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융합형 공연제작실습 교육을 위한 전통연희 매뉴얼
융합형 공연제작실습 교육을 위한 전통연희 매뉴얼
저자 : 사진실
출판사 : 태학사
출판년 : 2017
ISBN : 9788959668830

책소개

전통연희 시리즈 7권. 융합형 공연제작실습 교육을 위한 전통연희 매뉴얼로, 전통연희의 개념과 범주, 공연공간, 우희(優戱)부터 정재(呈才), 가면극, 인형극, 판소리, 재담소리까지 전통연희의 종목별 개요가 수록되어 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연극 <이>와 영화 <왕의 남자>에 대하여 관객이 열광하는 것은 공연문화의 전통에서 발굴한 새로운 역사적 사실과 작가의 상상력이 잘 조화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작가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뒷받침한 것은 인문학의 성과이다. 필자의 연구와 강의에서 연극으로 다시 영화로 이어진 전통문화 콘텐츠의 산업적 성공은 어쩌면 우연한 기회였는지도 모른다. 그러한 우연성을 필연성으로 정착시키는 일이 가능하고 또한 절실하다. 오늘날의 대중문화를 꽃피울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상지(上智)가 전통 공연문화에 있음을 상기해야만 하는 이유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전통연희 시리즈’를 출간하며



서문



1. 전통연희의 개념과 범주



2. 전통연희의 공연공간

1) 궁궐(宮闕)

2) 대로(大路)

3) 선상(船上)

4) 누정(樓亭)

5) 장터



3. 전통연희 종목별 개요

1) 우희(優戱)

(1) 궁중 배우희

(2) 거리굿

(3) 다시래기

2) 정재(呈才)

(1) 헌선도(獻仙桃)

(2) 포구락(抛毬樂)

(3) 선유락(船遊樂)

(4) 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設)

3) 가면극

(1) 하회별신굿탈놀이

(2) 강릉관노탈놀이

(3) 양주별산대놀이

(4) 봉산탈춤

(5) 북청사자놀이

4) 인형극

(1) 산대잡상놀이

(2) 꼭두각시놀음

5) 판소리

(1) 춘향가

(2) 심청가

(3) 흥보가

(4) 수궁가

(5) 적벽가

6) 재담소리

(1) 배뱅이굿

(2) 장대장타령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