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이광수 문학과 민족 담론
이광수 문학과 민족 담론
저자 : 김경미
출판사 : 역락
출판년 : 2011
ISBN : 9788955569056

책소개

식민지 문학사에서의 작가 이광수. 근대문학의 '트라우마'로 기억되고 있는 그의 문학과, 친일 지식인으로 해석되는 그에 대한 논의들은 과연 정당한가? 그에 대한 이러한 평가의 뿌리는 어디에서 찾아야 하며, 그가 조우한 식민지 근대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이 책에서 저자는 그가 살아온 시대의 굴곡만큼이나 다양하게 평가되고 있는 작가 이광수와 그의 문학에 대해 집중적인 분석과 재해석을 시도한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광수 문학에 담긴 '민족'

이광수는 ‘민족’을 자신의 문학과 삶을 대표하는 화두로 삼은 작가이다. 이 책은 이광수가 화두로 삼고 있는 ‘민족’ 담론이 식민주의 권력과 문화 그리고 다양한 담론들과 충돌하고 갈등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다양하고 미시적인 차이에 주목하여, 그의 민족 담론이 어떤 방식으로 변모되고 전개되는지를 추적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1910년대부터 대일협력으로 얼룩진 식민지 말기까지의 이광수 문학에 대하여 단순히 ‘타협’ 또는 ‘변절’로 규정하는 이분법적 틀에서도 벗어나고 있으며, 식민지 주체가 식민주의 구조에 포섭된 주체이므로 그의 민족 담론도 일제의 헤게모니적 지배와 동궤를 걷고 있다고 규정하는 파시즘의 논리와도 다르다.

이광수가 살았던 식민지 장(場)은 식민주의 권위의 상징을 ‘차이’의 기호로 치환하는 공간이다. 식민지는 식민주의의 억압적 담론이 수용되더라도 식민지인의 담론과 섞이면서 미시적인 차이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미시적인 차이는 식민지라는 시공간에서 제국주의 담론에 균열을 일으킨다. 식민지 조선에서 이광수의 ‘민족’ 담론은 식민지 장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형성된 균열로서 식민주의에 대한 저항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타협’ 또는 ‘변절’로 규정지어온 기존의 이광수 문학에 대한 시각을 다양한 층위에서 해석하는 길을 제공하고, 특히 공백기로 남겨진 식민지 후반기 문학의 의미를 새롭게 규정할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이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부: 이광수 문학의 민족주의 담론의 양가성

● 제1장 이광수 문학과 민족 담론 | 15

1. 문학, 민족, 담론과의 상관관계 15

2. 식민주의 담론의 모방과 전유 21

● 제2장 식민주의 문명화 담론과 준비론 | 37

1. 문명과 야만의 논리, 그리고 물질문명 37

2. ‘정’의 문학과 식민주의 담론과의 균열 56

3. 동화주의 담론과의 차이와 준비론의 양가성 76

● 제3장 문화정치 기획과 문화 민족주의 담론 | 101

1. 반사회주의 담론과 문화 개조 담론 101

2. 에서 으로의 이행과 ‘대중’ 123

3. ‘사회적 개인’의 조직과 문화 민족주의 담론 146

● 제4장 ‘근대 초극론’으로의 전환과 원형적 민족주의 | 173

1. 내선일체의 이중성과 황민화론 173

2. 황민화 담론과의 차이와 원형적 민족주의 193

3. 계몽 서사의 역전 구조와 의 양가성 199

● 제5장 민족주의 담론과 토포스(topos)적 인식 | 213

1. 상황론적 논리와 토포스적 인식 213

2. 민족주의 담론의 양가성 230



제2부: 식민지 담론과 민족 서사

● 1920년대 이광수의 역사 내러티브와 민족주의 담론의 양상 | 241

1. 역사 내러티브와 ‘문학’의 상동성 241

2. 1920년대 식민지 문화 담론과 역사 내러티브 245

3. 의 서사 전략과 민족주의 담론의 역학관계 253

1) 고증적 역사의 사실 효과와 민족 복원 254

2) 인물 초점화의 객관적 서술과 계몽성 258

3) 연재 방식의 흥미성 유발과 대중 독자 확보 261

4. 1920년대 역사 담론의 역할과 의미 265

● 1940년대 이광수의 역사 내러티브와 민족주의 담론의 양상 | 269

1. 역사 내러티브와 기억의 재구성 269

2. 황민화 담론과 민족의 재편성으로서 역사 서사 272

3. 의 서사 전략과 민족주의 담론의 양상 279

1) 역사적 개연성 확보와 공적 역사의 주변화 280

2) 기억의 선택과 배제를 통한 민족 담론의 굴절 287

4. 1940년대 이광수 역사 담론의 의미와 토포스(topos)적 인식 293

● 1920년대 전반기 이광수 문학에 나타난 문화 담론 | 299

1. 이광수 문화 담론과 근대 매체 299

2. 의 담론 기획과 이광수의 문화 담론 304

1) 의 문화 담론과 '민족개조론' 304

2) 계몽 기획과 의사소통의 원리 312

3. 의 문학 장 형성과 문화 담론의 수행 317

1) 문화 담론의 수행 공간으로서의 '문학강화' 317

2) 서사 텍스트의 전략과 독자 대중의 추종 원리 323

4. 1920년대 이광수 문화 담론의 지향점과 의미 331

● 1940년대 어문정책과 이광수의 이중어 글쓰기 | 335

1. 조선교육령과 이중어 글쓰기 335

2. 어문정책의 이중성과 이중 언어 사용의 모순 340

3. 이광수의 이중어 글쓰기의 양상 346

1) 이중 언어 병용의 의미와 ‘번역’의 확장 346

2) 일본어 소설의 서사이탈과 조선어의 ‘간섭’ 355

4. 1940년대 이광수 이중어 글쓰기의 의미 362

● 해방기 이광수 문학의 기억 서사와 민족 담론의 양상 | 365

1. 해방기 문단과 기억 서사 365

2. 해방기 문단 형성과 ‘고백’의 전략 368

1) 문단의 재편성과 서술 방식의 변화 369

2) 기억의 재구성과 고백적 글쓰기 373

3. 해방기 소설의 서사 전략과 민족 담론의 양상 379

1) 신화적 기억과 국가 재건의 논리 380

2) 세태 비판과 민족(ethnic) 복원의 욕망 386

4. 해방기 이광수 문학과 ‘민족’ 393



● 참고문헌 | 397

● 찾아보기 | 407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