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문화콘텐츠와 이야기담론
문화콘텐츠와 이야기담론
저자 : 박태상
출판사 : 한국문화사
출판년 : 2012
ISBN : 9788957269572

책소개

문화콘텐츠를 다룬 책. 전통문화를 토대로 한 '현대 한국 대중문화의 창조'라는 문화콘텐츠와 이야기담론 강의를 담았다. 제1부에서는 이론의 토대와 영역을 살펴보고, 제2부에서는 다양한 텍스트를 살펴본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21세기는 문화의 시대이며 신지식인의 시대이다. 또 과거와 달리 모바일과 인터넷이 연결된 스마트폰의 시대이다. 이제는 손오공처럼 손바닥 안에서 모든 창조와 여흥이 이루어진다. 신기한 새로운 세계가 펼쳐지게 된 것이다.

이제 과거 1세기 동안 토론의 대상이었던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에 대한 뜨거운 논쟁도 막을 내렸다. 앨빈 토플러가 말한 ‘문화폭발(culture Explosion) 현상’이 일어난 것이고, 또 대중문화가 보통 사람들의 창조성과 즐거움을 표현한다는 ‘문화 포퓰리즘(cultural populism)’의 영향력도 강하게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행복과 복지의 시대의 도래에 맞춰 대중의 여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한다. 즉 맞춤식 문화복지 정책이 요구되는 시대를 맞이하게 된 것이다.

대중들 자신의 행복추구를 위해서는 대중들이 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갖춰야 한다. 영화를 한편 보거나 대중음악 한 곡을 다운로드해서 들을 때, 그러한 문화상품이 주는 효용가치와 습득하게 될 미적 가치에 대해 어느 정도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한다. 그 이유는 이제 대중들이 단순한 문화의 수동적인 대상이 아니라 21세기의 문화를 창조하고 이끌어나가야 하는 문화지킴이내지는 능동적인 문화향수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중들의 욕망 추구와 지식산출을 위한 개설서가 필요하다. 여기에 <문화콘텐츠와 이야기담론>이 간행되어야 하는 이유가 자리 잡고 있다.

최근 10여 년 동안 일본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류 열풍이 강하게 불었다. 작년부터는 그러한 바람이 유럽과 아메리카대륙 그리고 중남미까지 넘실대고 있다. 2000년경부터 중국에서 HOT의 K-Pop공연으로 ‘한류’라는 말이 중국 언론에서 처음으로 나온 이래로, 2003년부터 일본에서 「겨울연가」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한류’는 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욘사마 열풍은 2006 ~ 2007년까지 일본관광객들을 매년 300만 명 가까이 흡인하는 문화산업으로 자리를 잡았다. 이때 만해도 한류가 지속될 수 있을까 대중문화를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 견해가 나뉘었다.

2008~2010년에는 온돌과 한복패션 등 한국의 생활문화와 전통문화를 대상으로 하는 ‘신한류 열풍’이 조심스럽게 유럽과 아시아 각국으로 퍼져나갔다. 이러한 흐름은 그동안 미국문화를 모방해서 조합해낸 짝퉁문화라는 오명을 쓰고 있던 ‘한류’에 대해 문화적 토대와 전통문화의 생기를 불어넣는 확장 양상이라고 해서, 많은 연구자들로부터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그동안 대한민국은 세계 13번째의 경제대국으로 불리고 있었으나, 궁핍한 시절부터 ‘문화강국’이라는 자부심은 잃지 않고 있었다. 그 물적 정신적 토대는 바로 우리 선인들의 섬세한 ‘예술적 장인정신’이었던 것이다.

2011년부터 다시 일본에서 K-Pop의 열풍이 일어났다. ‘카라’의 엉덩이춤이 일본의 10대와 20대 팬들로부터 폭발적인 인기를 끌게 된 것이다. 이어서 소녀시대와 2PM등 아이돌 그룹이 연이어 진출하여 큰 호응을 얻게 되었다. 이러한 K-Pop의 열기는 바로 한국민족의 공동체 구성원끼리의 집단적 가무의 풍습 ? 풍류정신과 연계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의 선조들은 어려운 난관에 봉착해도 부락민들이 다 같이 뭉쳐서 손에 손을 잡고 집단무를 추면서 음주가무를 즐겼던 것이다. 이러한 조상들의 흥겹고 낙천적인 성격은 과거의 어려움을 딛고 일어서서 항상 미래를 생각하고 나라의 앞날에 대해 기원을 하는 전통으로 자리를 잡았던 것이다.

