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IFRS 중급 회계 (제6판)
IFRS 중급 회계 (제6판)
저자 : 김현식^최창규^김현식
출판사 : 탐진
출판년 : 2018
ISBN : 9788955405163

책소개

개정 6판에 새로운 리스 기준서의 내용을 자세하게 서술하고, 되도록 많은 예제와 연습문제를 제시하여 독자들이 새로운 리스 기준서를 충분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준서 제1115호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긴 수익’은 이미 지난 5판에 개정된 내용을 반영하였는데, 이후 기준서의 관련 사례들이 추가되었으며, 저자들의 강의 과정에서 5판의 미진한 부분이 발견되어 이를 반영하고 보완하는 작업을 하였다. 수익 기준서의 여러 문단들을 어떻게 관련지어 수익의 인식방법을 결정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많은 그림을 제시하고 예제와 연습문제를 추가함으로써 수익 기준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2018년부터 개정된 금융상품 기준서와 수익 기준서가 적용되며, 2019년부터 개정된 리스 기준서가 적용될 예정으로 되어 있어 과거 어느 때보다도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무에서 많은 토론과 의견이 쏟아져 나왔다. 본서의 제5판이 출간된 이후 리스 기준서가 공포되었고, 이미 제5판에 수록했던 수익 기준서 중 일부 내용이 추가되어, 이번에 이를 모두 반영한 개정 6판을 출간하게 되었다.
개정 리스 기준서 제1116호는 리스이용자의 회계처리를 전반적으로 바꾸었다. 개정 기준서에 따르면 리스이용자는 사용권자산과 리스부채를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종전의 운용리스와 금융리스의 분류를 더 이상 적용하지 않게 되었다. 또한 판매후리스 거래의 회계처리도 기준서 제1115호(수익 기준서)의 내용을 반영하여 종전과 매우 다르게 회계처리하게 되었다. 이에 개정 6판에 새로운 리스 기준서의 내용을 자세하게 서술하고, 되도록 많은 예제와 연습문제를 제시하여 독자들이 새로운 리스 기준서를 충분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준서 제1115호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긴 수익’은 이미 지난 5판에 개정된 내용을 반영하였는데, 이후 기준서의 관련 사례들이 추가되었으며, 저자들의 강의 과정에서 5판의 미진한 부분이 발견되어 이를 반영하고 보완하는 작업을 하였다. 수익 기준서의 여러 문단들을 어떻게 관련지어 수익의 인식방법을 결정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많은 그림을 제시하고 예제와 연습문제를 추가함으로써 수익 기준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이 외에도 거의 모든 장에서 그 동안 저자들이 강의 과정에서 생각했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였다.
국제회계기준에 대한 구체적인 회계처리에 대해서 교재마다 의견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있으며, 회계법인 간에도 의견이 일치되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다. 본서에서는 국제회계기준이 명확한 회계처리를 제시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 되도록 논리적이고 일관성 있는 회계처리를 하는 방향으로 설명을 하였으며, 다른 교재와 이견이 있는 부분도 함께 서술하여 독자들이 스스로 어떤 회계처리가 개념체계에 입각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저자들이 개정 작업을 하면서 항상 염두에 두는 것은 얼마나 쉽게 독자들에게 새로운 내용을 전달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방대한 개정 기준서의 내용 중 어느 부분을 교재에 담고, 또 어느 부분을 생략할 것인지를 결정할 때마다 많은 고민을 한다.
본서는 대학 교재용이나 공인회계사 및 세무사 시험의 수험서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국제회계기준을 실무에서 적용해야 하는 기업의 실무담당자를 위한 참고서로서의 역할도 충분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 교재로 본서를 사용하는 교수나 강사들께는 별도의 강의 파일과 주관식 연습문제 파일을 제공할 예정이다. 앞으로도 독자들의 많은 성원과 조언을 기대하면서 본서의 출간에 힘써주신 도서출판 탐진의 최재범 사장님과 편집부 직원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18년 1월
저자 일동

