서 무엇이 나타날지 숨죽이며 지켜보고 있었다. 나도 어느새 온 신경을 조명에 집중하며 숨을 멈추었다. 채플 전체에 스크린이 올라가는 소리만 들려왔다. 그리고 스크린 뒤에서 나타난 것은 엄청난 크기의 세계지도였다.
‘우와…!’
밤사이에 선배들은 우리의 비전이 적힌 카드들을 하나 하나 모자이크처럼 붙여 세계지도를 만든 것이다. 파란색 카드는 바다를, 흰색 카드는 육지를 나타냈다. 그제야 보는 모두가 감동의 숨을 내쉰다.
한동의 슬로건은 “Why not Change the World?”다. 굳이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세상을 변화시키자”라는 엄청난 선포다. 1776년 미국이 영국으로부터 독립할 때 미국 독립운동가 토마스 페인(Thomas Paine)이 미국 사람들에게 비슷한 말을 했다. 그는 “우리에게는 세상을 다시 시작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We have it in our power to begin the world over again)고 선포했다. 그는 신대륙에서 독립을 앞둔 미국인들에게 역사의 흐름을 바꿀 수 있는 기회가 있다고 말했다. 그의 선언은 미국 민주주의의 시발점이 되었다.
캄캄한 채플에서 우리의 꿈과 비전으로 모아진, 단 하나밖에 없는 세계지도를 바라보면서 한동대 2010학번의 비전이 세계를 새롭게 그릴 것을 생각하니 마음이 벅차올랐다. 밤 하늘에 떠 있는 수많은 별들을 세는 아브라함의 심정을 조금이나마 알 것 같았다.
아직은 손에 잡히지도 않고 눈에 보이지도 않지만 하나님의 거대한 약속을 기대하며 기다리는 그의 마음은 한없이 두근거렸을 것이다.
- 43~45P

서둘러 기숙사 계단을 내려갔다. 4층에서 한 층 한 층 내려갈 때마다 점점 추워졌다. 바깥의 찬바람을 생각하니 더 추운 것 같다. 그리고 1층까지 내려와서 이를 악물고 기숙사 현관문을 열었다. 문을 열자마자 찬바람이 불어 닥치며 옷 속으로 파고들어 왔다. 살을 에는 듯한 추위와 동시에 나는 눈앞에 펼쳐진 광경에 깜짝 놀라고 말았다.
‘여기가 한동 맞는 거야?’
밤사이에 눈이 와서 어두운 새벽에 한동 땅이 밝게 빛나고 있었다. 보통 캄캄하고 어둡기만 하던 길이 쌓인 눈 때문에 하얗게 빛나고 있었다. 그리고 각 기숙사 호관에서 채플로 향한 발자국들이 눈 위에 선명하게 새겨져 있었다.
수많은 발자국이 좌로나 우로나 치우치지 않고 오로지 채플로만 향해 있었다. 그 발자국들 외에는 눈 위에 아무런 흔적도 없었다. 제 시간에 일어나서 그 길을 미리 밟고 간 학생들의 발자국이 내가 갈 길을 인도해 준다. 동방박사 세 사람이 밤하늘의 큰 별을 따라갔듯이 나는 그 새벽 눈 위에 찍힌 작은 발자국들을 따라 걸어갔다. 기숙사에서 채플까지 학생들이 남긴 발자국들은 하늘의 별들보다 더 귀하게 빛났다. 채플에 가까워질수록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많은 발자국이 각 기숙사 호관에서부터 모아져 채플 속으로 들어갔다.
-63P

