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아이젠 (김남숙 소설)
아이젠 (김남숙 소설)
저자 : 김남숙
출판사 : 문학동네
출판년 : 2020
ISBN : 9788954671446

책소개

문학동네신인상 수상 작가 김남숙 첫 소설집!

강렬한 이미지로 불온한 생명력을 현상하는 작가 김남숙의 첫 소설집 『아이젠』이 출간되었다. 2015년 단편소설 「아이젠」으로 문학동네신인상을 수상했을 당시 심사위원들은 우리 모두에게 익숙해져버린 비루한 삶의 모습을 독창적인 화풍으로 새롭게 형상화한 이 작가의 소설에서 낯선 매력을 감지한 바 있다. “날것의 감성 혹은 타고난 (듯 보이는) 감각”(소설가 조해진)을 발휘해 “날카로운 이미지의 직관적 채집”(문학평론가 강지희)으로 읽는 이의 오감을 깊숙이 자극하는 김남숙 소설에는 “기존의 익숙한 접근과 서술방식에 한번 ‘개겨보는’”(소설가 한창훈) 힘이 담겨 있다. “활짝 피지 못하고 대책 없이 시드는 청춘의 말답게 빈곤하고 눌눌”한 언어들이 “도저하게 강렬한 표현을 때때로 성취”(문학평론가 황종연)해낼 때, 김남숙의 본능 같은 글쓰기는 ‘전망 없는 세대’로 일컬어지는 청년들의 무기력한 태도의 기저에서 아무에게도 발견되지 않은 채 형형히 빛나고 있던 생의 욕망을 끌어올린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언어의 한계를 벗어난 본능적인 감각의 세계
손상된 삶을 재생하려는 충동과 정념의 글쓰기

사건 위주의 서술을 통해 활달하게 서사를 진행시키는 최근의 소설 경향과는 달리, 김남숙의 단편은 입속에서 오래 굴린 문장들로 변두리의 밑바닥 인생을 살아가는 인물들의 내면을 증폭해나간다. 그 어느 때보다 빛나야 할 젊은 시절을 무참히 흘려보내는 익숙한 인물들이 등장하지만, 김남숙 소설에서 그려지는 이 존재들에게서는 조금의 기시감도 느껴지지 않는다. 이 작가의 눈을 통과한 선명한 일상 풍경들이 어디에서도 볼 수 없었던 음울하고 괴팍한 소설 무대로 재탄생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무대에 흘러넘치는 야성적인 이미지들은 언어로 온전히 전달되지 않는 어떤 느낌을 독자의 감각에 직접 꽂아넣는다.
「파수」에는 살아갈 것인지 죽어버릴 것인지를 내기 달리기로 정하겠다고 말하는 ‘성아’와 죽음을 개의치 않는 연인의 태도에 상처 입곤 하는 ‘나’가 등장한다. 퀴어 커플인 그들이 내달리던 골목 끝 담벼락에 방범용으로 꽂혀 있는 깨진 유리병의 예리하고 눈부신 이미지는 자꾸만 날카로운 충동을 불러일으킨다. 「염소와 나」는 이야기를 지으며 살아가던 ‘나’의 삶이 손상되는 과정을 몽환적인 필치로 묘사한 작품이다. 이야기를 만드는 동지이자 남자친구라 여겼던 ‘석이’가 ‘나’를 작품에 이용하기 위해 터뜨리는 현란한 카메라 플래시, 저녁마다 ‘나’를 닮은 흑염소가 도축을 앞두고 울어대는 소리가 들려오는 황량한 마을 풍경, 하천을 헤엄치는 피라냐들에게서 연상되는 착취의 이미지가 버무려져 슬프고도 근사한 알레고리를 완성한다.
김남숙의 등단작이자 소설집의 표제작인 「아이젠」 역시 감각과 이미지를 무수히 중첩하며 풍부한 결을 일구어내는 작품이다. 오랜 친구인 ‘나’와 ‘두치’는 연인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모든 기회를 지나쳐버리며 서로 엇갈리기만 한다. 예술에 미친 아버지, 사고로 지능장애를 갖게 된 언니와 살아가기 위해 매춘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나’와, 군대에서 폭력적인 질서에 시달리는 두치. 사랑에 의욕을 내는 것이 불가능한 이들의 몸과 마음의 상태는 인물의 목소리를 통해 평이하게 전해지기보다는 끈덕지게 따라다니는 아버지의 망치질 소리, 아버지가 만든 알루미늄 장식에 차가운 바람이 스치며 생겨나는 빛과 금속성의 소리, 참모들과 설산을 오르는 두치의 아이젠에서 느껴지는 견딤의 상태, 희고 무구한 언니의 살결과 그에 대비되는 ‘나’의 짙은 피부색 등을 통해 다채롭게 감각된다.

더 나아가 김남숙 소설의 인물들에게서는 기존의 한국소설에서 볼 수 없었던 독특한 면모가 발견된다. 이들은 스스로를 깊이 혐오한 나머지 타인에게서 진정한 사랑을 받을 수 없으리라 생각한다. 그래서 진심은 있는 그대로 발화되지 못하고, 새로운 관계는 자꾸만 유보된다. 매춘하는 ‘나’에게 욕을 뱉는 두치(「아이젠」)나 짝사랑하는 여성에게 남자와 살림을 차려도 행복해질 수 없을 거라고 악담을 퍼붓는 ‘나’(「귀」)처럼, 김남숙의 인물들은 조금씩 비틀린 방식으로 사랑을 한 끝에 영영 외톨이로 남겨진다. 그들이 빈번하게 갖는 성관계는 애정을 주고받는 행위가 아니라 돈벌이의 수단이거나 타인과 함께 있는 기분을 느끼기 위한 방법일 뿐이다. 바닥을 알 수 없는 외로움 속에서 그들은 때때로 자기파괴의 욕구와 함께 죽음 충동을 느낀다.
하지만 「파수」에서 죽고 싶다던 성아가 내기에 매번 전력을 다했듯이, 이들의 죽음 충동은 사실 원하는 방식으로 살아가고 싶다는 강한 충동에서 비롯된 것은 아닐까. 그렇다면 파수로 세워진 날카로운 유릿조각이 불러일으키는 충동은 삶과 죽음 중 어느 쪽으로도 기울 수 있을 것이다. 몸과 마음이 상해가면서 점점 심해지기만 하는 체취(「제수」)와 슬픔으로 앙상해지거나 비대해지는 몸(「아이젠」 「귀」 「이상한 소설」)은 스러져가는 삶에 대한 비유인 동시에 살아 있음을 더욱 강렬히 자각하게 하는 신호로도 읽힌다. 이 신호가 감지될 때, 김남숙 소설은 손상된 삶을 감각하고 재생하려는 본능으로 꿈틀거리는 정념의 소설이 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아이젠 _007
파수 _035
제수 _065
캐치볼 _101
자두 _133
염소와 나 _165
귀 _195
이상한 소설 _231

해설|권희철(문학평론가)
김남숙 소설어 작은 사전-혹은 불가능한 사랑 _265

작가의 말 _299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