※ 본서의 연습문제에 대한 해답 파일은 도서출판 탐진의 홈페이지(www.tamjin.co.kr)에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PART 1 재무회계 일반
Chapter 1 재무보고와 국제회계기준
1. 재무회계의 의의 4
1.1 회계의 정의 / 4
1.2 재무보고 / 4
1.3 재무제표와 회계감사 / 7
2. 재무보고의 규제 9
2.1 자발적 재무보고의 주장 / 9
2.2 강제적 재무보고의 주장 / 10
3. 재무회계정보의 기능 11
3.1 역선택 / 11
3.2 도덕적 해이 / 13
4. 회계기준 13
4.1 회계기준의 필요성 / 13
4.2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 / 14
4.3 우리나라 회계기준의 제정 및 구조 / 15
5. 국제회계기준 18
5.1 국제회계기준의 필요성 / 18
5.2 국제회계기준의 제정과 도입 / 20
5.3 국제회계기준의 주요 특징 / 23
5.4 우리나라의 국제회계기준 도입 및 적용 / 25
■ 연습문제 34

Chapter 2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1. 개념체계의 정립 36
2. 개념체계의 구조 37
3. 개념체계의 목적 38
4. 일반목적재무보고 39
4.1 일반목적재무보고의 목적 / 39
4.2 일반목적재무보고서가 제공하는 정보 / 41
5. 유용한 재무정보의 질적 특성 45
5.1 근본적 질적 특성 / 45
5.2 보강적 질적 특성 / 48
5.3 유용한 재무보고에 대한 원가 제약 / 51
6. 기본가정 52
7. 재무제표의 요소 53
7.1 재무상태 / 53
7.2 성과 / 56
8. 재무제표 요소의 인식 58
8.1 인식기준 / 58
8.2 자산의 인식 / 60
8.3 부채의 인식 / 60
8.4 수익의 인식 / 60
8.5 비용의 인식 / 61
9. 재무제표 요소의 측정 62
10. 자본 및 자본유지의 개념 63
10.1 자본의 개념 / 63
10.2 자본유지개념과 이익의 결정 / 64
10.3 재무자본유지개념과
실물자본유지개념의 차이 / 66
11.현재가치 측정기준 69
11.1 화폐의 시간가치의 의의 / 69
11.2 단리와 복리의 이자계산 / 70
11.3 단순현금흐름의 현재가치와 미래가치 / 71
11.4 연금(annuity)의 현재가치 / 74
11.5 회계처리에의 적용 / 77
■ 연습문제 89

Chapter 3 재무제표 작성과 표시
1. 재무제표의 의의 96
1.1 재무제표의 목적과 전체 재무제표 / 96
1.2 일반사항 / 97
1.3 재무제표의 식별 / 103
2. 재무상태표 103
2.1 재무상태표의 의의와 양식 / 103
2.2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정보 / 105
2.3 유동과 비유동의 구분 / 106
2.4 재무상태표 또는 주석에 표시되는 정보 / 109
3. 포괄손익계산서 109
3.1 포괄손익계산서의 의의 / 109
3.2 포괄손익계산서의 표시 / 109
3.3 비용의 분류 / 116
4. 자본변동표 117
5. 현금흐름표 117
6. 주 석 117
■ 연습문제 131