21세기로 접어들면서 어느덧 클래식문화보다는 대중문화가 젊은이들의 중심문화로 급성장하고 있다. 그 이유는 몇 가지로 요약된다. 우선 영상세대는 영화나 TV 드라마 그리고 K-Pop등 화려하고 스토리가 있는 서사물(「공주의 남자」, 「해를 품은 달」 등)이나 율동미가 가미된 댄스음악을 좋아한다는 점이다. 또 V채널과 유투브 등 신 자유경제를 선호하는 미국과 서유럽의 광보홍보 시장 시스템의 구축(상업적 전략)과도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다. 문화콘텐츠는 전형적인 ‘고위험-고수익(high risk, high return) 상품’이다. 흥행에 성공하면 큰 투자수익이 보장되지만 만약에 실패하면, 투자수익을 못 건질 뿐만이 아니라 파산을 하는 등 큰 손실을 감수해야만 한다. 따라서 위험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할리우드의 마케팅전략처럼 되도록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마케팅에 주력하여야 한다. 즉 “시장을 크게 키워야 살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다행스럽게도 ‘한류’는 이제 중국과 일본이라는 아시아를 넘어서 서유럽과 미국 그리고 중남미까지로 그 시장을 넓혀가고 있는 중이다. 또 내부적으로도 연예 엔터테인먼트산업과 방송유통망이 잘 구축되어 있다. 1990년대 이후 대중적 여가와 대중적 풍요 현상이 대중문화의 발전을 가속화하게 만들었다. 또 K-Pop의 열기는 아이돌 가수나 소속 엔터테인먼트회사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도 큰 의미를 지닌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 2011년 5월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 세대인 청년층 취업대상자를 대상으로 일자리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유망직종 1위는 문화콘텐츠산업(31.3%)으로 조사됐다. 디지털 네이티브는 영화 · 게임 · 모바일콘텐츠 · 여행 산업 등 문화콘텐츠산업에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재정투입대비 고용유발효과에서 제조업은 10억 원당 9.2명인 데 비해 콘텐츠산업은 12.11명으로 나타나 고용유발효과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문화부 장관도 “우리 콘텐츠가 세계시장에 진출하려면 자본, 기술, 마케팅 모두 중요하지만, 역시 세계적인 스토리가 많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화콘텐츠와 이야기담론>은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의 문화콘텐츠 창출과 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이론뿐만이 아니라 욕망을 가진 소비자로서의 대중들의 문화욕구에 대한 지식 습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으로 꾸몄다. 제1부는 문화콘텐츠 이론의 토대와 영역으로서 문화산업과 문화콘텐츠, 한류의 기원과 형성과정, 문화수출 부문별 현황, 문화콘텐츠 마케팅, 문화정책론, 문화콘텐츠와 저작권, 문화 기획론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제2부는 케이스스터디로 꾸몄는데, 최근 새롭게 생산된 문화상품들인 영화 「완득이」, 「방자전」, 「적벽대전」, 「황진이」, 「쌍화점」, 「마당을 나온 암탉」, 「오만과 편견」, 「전우치」 등과 개그콘서트 등 개그공연의 원형콘텐츠와 현대적 재창조과정에 대한 흥미로운 분석과 연구를 시도했다.

아무쪼록 <문화콘텐츠와 이야기담론>, 책 한권이 21세기의 행복한 문화창조와 문화수용 시대의 흐름을 꿰뚫을 수 있는 지침서와 등대역할을 떠맡을 수 있게 되기를 기원해본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 책머리에

제1부 이론의 토대와 영역 / 박태상

Ⅰ. ‘문화콘텐츠’란 무엇인가?
1. ‘문화콘텐츠’의 개념과 대중문화에 대한 인식 변화
2. 대중문화론, 어떤 학문인가?
3. 대중문화론의 역사와 ‘문화기호학’

Ⅱ. 문화산업과 ‘문화콘텐츠’
1. 문화산업과 문화콘텐츠 산업의 개념정의
2.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의 ‘문화콘텐츠산업’
3. 문화산업 및 문화콘텐츠의 특성

Ⅲ. ‘한류’의 기원과 형성과정
1. ‘한류’의 어원과 개념
2. ‘한류’의 등장배경
3. ‘신’ 한류열풍
4. 한류 문화콘텐츠의 기본 특성
5. 한류의 문제점
6. 대한민국의 위상과 문화적 토대

