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칼빈 핸드북
칼빈 핸드북
저자 : 헤르만 셀더하위스
출판사 : 부흥과개혁사
출판년 : 2013
ISBN : 9788960923119

책소개

종교개혁자 칼빈을 연구하는 신학자, 신학생, 목회자들을 위한 『칼빈 핸드북』. 이 책은 칼빈의 모든 작품에 대한 포괄적인 개관을 제공하며, 칼빈을 깊이 연구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입문서이다. 칼빈에 대한 최근의 연구에 기반을 두고 칼빈의 생애, 저술, 영향과 반응에 대해 상세한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서언

칼빈은 신학생에게 도움을 주려고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 『기독교강요』를 저술했다. 마찬가지로 이 핸드북도 칼빈의 생애와 활동을 연구하기 원하는 모든 사람에게 도움을 주기 위하여 마련한 책이다. 오랫동안 칼빈 연구에서 『기독교강요』에 초점이 맞추어졌던 것은 그 작품이 칼빈이 말하고자 하는 모든 말을 담고 있는 작품이라는 인상을 주어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핸드북은 이런 함정을 피하고 싶다. 왜냐하면 본서는 확실히 칼빈에 대하여 말할 수 있는 모든 내용을 담고 있다고 말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칼빈에 대한 최종적이고 결정적인 주장도 아니기 때문이다. 대신 이 핸드북은 최근의 연구에 기반을 두고 칼빈의 전기, 신학, 영향력에 대하여 면밀한 개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오늘날 칼빈 연구는 한창 진행 중이고, 심지어는 세계 전역에서 다시 유행되고 있다. 2009년 칼빈 탄생 500주년 기념 행사 준비의 일환으로 칼빈 연구는 확실히 더 박차를 가하고 있고, 칼빈과 그의 작품에 대한 관심은 이 준비 훨씬 이전부터 존재했었고, 당연히 2009년 이후에도 결코 수그러들지 않을 것이다. 이 핸드북이 이런 칼빈 연구를 지원하고 자극하기를 바라지만 특별히 학문적으로나 전문적으로 칼빈 연구에 종사하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서도 정보를 제공하는 책이 되었으면 좋겠다.

칼빈이 쓴 작품은 굉장히 많고, 『종교개혁 총서』에 전체 22,000쪽에 이르는 분량으로 무려 59권이 담겨 있다. 따라서 칼빈에 대한 문헌은 훨씬 더 방대하고, 다 검토해 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무엇보다 특히 칼빈의 작품과 칼빈에 대한 작품들이 다수의 언어로 출판되어 급속도로 보급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본서는 이 모든 작품에 대한 포괄적인 개관을 제공할 것이다. 본서는 칼빈을 더 깊이 연구하기를 원하는 모든 사람에게 서론과 출발점과 준거 틀을 제공하기 원하기 때문에 본서의 구성은 칼빈에 대하여 더 깊은 지식을 얻기 바라는 자는 누구나 칼빈 연구를 시작하기에 충분한 내용을 찾아보도록 되어 있다.

1559년에 칼빈은 『기독교강요』 최종판을 출판하고, 이 책의 내용과 구조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만족한다. 이 점에 대하여 정말 다행스럽게도 편집자인 나는 이 핸드북의 최종판을 기다릴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비록 보충과 증보가 가능하고, 또 그것이 바람직하겠지만 이 핸드북을 사용하는 자들은 전문가들이 본서에서 제공하는 것에 충분히 만족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서에서 칼빈에 대한 인용은 대부분 베버판에서 취해졌다. 각 장은 그 장에서 다룬 주제와 특별히 관련된 몇 가지 문헌을 제공하는 것으로 끝나지만 본문 속에 언급된 문헌에 대한 목록은 본서 마지막 부분의 전체 참고문헌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이 『칼빈 핸드복』의 구상은 동료인 보이텔이 그의 『루터 핸드북』(2005년)에서 사용한 구상과 일치한다. 나는 그의 시리즈에 본서를 포함시켜 준 것에 대하여 그에게 감사하고 싶다. 보이텔은 본서가 다양한 나라의 언어로 출판되리라는 것을 알고 기뻐해 줄 것이다. 본서는 2007년에 코크 출판사(네덜란드 캄펜)가 네덜란드어로 번역 출판했고(캄펜), 2008년에는 어드만스 출판사(미국 미시간 주 그랜드 래피즈)가 영어로, 클라우디아나 출판사가 이탈리아어로 번역 출판했다. 헤닝 지브리츠크 박사와 기고자이자 번역자인 모르 지베크에게도 막대한 도움을 베풀어준 것에 대하여 감사를 전한다. 그리고 다양한 논문들의 명확한 형식과 내용을 다듬는 데 있어서 큰 도움을 준 종교개혁 연구소(아펠도른)의 유능한 연구원인 윌리엄 덴 보어 박사에게 특별히 감사의 말을 전한다. 또한 이 핸드북의 국제적인 성가를 드높이는 데 크게 공헌한 전체 기고자에게 특별히 감사를 표현하고 싶다.