PART 2 재무상태표
Chapter 4 유형자산
1. 유형자산의 의의 138
2. 유형자산의 인식 139
2.1 인식기준 / 139
2.2 최초 원가 / 141
2.3 후속 원가 / 141
3. 인식시점의 측정 142
3.1 원가의 구성요소 / 142
3.2 원가의 측정 / 151
4. 차입원가의 자본화 165
4.1 차입원가 자본화 여부에 대한 주장 / 165
4.2 차입원가 자본화의 개시, 중단 및 종료 / 167
4.3 자본화가능차입원가의 인식 / 168
5. 감가상각 180
5.1 감가상각의 의의 / 180
5.2 감가상각의 기본요소 / 182
5.3 회계기간별 감가상각비의 계산 / 185
6. 재평가모형 192
6.1 재평가모형의 선택 / 192
6.2 재평가모형의 회계처리 / 193
7. 유형자산의 손상 204
7.1 자산손상의 식별과 회수가능액의 추정 / 204
7.2 원가모형 적용 자산의 손상차손 및
손상차손환입 / 205
7.3 재평가모형 적용 자산의 손상차손 및
손상차손환입 / 208
7.4 현금창출단위의 손상차손 및
손상차손환입의 인식 / 212
8. 유형자산의 제거 216
8.1 유형자산 제거시 회계처리 / 216
8.2 매각예정비유동자산으로의 대체 / 217
8.3 임대목적 보유 유형자산의 판매 / 218
9. 공시 219
■ 연습문제 226

Chapter 5 투자부동산과 생물자산
1. 투자부동산 238
1.1 투자부동산의 의의 / 238
1.2 투자부동산의 범위 및 분류 / 239
1.3 투자부동산의 인식 및 측정 / 242
1.4 인식 후의 측정 / 243
1.5 계정대체 / 247
1.6 처분 / 253
1.7 공시 / 253
2. 생물자산 254
2.1 생물자산과 수확물 / 254
2.2 인식과 측정 / 254
2.3 생산용식물과 생산용식물에서
자라는 생산물 / 259
■ 연습문제 262

Chapter 6 무형자산
1. 무형자산의 의의 268
2. 무형자산으로 정의되기 위한 조건 269
2.1 식별가능성 / 269
2.2 자원에 대한 통제 / 270
3. 무형자산의 인식과 측정 271
3.1 개별 취득 / 272
3.2 정부보조에 의한 취득 / 274
3.3 자산의 교환 / 274
3.4 사업결합으로 인한 취득 / 277
3.5 내부적으로 창출한 영업권 / 280
3.6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 / 280
3.7 웹 사이트 원가(web site costs) / 283
4. 비용의 인식 285
5. 무형자산의 상각 286
5.1 내용연수 / 286
5.2 내용연수가 유한한 무형자산 / 286
5.3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 / 287
6. 원가모형과 재평가모형 290
6.1 재평가모형의 적용 / 290
6.2 재평가의 회계처리 / 291
7. 무형자산의 손상차손 및 손상차손환입 296
8. 무형자산의 폐기와 처분 301
9. 공시 301
■ 연습문제 310

Chapter 7 재고자산
1. 재고자산의 정의 및 원가배분 316
1.1 재고자산의 정의 / 316
1.2 재고자산의 원가배분 / 317
2. 재고자산의 기장방법 318
2.1 특이한 기장방법의 필요성 / 318
2.2 재고자산 거래의 장부기록방법 / 320
3. 재고자산의 취득원가 324
3.1 매입원가 / 324
3.2 전환원가 / 324
3.3 기타 원가 / 326
3.4 기타의 상황에서 재고자산의 취득원가 / 327
3.5 원가측정방법 / 327
4. 재고자산의 인식시점 328
5. 재고자산의 단위원가 결정방법 331
5.1 단위원가 결정방법의 필요성 / 331
5.2 단위원가 결정방법의 종류 / 332
5.3 단위원가 결정방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 / 336
6. 저가법 평가 337
6.1 재고자산평가손실의 인식 / 337
6.2 순실현가능가치의 추정 / 339
6.3 재고자산평가손실의 환입 / 339
6.4 저가법에 대한 비판 / 340
6.5 재고자산감모손실과 재고자산평가손실 / 345
7. 소매재고법 349
7.1 소매재고법의 의의 / 349
7.2 소매재고법의 적용절차 / 349
7.3 저가기준을 적용한 소매재고법 / 353
7.4 특수항목이 있는 소매재고법 / 356
8. 재고자산 관련 기타의 회계처리 358
8.1 기준서 제1002호의 측정 부분이
배제되는 재고자산 / 358
8.2 재고자산의 매입약정 / 359
9. 매출총이익법 359
9.1 매출총이익법의 의의 및 적용방법 / 359
9.2 매출총이익법의 장점과 단점 / 361
10. 공시 361
■ 연습문제 362

