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박수근 평전: 시대공감 (시대공감)
박수근 평전: 시대공감 (시대공감)
저자 : 최열
출판사 : 마로니에북스
출판년 : 2011
ISBN : 9788960532175

책소개

평범한 일상의 모습을 통해 시대를 공감하다

한국을 대표하는 화가 박수근. 그가 남기고 간 그림 속에는 한국전쟁 이후, 폐허와 같은 여건 속에서도 그날그날의 삶을 묵묵히 이어가던 우리네 이웃들의 모습이 담겨 있다. 일상의 풍경과 그 안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따뜻한 시선으로 감싸 안았던 화가. 박수근의 화폭엔 시대의 정서에 공감하며 그것을 함께 나누고자 했던 선한 마음이 깃들어 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국민화가 박수근(1914~1965)
장욱진, 이중섭 등과 함께 한국을 대표하는 ‘국민화가’로 불리는 박수근. 박수근은 1914년 2월 21일 강원도 양구에서 태어났다. 집안이 급속히 몰락하여 생활이 곤궁해지면서 독학으로 그림을 공부했다. 1932년 열아홉 살에 조선미술전람회에 최초로 입선하며 화단에 등장하였다. 1965년 51세의 나이로 때 이른 죽음을 맞이하기까지 미술계의 냉대 속에서도 화업을 지속해나갔으며, 1959년에는 국전 추천작가로 1962년에는 국전 심사위원으로 활동했다. 그는 우리 주변의 풍경을 화면 위에 거친 마티에르로 그려내 토속적이고 독특한 자신 만의 미감을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책은…
- 탄신 100주년인 2014년, 서거 50주년인 2015년을 앞둔 2011년, 독자 앞에 내놓는 최초의 박수근 평전이다. 박수근을 다룬 기존의 다양한 연구를 망라하여 종합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 근대미술사 전문 연구자가 진부한 양식사학을 거부하고, 철저한 실증주의 및 사회문화사학 방법론을 동원하여 박수근 세계를 해석한 최초의 평전이다.

- 기존의 불분명했던 연보와 생애를 명료하게 확증했으며, 형식 분석을 통해 최초로 ‘미석화풍’을 정립시켰다.

- 유화 76점의 대표작과 박수근과 관련된 다양한 참고사진 등 ‘지상 미술관’이라 할 만큼 풍부한 도판과 자료를 수록하였다.

- 김복진과 권진규 등 근대기 한국 작가들에 대한 평전을 쓴 바 있는 필자의 중후한 문체와 경쾌한 서술이 돋보인다. 박수근의 생애에 대한 생생한 이야기들을 뜨거운 가슴으로 써 내려갔다.

- 박수근의 작품이 부재하는 쓸쓸한 박수근 미술관, 가난하지만 따스한 양구군민의 의지에 감동한 필자가 박수근 미술관에 소박한 도움이 될 것을 소망하며 인세를 기부하기로 했다. 독자들의 관심과 성원이 박수근에게 돌아가는 기회가 될 것이다.

『박수근 평전 : 시대공감』의 주요 내용
국민화가 박수근. 그가 남기고 간 그림 속에는 한국전쟁 이후, 폐허와 같은 여건 속에서도 그날그날의 삶을 묵묵히 이어가던 우리네 이웃들의 모습이 담겨 있다. 일상의 풍경과 그 안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따뜻한 시선으로 감싸 안았던 화가 박수근의 화폭엔 시대의 정서에 공감하며 그것을 함께 나누고자 했던 선한 마음이 깃들어 있다. 그의 예술적 성취는 이와 같은 범상한 소재를 새로운 재료와 기법의 운용을 통해 자신만의 것으로 완벽하게 소화해냈다는 데 있을 것이다. 저자는 박수근이 이룩한 조형 양식을 ‘미석화풍’이라고 규정하고, 한국 미술사상 최초로 현대 서구 추상미술의 기법을 한국 고전미술의 기운과 조화시킨 화가라고 평가한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이후 재건의 시대를 아우르며, 거칠면서도 세련되고, 소박하면서 진솔한 화풍으로 시대의 모습을 그려낸 박수근의 작품세계와 생애 속으로 독자를 몰입시켜 나간다.
* 미석화풍(美石畵風) :
-기법: 인상파, 표현파, 추상파를 융합.
-특성: 단색조의 질박성과 재질감의 세련성 / 사실성과 추상성을 평면화의 방법으로 종합.
-주제: 일상의 풍경으로 현실과 이상의 경계를 관통.
-이념: 사실주의와 심미주의의 융합.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박수근의 눈부신 슬픔

01 양구 시절 1914~1925 전설
푸른 연기 아롱지는 땅
화강암의 전설
미술과의 만남

02 열망의 세월 1926~1934 도전
밀레에게 길을 묻다
도전의 요람, 춘천
환희와 불안

03 춘천 시절 1935~1939 희망
고난과 희망
밀레로의 회귀
백흑조의 계음, 미완의 화가

04 평양 시절 1940~1945 미석
삶의 전환
신혼의 평양
미석의 등장

05 광복과 전쟁의 시절 1945~1953 폭풍
폭풍의 시절
미석화풍의 탄생
시대와의 조우

06 서울 시절 1953~1955 경계
신사실주의자 김환기와의 만남
사실과 추상의 경계
부침의 반복

07 창신동 시절 1956~1957 전환
서양에서 온 애호가
변화의 순간, 1956년
영광과 고통

08 좌절과 절정의 시대 1958~1959 절정
소박파에서 독자파로
동서융합, 그 한국미의 절정
좌절과 극복의 세월

09 혁명과 정변의 시대 1960~1962 침묵
침묵, 그 경계선에서
긍정의 시선
40대의 끝, 오월의 태양

10 전농동 시절 1963~1965 불행
불행의 사신
궁핍한 시절의 추억

11 나의 시대, 나의 그림 1965 하늘
고귀한 예술양식
영원한 흑백계음
생활의 서정시
신사임당과의 만남
격조와 고담의 이상
멀고 먼 하늘나라

박수근 연보
참고문헌/주
도판목록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