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배우훈련
배우훈련
저자 : 앨리슨 호지
출판사 : 동인
출판년 : 2017
ISBN : 9788955067576

책소개

스텔라 애들러, 유제니오 바르바, 아우구스또 보알, 앤 보가트, 스타니슬랍스키 등 전문가들을 다루고 있다. 이들 작업에서 엿볼 수 있는 역사적, 문화적 그리고 정치적 문맥들이 알기 쉽게 정리되어 있으며 훈련과 실습을 포함해 주요 작품들을 이루는 중심 원리들이 전문가들에 의해 예리하게 통찰되고 있다. 현대연극을 규정하는 배우 훈련의 원칙과 실습, 그리고 이의 역할을 소개하는 유용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전문가들이 이야기하는 훈련의 목적과 공연의 결과물들을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은 현재에 경험하는 배우 훈련이 앞서 실험한 고민들의 농축된 결과물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미학이 공존하는 21세기 공연예술 환경에 놓인 배우들이 연기에 대한 호기심과 질문들을 역사적으로 어떻게 실험되고, 또 어떻게 확인했는지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스텔라 애들러(Stella Adler), 유제니오 바르바(Eugenio Barba), 아우구스또 보알(Augusto Boal), 앤 보가트(Anne Bogart), 베르톨트 브레히트(Bertolt Brecht), 피터 부룩(Peter Brook), 미카엘 체홉(Michael Chekhov), 조셉 체이킨(Joseph Chaikin), 자크 코포(Jacques Copeau), 필립 골리에(Philip Caulier), 예지 그로토프스키(Jerxy Grotowski), 마리아 크네벨(Maria Knebel), 자크 르콕(Jacques Lecoq), 조안 리틀우드(Joan Littlewod), 샌포드 마이즈너(Sanford Meisner), 브세볼로드 메이어홀드(Vsevolod Meyerhold), 아리안 므누슈킨(Ariane Mnouchkine), 모니카 빠뉴(Monika Pagneux), 미쉘 생 드니(Michel Saint-Denis), 브워지미에쉬 스타니에프스키(Włodzimierz Staniewsk), 콘스탄틴 스타니슬랍스키(Konstantin Stanislavsky), 리 스트라스버그(Lee Strasberg)와 같은 전문가들을 다루고 있다.

이들 작업에서 엿볼 수 있는 역사적, 문화적 그리고 정치적 문맥들이 알기 쉽게 정리되어 있으며 훈련과 실습을 포함해 주요 작품들을 이루는 중심 원리들이 전문가들에 의해 예리하게 통찰되고 있다.

현대연극을 규정하는 배우 훈련의 원칙과 실습, 그리고 이의 역할을 소개하는 유용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무엇이 배우가 무대 위에 서기 위한 본질인가? 공연을 창조하고 완성시키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가 무엇이고 어떻게 그것을 의식하고 있을 것인가?

몸과 마음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20세기 이후 연기 이론을 시스템화하려는 노력 아래 꾸준한 관심 대상이었다. 스타니슬랍스키는 배우의 캐릭터 선택을 결정짓는 에너지의 존재를 일찍이 추측하며 ‘심리신체적’이라는 말을 사용했다.

스타니슬랍스키가 배우 훈련의 필요성을 인식한 순간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이 책에 소개된 전문가들은 각자가 추구하는 연극 미학을 바탕으로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배우 훈련을 발전시켜왔다고 할 수 있다. 이들 훈련과 리허설에서 찾아볼 수 있는 공통된 특성 중 하나는 일련의 신체적 행동으로 이루어진 악보에 따른 즉흥을 강조한다고 할 수 있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이 배우들의 몸과 마음의 상태를 안/밖으로부터 생겨나는 충동과 자극들에 민감해질 수 있도록 조절하는 능력이다.

전문가들이 이야기하는 훈련의 목적과 공연의 결과물들을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은 현재에 경험하는 배우 훈련이 앞서 실험한 고민들의 농축된 결과물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미학이 공존하는 21세기 공연예술 환경에 놓인 배우들이 연기에 대한 호기심과 질문들을 역사적으로 어떻게 실험되고, 또 어떻게 확인했는지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옮긴이의 글

들어가며

서문



1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 배우로 가는 길

2 메이어홀드와 생체역학

3 자크코포: 성실함에 대한 탐구

4 미카엘 체홉과 연기 테크닉: '돈키호테가 삶에 대해 진실했는가?'

5 미셸 생 드니: 완전한 배우를 위한 훈련

6 크네벨 테크닉: 행동분석 방법

7 브레히트와 배우 훈련: 누구를 위하여 연기하는가?

8 조안 리틀우드

9 스트라스버그, 애들러, 마이즈너: 메소드 연기

10 조셉 체이킨과 배우 훈련: 현존을 위한 가능성들

11 피터 브룩: 투명성과 보이지 않는 네트워크

12 그로토프스키의 배우를 향한 비전: 접촉을 위한 탐구

13 자크 르콕, 모니카 빠뉴, 필립 골리에: 놀이, 가벼움 그리고 반항을 위한 훈련

14 바르바와 함께 훈련하기: 연기의 원리들, 전-표현적 단계 그리고 '개인적인 온도'

15 아리안 므누슈킨과 태양극단: 역사를 각색하기, 은유로써의 연극, 기표로써의 배우

16 브워지미에쉬 스타니에프스키: 가르지에니체와 귀화 배우

17 앤 보가트와 시티 극단: 순간을 창작하기

18 아우구스또 보알과 억압받는 자들의 연극



필자 소개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