Chapter 8 금융자산
1. 금융자산의 의의 368
1.1 현금 / 368
1.2 다른 기업의 지분상품 / 369
1.3 금융자산을 수취하거나 잠재적으로
유리한 조건으로 교환할 계약상 권리 / 369
1.4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되는 계약 / 370
2. 금융자산의 분류 370
2.1 사업모형 및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에 기초한 분류 / 370
2.2 FVPL 지정 / 374
3. 금융자산의 측정 374
3.1 최초 측정 / 374
3.2 후속 측정 / 380
3.3 금융자산의 처분에 대한 추가 논의 / 393
3.4 지분상품에 대한 배당 수령 / 394
4. 손상 395
4.1 손상의 의의 / 395
4.2 손상차손 인식 대상 금융자산 / 396
4.3 기대신용손실 / 396
4.4 손실충당금의 회계처리 / 400
4.5 FVOCI 금융자산의 손상차손 회계처리 / 403
4.6 손상차손을 인식한
금융자산에 대한 이자수익의 인식 / 405
4.7 계약상 현금흐름의 변경(modification) / 411
5. 금융자산의 재분류 413
6. 금융자산의 제거 417
6.1 금융자산 제거의 판단 순서 / 417
6.2 양도자산에 대한 지속적 관여 / 424
6.3 양도자산에 대한 관리용역 제공 / 424
■ 연습문제 449

Chapter 9 금융부채
1. 금융부채의 의의 456
1.1 금융자산을 인도하거나 잠재적으로
불리한 조건으로 교환할 계약상 의무 / 456
1.2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되는 계약 / 457
1.3 금융부채와 지분상품의
구분에 대한 추가 고려 / 460
1.4 신종자본증권(영구채) / 462
2. 금융부채의 분류와 최초 측정 465
2.1 금융부채의 분류 / 465
2.2 금융부채의 최초 측정 / 466
2.3 사채의 최초 측정 / 466
3금융부채의 후속 측정 475
3.1 상각후원가로 후속 측정하는 금융부채 / 475
3.2 상각후원가로 후속
측정하지 않는 금융부채 / 480
3.3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FVPL)
항목으로 지정 / 487
4. 재분류 488
5. 금융부채의 제거 488
5.1 금융부채 제거의 회계처리 / 488
5.2 사채의 조기상환 / 490
5.3 자기사채의 취득 / 494
5.4 지분상품 발행에 의한 금융부채의 소멸 / 495
6. 금융부채로 분류되는 상환우선주 496
7. 복합금융상품-전환사채 498
7.1 전환사채의 의의 / 498
7.2 주식전환옵션의 분류 / 499
7.3 전환사채의 발행 및 후속 측정 / 501
7.4 전환사채의 전환 / 509
7.5 전환사채의 조기상환 또는 재매입 / 514
7.6 전환조건 변경(유도전환) / 516
8. 복합금융상품-신주인수권부사채 517
8.1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의의 / 517
8.2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 518
8.3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이자비용 계산 / 519
8.4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신주인수권 행사 / 520
8.5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상환 / 521
■ 연습문제 531

Chapter 10 충당부채와 우발부채
1. 충당부채 540
1.1 충당부채의 의의 / 540
1.2 충당부채의 인식조건 / 540
2. 우발부채와 우발자산 543
2.1 우발부채 / 543
2.2 우발자산 / 544
3. 충당부채의 측정 548
3.1 최선의 추정치 / 548
3.2 현재가치 / 550
3.3 기타 고려사항 / 551
4. 충당부채의 변제 및 사용 552
5. 인식과 측정기준의 적용 553
5.1 미래의 예상 영업손실 / 553
5.2 손실부담계약 / 553
5.3 구조조정 / 555
6. 공시 556
■ 연습문제 561