2008년 6월에 아펠도른에서 헤르만 셀더하위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언
약어 소개

A. 칼빈 연구에 대한 개관
1장 칼빈의 이미지: 여러 이미지들과 자기 이미지_헤르만 셀더하위스
2장 칼빈의 작품: 단행본과 편집본_폴 필즈
3장 칼빈 연구: 도구, 기관, 연구 상황_카린 마그

B. 칼빈의 생애
I. 체류지
1장 칼빈의 프랑스와 바젤 체류_빌헬름 노이저
2장 칼빈의 제네바 일차 체류_프란스 판 스탐
3장 칼빈의 스트라스부르크 체류_마티외 아르놀
4장 칼빈의 제네바 이차 체류_윌리엄 네피
II. 역사상의 교류들
1장 칼빈과 비텐베르크_헤르만 셀더하위스
2장 칼빈과 스위스 연방_안드레아스 뮐링
3장 칼빈과 스트라스부르크_마티외 아르놀
4장 칼빈과 프랑스_레이먼드 멘처
5장 칼빈과 네덜란드_프랑크 판 더 폴
6장 칼빈과 동유럽_안드레아스 뮐링
7장 칼빈과 로마_마르텐 스톨크
8장 칼빈과 남유럽의 관계_피에트로 볼로냐
9장 칼빈과 영국 제도_이안 해즐렛
III. 신학적인 관계들
1장 칼빈과 교부들_이레나 바쿠스
2장 칼빈과 인문주의자들_크리스토프 부르허
3장 칼빈과 유대인_마리우스 랑어 판 라벤스바이
4장 칼빈과 재세례파_빌렘 발커
5장 칼빈과 반대자들_미르얌 판 페인
6장 칼빈과 학생들_카린 마그

C. 칼빈의 저술
I. 저술 형태
1장 설교_빔 문
2장 주석과 서문_레이먼드 블랙키터
3장 소책자와 논문_게리 닐 한센
4장 기독교강요_헤르만 셀더하위스
5장 교리문답_마티아스 프로이덴베르크
6장 편지_미르얌 판 페인·프란스 판 스탐
II. 저술 주제
1장 하나님과 인간_에베르하르트 부슈
2장 성경_페터 오피츠
3장 삼위일체_아리 바르스
4장 기독론_코르넬리스 판 더 코이
5장 창조와 섭리_수전 슈라이너
6장 인간론_앤서니 레인
7장 믿음과 칭의_바버라 피트킨
8장 성령론_존 헤셀링크
9장 예정_빌헬름 노이저
10장 교회론_게오르그 플라스거
11장 윤리와 교회 권징_귄터 하스
12장 성례_빔 얀서
13장 교회와 국가_로버트 킹던
14장 종말론_폴커 렙핀
III. 저술 구조
1장 그리스도와의 교제_랜달 자크만
2장 하나님의 적응_존 발세락
3장 주석과 교리_빅토르 다손빌
4장 전통과 갱신_워드 홀더

D. 칼빈이 미친 영향과 반응
I. 주제별로 본 영향과 반응
1장 법과 교회법_크리스토프 슈트롬
2장 예배 모범_존 위트블리엇·네이선 비어마
3장 예술과 문학_올리비에 밀레
4장 교육과 교육학_슈테판 에렌프라이스
5장 정치와 사회생활_돌프 브리츠
6장 과학_데이비드 라이트·존 발세락
7장 결혼과 가정생활_존 위트 주니어
8장 영성_엘시 앤 맥키
II. 역사적으로 본 영향과 반응
1장 칼빈과 개혁파 정통주의_칼 트루먼
2장 칼빈에 대한 18세기의 반응_마이클 부쉬
3장 칼빈에 대한 19세기의 반응_아르놀트 하위헨
4장 칼빈에 대한 20세기의 반응_마티아스 프로이덴베르크
5장 아프리카에서의 칼빈_돌프 브리츠·빅토르 다손빌
6장 아시아에서의 칼빈_안인섭
7장 아메리카에서의 칼빈_스콧 마넷쉬

기고자
일차 자료 및 참고문헌 목록
서언
약어 소개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