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녹색 평화란 무엇인가
녹색 평화란 무엇인가
저자 : 이상신^김성철^이찬수^신문수^박희병
출판사 : 아카넷
출판년 : 2013
ISBN : 9788957332924

책소개

『녹색 평화란 무엇인가』의 내용은 녹색평화에 대한 이론적이거나 사상적 분석과 사례 중심의 실천적 방향 모색으로 나눌 수 있다. 모두 오늘날 녹색평화에 관한 연구의 현황과 방향성을 다양한 각도에서 보여주는 연구 성과라고 할 수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환경과 평화, 생태적인 것과 평화로운 삶의 조화를 추구하는 녹색평화론!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의 평화학 시리즈 가운데 IPUS 평화인문학총서 두 번째 권이다. 이 책은 평화를 환경이나 생태적 가치와 융합시키려는 아젠다의 문제의식을 “녹색평화란 무엇인가”라는 개념적 물음 속에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녹색평화의 주된 문제의식과 쟁점을 ‘평화형성과 생태주의’(1부), ‘녹색평화와 생활세계’(2부), ‘생태주의와 한반도’(3부)라는 주제 속에 부각시켰다.

1부에서는 문학, 종교, 한국 전통사상의 영역에서 생태와 평화의 근원적 연관성을 고찰하고, 2부에서는 서독 녹색당의 경험, 생태와 기술문명 위기가 연동된 후쿠시마 원자력 사건 등 구체적 생활세계 속 녹색평화의 문제를 다룬다. 3부에서는 녹색평화의 문제의식을 한반도에 적용하여 살펴본다.



“녹색평화에 관한 연구는 지구의 위험한 현실을 반성하며 성찰하고 인류의 건강한 미래를 앞당기는 새롭고도 성스러운 작업이다. 평화는 국가 간의 갈등 부재로 보장되는 것이 아니고 사람과 사람, 지역과 지역, 환경과 사회의 공존과 화해를 지향하는 것으로 확장해 이해해야 하는 근본적 가치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구체화하고 녹색평화의 개념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다양한 전공 영역에 어울리는 내용을 담기 위해 지난 2년 남짓 세 차례 세미나를 열었다. 사회학, 정치학, 역사학, 문학, 종교철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저마다 전공 분야에 따라 이론과 현실을 모두 염두에 두고서 녹색평화에 대해 발표하고 토론한 뒤 수정, 보완해나갔다. 그 결과 이 한 권의 책으로 빛을 보게 되었다.

이 책의 내용은 녹색평화에 대한 이론적이거나 사상적 분석과 사례 중심의 실천적 방향 모색으로 나눌 수 있는데, 모두 오늘날 녹색평화에 관한 연구의 현황과 방향성을 다양한 각도에서 보여주는 연구 성과라고 할 수 있다.” - 본문에서



[필자 소개]



박명규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사회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객원연구원, 전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캘리포니아대학교(버클리)방문교수,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장과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에 『남북경계선의 사회학』, 『국민, 인민, 시민』, 『한국 근대국가 형성과 농민』, 『식민권력과 근대지식』(공저), 『연성복합통일론』(공저),『21세기의 한반도 구상』(공저), 『현대사회학의 이해』(공저)가 있고, 『사회사상사』(공역) 등을 번역했다.



신문수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와 같은 동대학원 영문과를 졸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버클리)에서 영문학 석사, 하와이대학교에서 영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에서 미국문학을 가르치고 있다. 아울러 생태문화연구회 동아리 모임을 이끌면서 문화의 녹색화를 지향하는 생태인문학의 정립에도 힘을 쏟고 있다. 저서에 『타자의 초상』, 『시간의 노상에서』 1, 2, 『모비딕 읽기의 즐거움』 등이 있고, 편서로 『미국의 자연관 변천과 생태의식』 등이 있다.



이찬수

서강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불교학과 신학으로 각각 석사학위를, 비교종교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강남대학교 교수, 일본 WCRP평화연구소 객원연구원 등을 지냈고, 현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종교로 세계 읽기』, 『한국 그리스도교 비평』, 『일본정신』, 『불교와 그리스도교 깊이에서 만나다』 외 다수의 책을 썼고, 『절대 그 이후』, 『화엄철학』 등의 책을 번역했다. 종교철학에 기반을 둔 평화인문학의 심화와 확장을 연구 과제로 삼고 있다.



박희병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같은 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의 생태사상』, 『운화와 근대』, 『저항과 아만』, 『범애와 평등』 등이 있다. 문학사, 사상사, 예술사에 두루 관심을 갖고 공부한다.