Chapter 11 지분상품과 자본
1. 지분상품의 의의 568
1.1 지분상품의 정의 및 평가 / 568
1.2 지분상품의 재무상태표 표시 / 568
2. 자본금 569
2.1 자본금의 의의 / 569
2.2 종류주식 / 570
2.3 자본금의 증가거래 / 572
2.4 자본금의 감소거래 / 579
3. 자본잉여금 585
3.1 자본잉여금의 의의 / 585
3.2 자본잉여금의 종류 및 증가거래 / 585
3.3 자본잉여금의 감소거래 / 586
4. 자본조정 587
4.1 자기주식 / 588
4.2 주식할인발행차금 / 593
4.3 자기주식처분손실, 감자차손 / 593
4.4 미교부주식배당금 / 593
5. 기타포괄손익누계액 594
6. 이익잉여금 596
6.1 이익잉여금의 의의 / 596
6.2 이익잉여금의 종류 / 596
6.3 이익잉여금의 처분 / 598
6.4 결손금의 처리 / 601
6.5 배당금의 계산 및 배당의 회계처리 / 603
7. 자본변동표 612
■ 연습문제 618

PART 3 포괄손익계산서
Chapter 12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1. 수익이란? 628
2. 수익의 인식 과정 629
2.1 고객과의 계약 식별(단계 1) / 632
2.2 수행의무의 식별(단계 2) / 635
2.3 거래가격의 산정(단계 3) / 645
2.4 거래가격의 수행의무 배분(단계 4) / 664
2.5 수행의무의 이행 시기 판단 및
수익의 인식(단계 5) / 669
3. 계약변경 681
3.1 계약변경의 의의 / 681
3.2 계약변경의 회계처리 / 682
4. 기타의 고려사항 691
4.1 계약원가 / 691
4.2 계약자산, 수취채권 및 계약부채 / 695
4.3 보증(warranties) / 697
4.4 기업은 본인인가, 대리인인가? / 700
4.5 추가 재화나 용역에 대한
고객의 선택권?고객충성제도 / 701
4.6 고객이 행사하지 아니한 권리 / 705
4.7 환불되지 않는 선수수수료 / 706
4.8 라이선싱(licensing) / 707
4.9 재매입약정(repurchase agreements) / 715
4.10 위탁약정(consignment arrangements) / 718
4.11 미인도청구약정(bill-and-hold arrangements) / 719
■ 연습문제 743

Chapter 13 종업원급여
1. 종업원급여의 의의 754
2. 단기종업원급여 754
2.1 단기종업원급여의 범위 / 754
2.2 인식과 측정 / 755
3. 퇴직급여 758
3.1 퇴직급여의 의의와 퇴직급여제도의 종류 / 758
3.2 확정기여제도 / 759
3.3 확정급여제도 / 760
4. 기타장기종업원급여 783
4.1 기타장기종업원급여의 범위 / 783
4.2 인식과 측정 / 784
5. 해고급여 784
5.1 해고급여의 범위 / 784
5.2 해고급여의 인식과 측정 / 785
■ 연습문제 786

Chapter 14 주식기준보상
1. 주식기준보상거래 794
1.1 주식기준보상거래의 의의 / 794
1.2 주식기준보상거래의 종류 / 795
2.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거래 795
2.1 인식 / 795
2.2 제공받는 재화나 용역의 측정 / 797
2.3 가득조건과 보상비용의 인식 / 798
2.4 부여한 지분상품의 공정가치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 / 800
2.5 부여한 지분상품의 공정가치를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없는 경우 / 807
2.6 부여한 지분상품의 조건변경,
취소 및 중도청산 / 811
2.7 주식선택권의 재무제표 분류 / 814
3. 현금결제형 주식기준보상거래 816
3.1 보상비용과 부채의 인식 / 816
3.2 보상비용과 부채 인식에 대한 추가 논의 / 820
4. 선택형 주식기준보상거래 821
4.1 거래상대방이 결제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경우 / 821
4.2 기업이 결제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경우 / 822
5. 공시 826
■ 연습문제 838

