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기독교 세계관 바로 세우기 (성경의 렌즈로 세상을 보다)
기독교 세계관 바로 세우기 (성경의 렌즈로 세상을 보다)
저자 : 류현모^강애리
출판사 : 두란노서원
출판년 : 2021
ISBN : 9788953140646

책소개

오늘날 기독교는 다른 세계관을 가진 사람들의 공공의 적이 되어 버렸다.

세계관이 충돌하는 세상에서 그리스도인은
어떻게 믿음을 지키고 기독교를 변호할 것인가?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52일간의 기독교 세계관 정립 프로젝트

오늘날 기독교에 대한 공격이 다양하고 치열하다. 이들 중 가장 큰 영적 공격은 기독교 세계관과 다른 세계관들의 충돌이다. 인본주의 포스트모더니즘 같은 무신론이 교실을 통해 전파되고 있으며 모든 것이 우연이고, 상대적인 기준에 의존하는 다른 세계관이 전 학문분야와 문화와 사회체제를 주도하고 있다. 기독교 세계관 정립을 위해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저자 부부는 말씀과 함께 과학적 자료와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여 충돌하는 세계관 속에 살아가는 현대 그리스도인이 성경이라는 렌즈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바라보며 말씀이 모든 것의 다림줄이 되도록 돕고 있다. 이 책은 기독교 신앙과 세계관의 관계를 성전과 성벽으로 비유한다. 느헤미야가 무너진 성벽을 52일 만에 재건했듯이 외부의 적으로부터 우리 신앙을 방어할 수 있도록 무너진 세계관을 바로 세우는 52개의 전략을 소개한다.
신앙의 성화 과정처럼 성경적 세계관 정립도 평생에 걸친 작업이다. 그리스도인은 더욱 민감하게 자신의 세계관을 살펴보아야 한다. 세상을 보는 렌즈에 나도 모르게 오염된 부분이 무엇인지 발견하고 바로 세우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런데 많은 그리스도인이 거듭남의 기쁨 속에 기존의 세계관은 그대로 둔 채 그 위에 그리스도의 복음을 급하게 세우곤 한다. 저자도 40대 중반에 진정으로 회심했지만 젊은 시절에 형성된 진화론적 세계관이 여전히 그의 학문 세계의 패러다임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러던 중 친구의 소개로 데이비드 노에벨의 《Understanding the Times》를 번역하게 되었고(2013년) 그 과정에서 세계관의 중요성과 이 세상에서 벌어지고 있는 치열한 영적 전쟁의 실체를 파악하게 되었다.

이 책은 기독교 세계관과 비기독교 세계관을 비교세계관적 관점에서 들려주어 기독교 세계관과 경쟁하는 다른 세계관들의 진정한 차이를 이해할 수 있다. 또 세계관마다 각 학문을 이해하는 독특한 방식이 있는데 각 세계관이 10대 학문 분야를 어떻게 바라보는가를 살펴본다. 그래서 기독교 세계관이 시대를 뛰어넘어 언제 어디서나 흔들림 없이, 모순되지 않는 일관성 있는 우월한 세계관임을 명확히 깨달을 수 있다.
세계관이란 무엇이고 세계관은 어떻게 형성되는지 일목요연하게 들려주는 이 책은 각자의 세계관이 어떠하며 성경적 세계관 정립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돌아보게 해준다. 다음 세대가 성경적 세계관으로 정립되기를 바라는 모든 양육자, 예수님을 믿고 거듭났지만 삶과 지식 분야에서는 여전히 무신론적 세계관의 영향을 받는 성도, 다른 세계관을 가진 비그리스도인에게 기독교 세계관을 변론하며 그들을 품고 진리의 길로 인도하기 원하는 성도에게 매우 유용한 책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추천사
서문

Part 1. 시대 직시_하루 24시간 세계관이 치열하게 격돌하고 있다
DAY 01 충돌하는 세계관
DAY 02 세계관은 믿음을 변호한다
DAY 03 모순되지 않는 일관성 있는 세계관
DAY 04 거듭남과 기독교 세계관

Part 2. 시대 통찰_기독교 세계관은 어떻게 우월한가
DAY 05 경쟁하는 세계관들
DAY 06 기독교 세계관
DAY 07 이슬람 세계관
DAY 08 기독교 vs 이슬람
DAY 09 인본주의 세계관
DAY 10 마르크스주의 세계관
DAY 11 뉴에이지 세계관
DAY 12 포스트모더니즘 세계관
DAY 13 유교적 세계관

Part 3. 시대 분별_세계관은 학문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DAY 14 세계관과 학문은 밀접한 관계다
DAY 15 신학 1: 존재론과 기원론
DAY 16 신학 2: 인식론-신 존재를 어떻게 알 수 있는가?
DAY 17 신학 3: 무신론 신학
DAY 18 철학 1: 인식론-지식이 어떻게 가능한가?
DAY 19 철학 2: 철학과 과학
DAY 20 철학 3: 진리란 무엇인가?
DAY 21 윤리학 1: 절대적 도덕률이 있는가?
DAY 22 윤리학 2: 상대적 도덕률의 문제점
DAY 23 윤리학 3: 약자 보호가 윤리의 기준이 될 때
DAY 24 생물학 1: 진화론은 과학이 아니다
DAY 25 생물학 2: 가설과 추정으로 가득한 진화론
DAY 26 생물학 3: 최신 과학은 진화론의 증거를 부정한다
DAY 27 생물학 4: 유신 진화론 비판
DAY 28 심리학 1: 정신과 육체
DAY 29 심리학 2: 죄책감
DAY 30 심리학 3: 고통의 문제
DAY 31 사회학 1: 결혼과 가정
DAY 32 사회학 2: 교회와 교실
DAY 33 사회학 3: 국가
DAY 34 법학 1: 윤리와 법
DAY 35 법학 2: 신법과 실정법
DAY 36 법학 3: 기독교인과 법
DAY 37 정치학 1: 인권과 통치권
DAY 38 정치학 2: 보수와 진보
DAY 39 정치학 3: 성경적 정의
DAY 40 경제학 1: 성경적 경제 체제
DAY 41 경제학 2: 성경적 경제 정의
DAY 42 경제학 3: 일에 대한 성경의 관점
DAY 43 역사학 1: 예수의 부활은 역사다
DAY 44 역사학 2: 성경의 역사성
DAY 45 역사학 3: 성경의 방향성과 목적성

Part 4. 시대 돌파_세계관은 어떻게 삶의 열매로 나타나는가
DAY 46 성-생명-가정: 기독교가 지켜야 할 핵심 가치
DAY 47 차별금지법을 왜 반대하는가?
DAY 48 동성애는 유전되는가?
DAY 49 가정: 세계관 선점의 장
DAY 50 기독교 세계관에 뿌리를 둔 교육의 필요성
DAY 51 성경: 우리 삶의 다림줄
DAY 52 신앙과 지식과 삶의 일치

감사의 글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