서보혁

성균관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정치학을 공부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정책 변화와 북한과 미국의 관계를 구성주의적으로 접근한 논문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가인권위원회 전문위원, 이화여자대학교 평화학연구소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있다. 그동안 남북관계, 북한의 외교안보·인권 문제, 한반도 평화 체제, 지역 안보 협력, 인간 안보, 평화학 이론 등을 연구해왔다. 주요 저서로 『북한 인권』, 『코리아 인권』, 『탈냉전기 북미관계사』, 『북한정체성의 두 얼굴』, 『평화백서』(공저), 『남북한 관계와 국제정치 이론』(공편), 『유럽의 평화와 헬싱키 프로세스』, 『헬싱키 프로세스와 동북아 안보협력』(공편), 『현대 북한연구의 쟁점과 과제』 등이 있다.



이동기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과 대학원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박사과정을 이수한 뒤 독일 예나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Option oder Illusion? Die Idee einer nationalen Konfoderation 1949~1990(Berlin: Ch. Links Verlag, 2010)과 『20세기 평화텍스트 15선』(아카넷, 2013)가 있고, 『역사에서 도피한 거인들』, 『근대세계체제 3』(공역), 『일상사란 무엇인가』(공역) 등을 번역했고, 독일통일과 냉전사와 평화사, 평화 이론을 연구하고 있다.



김성철

캘리포니아대학교-얼바인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1992~2003), 위스콘신대학교 방문교수(2002~2003), 히로시마평화연구소 교수(2003~2012)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North Korea under Kim Jong Il: From Consolidation to Systemic Dissonance(SUNY Press, 2009) 등 다수의 책을 썼고, State Violence in East Asia(University Press of Kentucky Press, 2013) 등의 편저를 냈다. 최근에는 핵 과학기술의 이용을 평화인문학의 비판적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정주진

평화로운 공존을 위한 관계와 사회 조건의 탐색과 실천 방법 모색을 연구 및 실천 과제로 삼고 있다. 성공회대학교, 전남대학교, 한신대학교 등에서 평화갈등학을 강의하면서 대학 밖의 평화 교육과 집필에 주력하고 있다. 캐나다 워털루대학교에서 평화갈등학 디플로마, 미국 이스턴메너나이트대학교에서 ‘갈등해결학’ 석사학위, 영국 브래드포드대학교에서 평화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갈등해결과 한국사회』, 『평화학자와 함께 읽는 지도 밖 이야기』, 『세상의 평화 나의 평화』, 『시장의 평화 나의 평화』를 집필했고, 『공공갈등해결』을 번역했다.



구도완

서울대학교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사회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 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환경부장관 자문관,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수석연구위원 등을 지냈고 현재 환경사회연구소 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 『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생태사회적 발전의 현장과 이론』(공저) 등이 있다. 환경 운동, 환경 정책, 지속가능한 발전 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김병로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주립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뉴저지주립대학교(럿거스)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북한연구와 남북한 비교, 통일문제를 연구해왔으며, 주요 저서로는 Two Koreas in Development, 『북한의 지역자립체제』, 『연성복합통일론』, 『노스코리안 디아스포라』, 『북한 김정은 후계체제』 등이 있다.



정은미

숙명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문학 석사학위와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을 지냈고, 현재 같은 기관의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남북통합지수 1987~2007』, 『남북한 교류협력 거버넌스의 구조와 동학』, 『북한주민의 삶의 질: 실태와 인식』 외 다수의 책을 썼다. 이외에도 ‘통일의식조사’, ‘북한이탈주민 의식조사’, ‘북한사회변동조사’, ‘남북통합지수’ 등 다년간 연구 과제를 수행하면서 사회과학적 실증 분석과 평화인문학의 접목을 모색하고 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장 녹색평화의 문제의식과 쟁점들ㆍ박명규

1부 평화형성과 생태주의
1장 생태중심적 사회로의 전환과 문학ㆍ신문수
2장 녹색의 평화적 가치와 종교적 생명ㆍ이찬수
3장 홍대용의 생태사상과 평화주의ㆍ박희병

2부 녹색평화와 생활세계
4장 요한 갈퉁의 녹색평화론ㆍ서보혁
5장 1980년대 서독 녹색당의 평화ㆍ통일 정책ㆍ이동기
6장 원자력 기술문명과 후쿠시마ㆍ김성철
7장 일상의 폭력과 녹색평화ㆍ정주진

3부 생태주의와 한반도
8장 한국 반핵운동과 생태민주주의ㆍ구도완
9장 북한의 문화ㆍ생태적 상황ㆍ김병로
10장 생태와 평화를 위한 남북한 농업 교류ㆍ정은미

논문 출처
참고 문헌
필자 소개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