Chapter 15 법인세
1. 법인세회계의 의의 842
2. 법인세회계의 필요성 843
2.1 과세소득의 산출과정 / 843
2.2 이연법인세 인식의 필요성 / 844
3. 일시적차이와 이연법인세 849
3.1 일시적차이의 발생 및 소멸 / 849
3.2 일시적차이에 대한 이연법인세의 인식 / 851
4. 법인세비용의 인식 853
4.1 당기법인세 / 853
4.2 이연법인세 / 854
5. 이연법인세의 인식의 추가 고려사항 861
5.1 이연법인세 인식의 예외 / 861
5.2 이연법인세자산 인식의 조건 / 863
5.3 이연법인세 변동의 인식 / 865
6. 당기손익 이외로 인식되는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 869
6.1 왜 당기손익 이외의 계정으로 인식하는가? / 869
6.2 재평가잉여금에 대한 이연법인세 / 870
6.3 복합금융상품의 자본요소에
대한 이연법인세 / 872
6.4 자기주식처분손익에 대한 당기법인세 / 874
7. 재무제표 표시 및 공시 877
7.1 당기법인세, 이연법인세 및
법인세비용의 재무제표 표시 / 877
7.2 공시 / 880
■ 연습문제 889

Chapter 16 주당이익
1. 주당이익의 의의 896
2. 기본주당이익 897
2.1 보통주 귀속 당기순손익(분자 계산) / 898
2.2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분모 계산) / 900
2.3 잠재적보통주의 전환시 기본주당이익 / 910
3. 희석주당이익 912
3.1 희석주당이익의 의의 / 912
3.2 보통주 귀속
당기순손익의 조정(분자 조정) / 913
3.3 조정주식수의 계산(분모 조정) / 914
3.4 잠재적보통주가 당기 중에 보통주로 전환된 경우
희석주당이익의 계산 / 918
3.5 여러 종류의 잠재적보통주를 발행한 경우
희석주당이익의 계산 / 921
4. 희석주당이익 계산시 추가 고려사항 925
4.1 반희석 여부의 판단 / 925
4.2 주식기준보상 / 926
4.3 조건부발행보통주 / 928
5. 소급수정 930
6. 재무제표 표시 및 공시 932
■ 연습문제 938

PART 4 기타 재무보고
Chapter 17 환율변동효과
1. 환율변동효과의 인식과
재무제표의 환산의 개요 946
2. 기능통화, 외화 및 표시통화 946
2.1 기능통화, 외화 및 표시통화의 정의 / 946
2.2 기능통화의 결정 / 948
3. 기능통화에 의한 외화거래의 보고 949
3.1 외화거래의 최초 인식 / 949
3.2 보고기간 말의 외화환산 / 950
3.3 결제시점의 외환차이 / 953
3.4 외화선급금 또는 외화선수금의
회계처리(해석서 제2122호) / 959
3.5 외환차이에 대한 추가 논의 / 960
4. 표시통화로의 환산 964
4.1 표시통화로의 환산의 필요성 / 964
4.2 환산방법 / 965
4.3 국내 기업 재무제표의 표시통화 환산 / 970
4.4 표시통화의 변경 / 972
5. 공시 974
■ 연습문제 984

