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론
저자 : 양성관
출판사 : 정민사
출판년 : 2013
ISBN : 9788958092223

책소개

『지역사회복지론』은 지방자치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활동들에 초점을 맞추어, 지역사회복지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크게 총론과 실천분야론으로 나누어 중간고사 이전에는 총론을, 이후에는 실천분야론을 학습할 수 있다. 지역사회복지 관련 주요 개념과 이론, 역사 등에 관한 기초 이론부터 지역사회복지관과 재가서비스, 공동모금회 등 변화하는 지역사회 현실과 실천 체계 등을 다루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제1부 총론
Chapter 01 지역사회복지 개념
Ⅰ. 지역사회의 개념
Ⅱ. 지역사회에 관한 이론
Ⅲ. 지역사회의 관련 개념

Chapter 02 지역사회복지이론
Ⅰ. 지역사회이론
Ⅱ. 지역사회복지 이념
Ⅲ. 지역사회이론의 발전
Ⅳ. 지역사회복지의 가치

Chapter 03 지역사회복지 역사
Ⅰ. 인보관과 인보정신
Ⅱ. 영국 토인비홀의 신화와 현실
Ⅲ. 미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Ⅳ. 한국지역사회복지의 역사

Chapter 04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Ⅰ.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의 의의
Ⅱ.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의 유형
Ⅲ.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의 특징

Chapter 05 지역사회복지실천이론
Ⅰ.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틀
Ⅱ.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원칙과 과정

Chapter 06 지방자치와 지역사회복지
Ⅰ. 지방자치제의 정의
Ⅱ. 한국의 지방자치제
Ⅲ. 지방자치제의 활성화 방안

Chapter 07 지역사회복지실천 기술
Ⅰ. 지역사회사정의 개요
Ⅱ. 사회복지실천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실천 기술
Ⅲ. 사회복지 프로그램

Chapter 08 지역사회복지계획
Ⅰ. 지역사회복지계획의 배경과 개념
Ⅱ. 지역사회복지계획의 필요성과 이념
Ⅲ. 지역사회복지계획의 평가와 과제

제2부 실천분야론
Chapter 09 지역사회복지관
Ⅰ. 사회복지관
Ⅱ. 지역사회복지관
Ⅲ. 사회복지관의 정착 방안

Chapter 10 재가복지서비스
Ⅰ. 재가복지 도입 배경
Ⅱ. 시설복지와 재가복지
Ⅲ. 재가복지 전문인력의 윤리와 역할

Chapter 11 지역사회자활
Ⅰ. 지역사회자활의 의의
Ⅱ. 지역사회자활사업의 내용과 사례관리
Ⅲ. 지역사회자활실천기관

Chapter 12 지역사회복지운동
Ⅰ. 지역사회복지운동의 개념과 의의
Ⅱ. 지역사회복지운동의 특성과 유형
Ⅲ. 지역사회복지운동단체의 개요

Chapter 13 지역사회복지협의회
Ⅰ. 사회복지협의회의 개념과 발달과정
Ⅱ. 한국사회복지협의회
Ⅲ. 지역사회복지협의체

Chapter 14 지역사회복지공동모금회
Ⅰ. 사회복지공동모금회
Ⅱ. 공동모금의 목적과 특징
Ⅲ. 공동모금회의 활성화 방안

Chapter 15 자원봉사
Ⅰ. 자원봉사의 개념
Ⅱ. 자원봉사의 발전과정
Ⅲ. 자원봉사관리

부록
1. 사회복지사 1급 국가시험 연도별 현황
2.사회복지공동모금회 전국 주소록(2013년 현재)
3. 전국 자원봉사센터 250개소 현황(2012년 7월)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