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칸트의 판단력비판 읽기
칸트의 판단력비판 읽기
저자 : 김광명
출판사 : 세창미디어
출판년 : 2012
ISBN : 9788955861518

책소개

칸트의 《판단력비판》 안내서!

『칸트의 판단력비판 읽기』는 칸트의 비판철학을 체계적으로 완성한《판단력비판》의 출간 후 200년이 되는 해를 기념하여 저자가 출간한《칸트 판단력비판 연구》와《칸트미학의 이해》를 근거로 칸트 원전에 대한 충실한 읽기를 시도한 것이다. 《판단력비판》에 대한 검토와 이해를 통해 칸트의 비판철학을 이해하고, 철학적 미학 혹은 예술철학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 책은 칸트원전에 대한 충실한 읽기를 시도했으며, 원전을 해석한 많은 철학자를 참고하여 《판단력비판》을 읽기에 앞서 충실한 안내자 역할을 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칸트는 자신의 미학이론을 펼쳐 놓은 『판단력비판』의 출간과 더불어 3부작으로 이루어진 비판철학의 전 체계를 완성한다. 자연율에 대한 개념의 타당성에 관한 논의는 『순수이성비판』에서, 도덕률의 궁극 목적에 대한 논의는 『실천이성비판』에서, 그리고 자연율과 도덕률 양자의 관계 및 합일점의 모색에 관해서는 『판단력비판』에서 다룬다. 따라서 『판단력비판』에 대한 검토와 이해 없이는 그의 비판철학 전체를 체계적으로 이해했다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는 칸트의 논의를 통해 철학적 미학 혹은 예술철학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예술작품에 대한 평가나 판단은 칸트가 제기한 미적 판단의 중요한 내용을 이룬다. 우리에게 『판단력비판』 읽기는 완료형이 아니라 진행형이며 늘 새로운 해석을 요한다. 그가 제기한 미와 즐거움의 반성적 관계를 통해 현대 예술의 장르혼합과 탈장르 현상에 직면하여 『판단력비판』이 작품의 가치와 본질에 대한 해명을 위해서 어떠한 기여를 할 수 있는가 하는 물음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이는 우리가 앞으로 더 논의해야 할 과제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_ 머리말ㆍ4

I 칸트 철학 체계와의 연관 속에서 본 『판단력비판』
1. 『판단력비판』의 위치ㆍ13
2. 칸트 논의의 역사적 배경ㆍ20

II 판단과 판단력
1. 들어가는 말ㆍ29
2. 사유활동으로서의 판단ㆍ31
분석판단과 종합판단ㆍ33 | 선천적 종합판단의 가능성ㆍ35
3. 미적인 판단과 판단력ㆍ37
4. 맺음말ㆍ54

III ‘에스테틱’의 의미
1. 들어가는 말ㆍ59
2. 감성적 인식으로서의 에스테틱ㆍ63
3. 취미 판단으로서의 에스테틱ㆍ75
4. 맺음말ㆍ81

IV 공통감과 사교성
1. 들어가는 말ㆍ85
2. 감성적 인식으로서 공통감ㆍ89
3. 쾌ㆍ불쾌의 감정과 미적 판단ㆍ94
4. 감정의 소통가능성과 사교성ㆍ105
5. 맺음말ㆍ114

V 미와 도덕성
1. 들어가는 말ㆍ117
2. 숭고미와 도덕성ㆍ119
숭고미의 등장ㆍ119 | 자연미의 역동성과 도덕성ㆍ124
3. 미적 감정과 도덕성ㆍ130
감각의 전달 가능성과 공통감ㆍ130 | 공통감과 도덕성ㆍ134
4. 도덕성의 상징으로서의 미ㆍ136
5. 미와 선의 형식ㆍ141
6. 미적 이념ㆍ144
7. 맺음말ㆍ146

VI 목적론적 판단력의 비판
1. 들어가는 말ㆍ149
2. 목적론적 판단력의 분석론: 자연의 형식적 객관적 합목적성, 자연목적과 목적론ㆍ154
3. 목적론적 판단력의 변증론ㆍ159
4. 목적론적 판단력의 방법론: 자연의 최종목적, 자연신학과 윤리신학ㆍ166
5. 신의 현존재에 관한 도덕적 증명ㆍ173

VII 맺음말ㆍ179

_ 주석ㆍ184
_ 인명색인ㆍ195
_ 용어색인ㆍ197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