Ⅳ. 문화수출 부문별 현황
1. 문화산업의 종류
2. 성공적 문화콘텐츠로서의 한국문화의 양상과 그 파급효과

Ⅴ. 문화콘텐츠 마케팅
1. 마케팅 개념의 변화
2. 문화콘텐츠 마케팅

Ⅵ. 문화정책론
1. 문화의 특징
2. 문화의 내용과 종류
3. 문화정책이란 무엇인가?
4. 문화정책의 법적 근거
5. 문화정책의 목적과 범위

Ⅶ. 문화콘텐츠와 저작권
1. 문화콘텐츠 산업의 유통과 저작권
2. 2009년 개정 저작권법의 현황
3. 지적재산권법 일반과 현행법 체계
4. 저작권의 분류 및 주ㆍ객체
5. 저작재산권과 소유권

Ⅷ. 문화기획론
1. 인간의 탐구행위와 창조적 발상법
2. 문화기획의 정책적 환경
3. 콘셉트 설정과 소구 대상 및 내용

제2부 텍스트 꼼꼼하게 읽기

소설 『황진이』와 영화「황진이」의 심미적 거리 / 박태상
1. 머리말
2. 원형콘텐츠와 21세기형 ‘기생 문화’ 콘텐츠의 위상
3. ‘원 소스 멀티 유즈’ 전략으로서의 황진이
4. 텍스트간의 상호 비교
5. 맺음말

욕망적 배설과 ‘소통’의 공간이동 / 박태상
1. 들어가기
2. ‘공적 교육’ 영역의 붕괴와 성장소설
3. 경계문화의 전형성과 문체상 특징
4. 공간 이동과 시간의 정체성
5. 배설적 카타르시스와 음식의 기능

「방자전」,『춘향전』의 현대적 변이 / 김지혜
1. 들어가며
2. 영화 「방자전」의 서사적 보편성과 특수성
3. 시나리오 콘텐츠로서 영화 「방자전」에 설정된 특성
4. 나오며

영화 「적벽대전」의 흥행성공에 따른 고전적 가치 재수용의 의미 / 이문호
1. 머리말
2. 인쇄매체 중심시대 소설 『삼국지』
3. 소설 『삼국지』에 대한 영화 「적벽대전」의 수용·개작 양상
4. 고전적 가치 재수용의 의미
5. 맺음말

고려속요 『쌍화점』과 영화「쌍화점」의 대중적 욕구 / 김은혜
1. 머리말
2. 원형 콘텐츠로서의 고려속요 「쌍화점」
3. 현대적 콘텐츠로서의 영화 「쌍화점」
4. 맺음말

영화 「장화와 홍련」: 한국적 공포 - ‘恨’의 문화가 자아낸 환각 / 한승훈
1. 문제의식 및 연구 방향
2. 한국적 공포의 근원
3. 원천서사가 자아낸 환각, 그 이중적 공포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과 애니메이션화에 따른 비교분석 / 이상우
1. 머리말
2.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
3. 애니메이션계 현황
4. 애니메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
5. 나오며

현대 개그공연의 근원 찾기 / 김지혜
1. 들어가며
2. 근대 공연 재담의 유형과 분석
3. 현대 공연 재담의 전이와 변용
4. 나오며

원전 「공무도하가」와 김훈소설『공무도하』 / 김은혜
1. 머리말
2. 「공무도하가」의 수용 양상
3. 「공무도하가」의 현대적 변용-김훈『공무도하』
4. 맺음말

「벙어리 삼룡이」, 소설과 영화 비교 고찰 / 이문호
1. 문제제기
2. 「벙어리 삼룡이」나도향 소설과 신상옥 영화
3. 1960년대 영화검열
4. 소설에 기반한 영화 「벙어리 삼룡이」, 그 수용과 개작
5. 나가면서

영화 「오만과 편견」과 원전으로서의 『오만과 편견』 / 한승훈
1. 서론
2. 『오만과 편견』의 시대적 배경
3. 현대인에게 바람직한 결혼관 제시: 개인적 가치와 전통적 가치의 조화
4. 『오만과 편견』의 흥행 요소: BBC 드라마부터 「시크릿 가든」
5. 결론

영화 「전우치」의 소설『전우치전』수용양상 / 이상우
1. 들어가며
2. 소설 『전우치전』의 흥미유발 요소
3. 영화「전우치」의 소설『전우치전』수용양상
4. 영화 「전우치」의 흥행 성공 요소
5. 나오며

■ 참고문헌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