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영어사 이해 (고대영어/중세영어/근대영어)
영어사 이해 (고대영어/중세영어/근대영어)
저자 : 권혁승
출판사 : 한국문화사
출판년 : 2010
ISBN : 9788957267752

책소개

영어발달사를 공부하면서 영어가 1500여 년 동안 어떤 변천 과정을 거쳐 오늘날의 모습에 이르게 되었는지 이해하할 수 있는 책. 영어의 역사를 크게 고대영어, 중세영어, 근대영어로 구분하여 각 시대별로 사회적 배경과 기본 문법 및 문헌 자료를 담았다. 독자가 이 책을 읽으면서 영어의 변화를 일으킨 시대적 배경과 영어 변천 과정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고, 각 시기별 원문을 정확하게 읽고 올바르게 해독하기에 필요한 최소한의 문법을 숙지하고, 각 시대별로 선별한 대표적인 원문 문헌을 읽으면서 영어가 변해온 모습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모든 언어는 변한다. 언어는 살아 있는 생명체와 같다. 항상 변하고 있기 때문에 재미있다. 그러면, 언어는 왜 변하는가? 언어 변화의 원인은 무엇인가? 언어 변화의 작용 원리는 무엇인가? 언어는 지금도 변하고 있는가? 앞으로 어떻게 변할 것인가? 이런 질문을 스스로 던지면서 영어는 어떻게 변해왔고, 어떻게 변하고 있고, 어떻게 변할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영어발달사를 공부해 보자.

영어발달사를 배우는 이유는 무엇일까? 영어의 발달 과정을 아는 것이 왜 중요할까? 영어발달사를 잘 아는 것이 영문학이나 영어학 공부와 어떤 관련이 있을까? 여기에 대한 대답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째, 현대영어의 철자, 어휘, 음운, 구조, 의미 등 영문법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위해서 영어의 발달 과정을 아는 것이 도움된다. 둘째, 영문학 작품이나 옛 문헌을 원문으로 직접 읽고 감상하려면 고대·중세·근대영어 시대의 사회적 배경에 대한 이해와 시대별 영어의 문법 지식을 기반으로 꾸준한 문헌 읽기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셋째, 전 세계 방방곡곡에서 쓰이는 다양한 영어의 개별적 특징을 비롯하여 영어의 방언과 표준어의 관계를 잘 이해할 수 있다. 넷째, 1500년 발달과정의 산물로서 존재하는 영어라는 언어의 역사를 더 깊이 연구하려는 학생들에게 영어발달사 자체가 학문 탐구의 한 영역이다.

이 책은 영어의 역사를 크게 고대영어, 중세영어, 근대영어로 구분하여 각 시대별로 사회적 배경과 기본 문법 및 문헌 자료를 담았다. 독자가 이 책을 읽으면서 영어의 변화를 일으킨 시대적 배경과 영어 변천 과정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고, 각 시기별 원문을 정확하게 읽고 올바르게 해독하기에 필요한 최소한의 문법을 숙지하고, 각 시대별로 선별한 대표적인 원문 문헌을 읽으면서 영어가 변해온 모습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과거의 역사가 쌓여서 현재가 이루어진다. 한글은 1443년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시한 이래 우리 조상이 갈고 다듬으며 현재에 이르렀고, 영어는 449년 유럽 대륙의 게르만부족의 일파인 앵글로색슨족이 영국에 건너오면서 도입된 이래 수많은 이민족과 다른 언어의 영향을 받으면서 오늘날 국제어로 성장해왔다. 이 책으로 영어발달사를 공부하면서 영어가 1500여 년 동안 어떤 변천 과정을 거쳐 오늘날의 모습에 이르게 되었는지 이해하고, 과거의 영어를 쓰던 옛 사람들의 자취를 더듬어보면서 그들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5

Part I 고대영어(Old English)

1장 고대영어 역사적 배경 15
1. 선사시대의 영국 15
2. 로만 브리튼(Roman Britain) 17
3. 앵글로색슨(Anglo-Saxon)족의 영국 침입 20
4. 바이킹(Viking)의 영국 침입 25
5. 영어사 시대 구분 27
6. 영어의 지위 변화 29

