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예수에서 복음서까지 (구술로 전해진 예수 자료는 어떻게 복음서가 되었나?)
예수에서 복음서까지 (구술로 전해진 예수 자료는 어떻게 복음서가 되었나?)
저자 : 에릭 이브
출판사 : 좋은씨앗
출판년 : 2016
ISBN : 9788958742708

책소개

현대신학의 쟁점 시리즈 3권. 예수를 연구하고 문학의 관점에서 신약 성경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기본서다. 구전 연구는 양식비평이 신약 학계의 첨단 이론으로 등장한 뒤에도 긴 여정을 밟아왔으며, 상당히 많은 학자들이 이런 발전에 관여해왔다



하지만 이런 시간을 모두 거치면서 그 많은 학자들이 한데 어울려 노력을 했는데도 양식비평의 유령을 학자들의 사고방식 속에서 완전히 쫓아내지 못했다. 그 유령을 몰아내려는 시도가 실린 책이다. 아울러 복음서 뒤편에 존재하는 구전에 관하여 생각할 때, 이런 발전 과정을 전혀 알지 못할 수도 있는 독자들에게 현재 학자들이 제시하는 다양한 제안들을 알려주는 것도 목표로 삼고 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예수를 연구하고 문학의 관점에서

신약 성경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기본서다”



구전 연구는 양식비평이 신약 학계의 첨단 이론으로 등장한 뒤에도 긴 여정을 밟아왔으며, 우리가 앞으로 보겠듯이, 상당히 많은 학자들이 이런 발전에 관여해왔다. 하지만 이런 시간을 모두 거치면서 그 많은 학자들이 한데 어울려 노력을 했는데도 양식비평의 유령을 학자들의 사고방식 속에서 완전히 쫓아내지 못했다. 이 책은 그 유령을 몰아내려는 시도를 한 번 더 해본 책이다. 아울러 이 책은 복음서 뒤편에 존재하는 구전에 관하여 생각할 때, 이런 발전 과정을 전혀 알지 못할 수도 있는 독자들에게 현재 학자들이 제시하는 다양한 제안들을 알려주는 것도 목표로 삼고 있다.

얼핏 어림해볼 때 이런 제안들은 다섯 가지 접근법으로 나누어볼 수 있겠다: 랍비 모델(이 모델은 특히 비르예르 에르핫손과 관련이 있다; 3장을 보라), 매체 대조 모델(워너 켈버, 4장), 형식이 없고 통제받는 구전 모델(케네스 베일리, 5장), 기억 모델(현대의 몇몇 학자들; 6장과 7장을 보라), 그리고 목격자 모델(사무엘 뷔쉬코그와 리처드 보컴, 8장). 하지만 더 자세히 살펴보면, 이 다섯 모델 중 셋(매체 대조 모델, 형식이 없고 통제받는 구전 모델 그리고 기억 모델)은, 일부 조정을 거치면 유사점이 많은 한 접근법으로 수렴함을 발견할 수 있다.

“구전”은 아주 다양한 현상들을 아우르는 포괄 용어다. “구전”을 어디서나 늘 똑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는 어떤 획일성을 띤 과정이라 생각한다면 잘못이다. 아울러 동일한 구전 모델이 예수 자료 전달의 모든 측면에 똑같이 적용되었다고 추정하는 것도 잘못이다.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아주 높을 뿐 아니라, 우리가 실제로 일어났던 일에 직접 다가갈 길이 없기 때문에, 그런 일이 있었는지도 확실히 알 수가 없다. 이것이 이 책에서 몇 가지 구전 모델들을 함께 살펴보는 또 다른 이유이기도 하다. 설령 그 여러 모델 중 어느 한 접근법이 가장 그럴듯한 모델로 밝혀진다 하더라도, 다른 접근법들을 아는 것이 중요하며, 각 접근법이 우리의 전체 구전 이해에 그 나름대로 뭔가 기여를 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 책의 주된 과업은 복음서 뒤편에 자리한 구전에 관하여 사람들이 제시했던 생각의 큰 줄기들을 독자들에게 제시하는 것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들어가는 글

1장 고대의 매체 상황

구전이란 무엇인가?

구술과 구전의 몇 가지 특징

고대의 글(쓰기)

구술로 전해진 예수 전승에 미친 영향



2장 양식비평

마르틴 디벨리우스

루돌프 불트만

평가



3장 랍비 모델

에르핫손의 논지

평가



4장 매체 대조 모델

에르하르트 귀트게만스

워너 켈버

평가



5장 형식이 없고 통제받는 구전

케네스 베일리 모델

베일리의 데이터

평가



6장 기억과 전승

개인 기억

집단 기억 혹은 사회 기억

구전과 기억

전승과 실연



7장 예수 전승에서 기억과 구술성

제임스 던 - 『기억된 예수』

리처드 호슬리(그리고 조나단 드레이퍼)

라파엘 로드리게스 - 『초기 그리스도인의 기억 되살리기』

다른 이들의 공헌

결론



8장 목격자의 역할

사무엘 뷔쉬코그 - 이야기와 역사

리처드 보컴 - 『예수와 그 목격자들』



9장 전승을 면밀히 살펴보기

마가와 바울

마가와 요세푸스

결론



10장 결론

안정성, 변화 그리고 개인의 역할

역사 속 예수 연구에 암시하는 의미

자료비평과 복음서 해석에 암시하는 의미

결론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