차분히 마음을 잡고 카페의 인테리어를 둘러보았다. 햇빛도 환하게 비치고 조용하니 아침 와플도 즐길 만해진다. 맞은편 벽에 걸려 있는 시계들이 처음으로 눈에 들어왔다. 은행이나 기차역 또는 공항에 가면 흔히 볼 수 있는 세계 각지의 시간을 알려 주는 시계들이다. 보통 공공장소에 있는 시계들은 한국을 포함해서, 뉴욕 또는 파리, 런던, 베이징 등 세계 주요도시들의 시간을 알려 준다. 히즈빈스에도 한국 시간을 알려 주는 시계는 물론이고, 또 다른 시계 네 개가 더 있다. 글로벌 대학이라고 불리는 한동대 안에 있는 카페라면 충분히 그런 시계들이 있을 법하다고 생각했지만, 지금까지는 그 시계들을 주의 깊게 본 적이 없었다.
그러나 오늘 히즈빈스의 시계들을 자세히 보니 그 시계들은 뉴욕이 아니라 에티오피아, 파리가 아니라 케냐, 런던이 아니라 네팔, 베이징이 아니라 쿠바의 시간을 알려 주고 있었다. ‘왜 하필 에티오피아와 케냐의 시간일까? 네팔과 쿠바가 이 카페와 무슨 상관이 있지?’
문득 에티오피아, 케냐, 네팔, 쿠바는 커피의 유명 생산지일 뿐만 아니라 가난한 나라들이라는 생각이 스쳐 지나갔다. 한동이 꿈꾸는 열방은 세계 주요 도시들이 아니다. 살기 편하고 출세할 수 있는 부유한 도시들이 아니다. 한동은 흥해읍 남송리 3번지에 있다. 한동은 변방에 있다. 그러나 한동은 열방을 꿈꾼다. 한동이 꿈꾸는 열방은 하나님께서 긍휼이 여기시며 불쌍히 바라보시는 개발도상국들이다. 한동대 학생들은 도서관 구석 자그마한 카페에서 우리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나라들, 우리에게 도움을 줄 순 없지만 우리가 가서 섬길 수 있는 나라들, 그런 나라들을 마음에 품는다.
-108~110P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추천의 글 큰 도전과 신선한 바람을 일으킬 책 / 김영길(한동대학교총장) 004
추천의 글 젊은이들과 부모들에게 도전이 될만한 책 / 김영애( 저자) 006
프롤로그 변방에서 열방을 꿈꾸는 사람들 008

1부 한동이 감동이 되다
STORY 01_ Out of the Blue 016
STORY 02_ 나와 한동의 첫 만남 022
STORY 03_ 코피가 터져도 우리의 새벽기도는 계속된다! 028
STORY 04_ 유스케의 이불 속 기도 034
STORY 05_ 감동의 2010 한스트 041

2부 축! 한동 광야학교 입학
STORY 06_ 창조관 4층 052
STORY 07_ 눈 위의 새벽기도 발자국 059
STORY 08_ 카터 대통령이냐 하나님이냐 066
STORY 09_ 사랑의 별다방, 한동 074
STORY 10_ ‘소일’이 연습하기 081

3부 이것이 한동이다!
STORY 11_ 이것이 한동이다! 090
STORY 12_ 눈물 콧물 쏙 뺀 《갈대상자》 096
STORY 13_ HisBeans 카페에서 104
STORY 14_ 세계를 품은 글로벌 대학 111
STORY 15_ 정직 훈련 118
STORY 16_ 한동대의 부자들 127

4부 하나님의 품 안에 있으면 언제나 승리!
STORY 17_ 하나님의 세미한 인도하심 134
STORY 18_ 어머니의 기도 140
STORY 19_ 미소를 머금은 반찬 집 아저씨 150
STORY 20_ 최고의 파트너 156
STORY 21_ 여리고 성이 무너지다 162

5부 나 중심에서 하나님 중심으로
STORY 22_ 하나님 나라는 우리 안에 170
STORY 23_ 성경말씀의 힘 176
STORY 24_ 물 위를 걷지 못할지라도 183
STORY 25_ 돈 잘 벌고 장로 되는 게 비전? 190
STORY 26_ 하나님이 주인공인 예배 196
STORY 27_ 하나님을 향해 전심으로 달려라 202
STORY 28_ 오늘의 한동이 있기까지 208

에필로그 살라, 하나님의 자녀처럼 216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