Chapter 18 리 스
1. 리스의 의의 990
1.1 리스의 특징과 이행 절차 / 990
1.2 리스의 실질 / 991
1.3 인식 면제 / 992
1.4 리스의 식별 / 992
1.5 리스요소와 비리스요소의 분리 / 995
1.6 리스기간 / 996
2. 리스이용자의 회계처리 996
2.1 최초 측정 / 996
2.2 후속 측정 / 1003
2.3 리스부채의 재평가(reassessment) / 1008
2.4 리스변경 / 1017
2.5 리스이용자의 표시 및 공시 / 1025
3. 리스제공자의 회계처리 1026
3.1 리스의 분류 / 1026
3.2 리스제공자의 금융리스 회계처리 / 1029
3.3 리스제공자의 운용리스 회계처리 / 1043
4. 판매후리스 거래 1045
4.1 판매후리스 거래의 의의 / 1045
4.2 판매후리스 거래의 회계처리 / 1045
■ 연습문제 1050

Chapter 19 회계변경과 오류수정
1. 회계변경 1058
1.1 회계정책의 선택 및 적용 / 1058
1.2 회계변경의 종류 / 1059
1.3 회계변경의 회계처리 / 1063
1.4 회계변경 관련 공시 / 1072
2. 오류수정 1074
2.1 오류의 의의 및 유형 / 1074
2.2 오류수정의 회계처리 / 1078
2.3 전기오류수정분개와
비교재무제표 재작성의 의미 / 1080
2.4 경영자의 이익조정 유인 / 1085
2.5 오류수정 관련 공시 / 1086
■ 연습문제 1097

Chapter 20 현금흐름표
1. 현금흐름표의 의의 및 필요성 1104
2. 현금흐름표의 형식 1104
3. 현금및현금성자산의 구성요소 1107
4. 현금흐름 유형의 구분 1108
4.1 영업활동 현금흐름 / 1108
4.2 투자활동 현금흐름 / 1109
4.3 재무활동 현금흐름 / 1110
4.4 현금흐름의 활동구분에서
주의해야 할 항목 / 1111
4.5 비현금거래 / 1113
5. 현금흐름표의 작성 1113
5.1 영업활동 현금흐름 / 1114
5.2 투자활동 현금흐름 / 1130
5.3 재무활동 현금흐름 / 1133
5.4 외화현금흐름 / 1140
6. 간접법 작성시 가감항목에 대한 고려사항 1145
7. 현금흐름표의 유용성 및 한계점 1156
7.1 현금흐름표의 유용성 / 1156
7.2 현금흐름표의 한계점 / 1157
7.3 연도별 현금흐름의 구성변동과
당기순손익과의 비교 / 1158
■ 연습문제 1167

Chapter 21 기타의 재무보고
1. 정부보조금 1176
1.1 정부보조금의 의의 / 1176
1.2 정부보조금의 인식 및 측정 / 1177
1.3 정부보조금의 회계처리 / 1177
1.4 정부지원 / 1183
2. 매각예정비유동자산과 중단영업 1184
2.1 매각예정비유동자산 / 1184
2.2 중단영업 / 1189
3. 탐사평가자산 1192
3.1 탐사평가자산의 의의 / 1192
3.2 탐사평가자산의 회계처리 / 1194
4. 보고기간후사건 1198
4.1 보고기간후사건의 의의 / 1198
4.2 보고기간후사건의 유형 및 회계처리 / 1199
4.3 기타의 고려사항 / 1200
5. 중간재무보고 1201
5.1 중간재무보고의 필요성 / 1201
5.2 중간재무보고서의 내용 / 1201
5.3 인식과 측정 / 1204
5.4 이전에 보고된 중간기간에 대한 재작성 / 1205
6. 영업부문 1206
6.1 영업부문 공시의 필요성 / 1206
6.2 영업부문과 보고부문 / 1206
6.3 측정과 공시 / 1208
7. 특수관계자 공시 1209
7.1 특수관계자 공시의 목적 / 1209
7.2 특수관계자의 범위 / 1210
7.3 공시 / 1211
■ 연습문제 1213

★ 부록-현가표 1221
★ 찾아보기 1226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