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건축의 욕망 (레이트 아방가르드 읽기)
건축의 욕망 (레이트 아방가르드 읽기)
저자 : 마이클 헤이스
출판사 : SPACETIME
출판년 : 2011
ISBN : 9788955921465

책소개

미국 하버드대학교 건축대학원 건축이론 교수 마이클 헤이스의 『건축의 욕망』. 20세기 후반의 알도 로시, 피터 아이젠만, 존 헤이덕, 베르나르 츄미 등 네 명의 건축가를 묶어 '레이트 아방가르드'로 정리하여 건축의 욕망이론을 정립하고 있다. 비판이론과 더불어 상상계-상징계-실재계라는 라캉의 삼원 개념을 연장으로 삼아 특정한 역사적 시기를 다루면서도 오늘날을 포함한 모든 건축적 실천의 조건과 역경을 규정하는 건축의 욕망의 이론을 구축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1970년대의 아방가르드 건축이 건축사의 그 어느 때에 못지않은 강렬한 실험과 이론적 고찰의 유산을 남겼다는 점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런 경향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은 없었다. 이제 『건축의 욕망』에서 마이클 헤이스는 체계적으로 스스로에게 얽혀들어 가는 건축, 즉 스스로의 역사적 지위를 고민하고 건축의 재현 가능성을 극한으로 밀어붙여 그것을 면밀하게 모색하는 건축으로서 “레이트 아방가르드”의 전말을 기술한다. 알도 로시의 시무룩하고 우울한 침묵, 피터 아이젠만의 근본적으로 환원적인 “탈구성”과 고고학, 존 헤이덕의 축제적인 무절제, 그리고 베르나르 츄미의 “영화 다이어그램적” 광란을 면밀하게 읽어내는 헤이스는 어느 때보다도 더한 성찰과 난관, 고집의 대상들과 함께 스스로의 경계에 직면하는 건축의 이야기를 풀어낸다.
레이트 아방가르드는 철학적 열망을 지닌 마지막 건축, 즉 철학적인 문제들을 보여주는데 그치지 않고 건축을 통해 그것들을 사유할 수 있었던 건축이다. 그것의 건축적 대상은 자체적인 성찰의 대상이며, 그러한 성찰은 다시 끊임없는 욕망을 만들어낸다. 비판이론과 더불어 상상계-상징계-실재계라는 라캉의 삼원 개념을 연장으로 삼아 헤이스는 특정한 역사적 시기를 다루면서도 오늘날을 포함한 모든 건축적 실천의 조건과 역경을 규정하는 욕망의 이론을 구축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차례
역자 서문 vii
감사의 말 xix

욕망 1
유비 29
반복 59
조우 103
간격두기 155

표지 삽화에 대한 주해 195
미주 197
찾아보기 219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