2장 고대영어 알파벳 31
1. 고대영어 알파벳 31
2. 고대영어 알파벳 발음 33

3장 언어 변화와 문법 37
1. 명사 37
2. 대명사 41
3. 인칭대명사 41
4. 지시사 43
5. 의문대명사 45
6. 동사 45

4장 고대영어 원문 49
1. 캐드몬의 찬미가(Cædmon’s Hymn) 49
2. 앨프릭의 대화(Ælfric’s Colloquy) 52
3. 베오울프(Beowulf) 53
4. 앵글로색슨 연대기(Anglo-Saxon Chronicle) 55

Part II 중세영어(Middle English)

5장 역사적 배경 61
1. 사회 변화 61
1.1. 노르만 정복(Norman Conquest) / 61
1.2. 백년전쟁(Hundred Years’ War) / 66
1.3. 흑사병(Black Death)과 농민반란(Peasants’ Revolt) / 67
2. 영어의 지위 68
2.1. 영어의 지위 추락 / 68
2.2. 영어의 지위 회복 / 69
3. 중세영어의 방언 71
4. 표준어의 대두 73

6장 언어 변화와 문법 75
1. 인칭대명사 75
2. 명사 79
3. 지시사 81
4. 의문대명사 81
5. 접속사 82
6. 동사 83

7장 중세영어 원문 85
1. 오르뮤룸(Ormulum) 85
2. 가웨인 경과 녹기사(Sir Gawayn and þe Grene Knyʒt) 88
3. 캔터베리 이야기(Canterbury Tales) 94
4. 마저리 켐프의 책(The Boke of Margery Kempe) 97
5. John of Trevisa 99

Part III 초기근대영어(Early Modern English)

8장 역사적 배경 105
1. 사회변화 105
1.1. 인쇄술의 도입 / 106
1.2. 르네상스(Renaissance) / 107
1.3. 종교개혁 / 108
2. 영어에 대한 인식 111
3. 아메리카 신대륙 탐험 114

9장 언어 변화와 문법 118
1. 철자와 음변화(1400~1700) 118
1.1. 대모음추이(Great Vowel Shift) / 118
1.2. 철자 변화(Spelling Change) / 121
1.3. 철자 개혁(Spelling Reform) / 123
1.4. 구두점 / 125
2. 문법 125
2.1. 인칭대명사 / 125
2.2. 명사 / 128
2.3. 동사 / 129
2.4. 보조동사 DO / 133
2.5. 접속사 / 135
2.6. 관계대명사 / 136
3. 의미의 변화 139
3.1. 확대(Widening)와 축소(Narrowing) / 139
3.2. 개선(Amelioration)과 악화(Pejoration) / 140
3.3. 초기근대영어 이후 toilet의 의미 변화 / 141

10장 초기근대영어 원문 144
1. William Caxton 144
2. Caxton's translation of Higden’s Polychronicon 146
3. William Roper 148
4. William Shakespeare 150
5. The Journal of George Fox 153
6. Penny Merriments 154

Part 4 근대영어의 표준화와 확산

11장 표준화와 영어사전 157
1. 영어에 대한 인식 157
2. 16세기 이중어(bilingual) 사전 162
3. 17세기 단일어(monolingual) 영어사전 163
2.1. Robert Cawdrey: A Table Alphabeticall / 163
2.2. John Bullokar: An English Expositor / 165
2.3. Henry Cockeram: The English Dictionarie / 166
2.4. Thomas Blount: Glossographia / 167
2.5. Edward Phillips: The New World of English Words / 167
2.6. Elisha Coles: An English Dictionary / 168
4. 18세기 일반(general) 영어사전 169
3.1. J[ohn]. K[ersey]: A New English Dictionary / 169
3.2. Samuel Johnson: A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 170
3.3. Noah Webster: An American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 172
5. 19~20세기 영단어 역사 사전 174

12장 영어의 전세계 확산 176
1. 미국 177
2. 캐나다 179
3. 호주 180
4. 뉴질랜드 181
5. 인도 182
6. 카리브해 184
7. 아프리카 185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