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종교개혁과 스콜라주의
종교개혁과 스콜라주의
저자 : 빌렘 판 아셀트
출판사 : 부흥과개혁사
출판년 : 2014
ISBN : 9788960923379

책소개

최근까지 개혁주의 개신교 역사에 대한 연구의 특징은 대체로 '개혁파 스콜라주의(Reformed Scholasticism)' 현상에 대한 관심의 심각한 부재로 요약된다. 연구의 기류는 주로 '제2 종교개혁(Nadere Reformatie)' 문구와 더불어 강조되는 경건과 영성의 역사로 기울었다. 우리가 보기에, '개혁파 스콜라주의' 분야에 대한 학자들의 관심이 미약했던 이유는 두 가지로 요약된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추천사]

개혁파 스콜라주의 연구의 입문은 초기 근대사 분야에서 오랫동안 꼭 있었으면 하는 절실한 요구였다. 본서는 그 필요에 절묘하게 부응하는 책이다. 물론 19세기 중반에 하인리히 헤페(Heinrich Heppe)의 연구가 근대 초기의 개혁주의 전통의 발전에 기여했던 개혁주의 인물들의 유용한 목록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의 『개혁주의 교의학』(Die Dogmatik der evangelisch-reformierten Kirche, 1861년)이 그 인물들의 사상에 대한 선별적인 개관을 제공하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개혁파 스콜라 신학의 탁월한 개관을 제공하는 기초적인 소개서는 없었다. 그렇다고 세부적인 전문 연구들이 없었다는 말은 아니다. 하지만 빌렘 판 아셀트와 그의 동료들이 저술한 본서가 출간되기 전까지는 기초적인 입문의 빈곤에 허덕여야 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본서는 정통주의 시대를 간결하게 개관하고, 그 시대의 가장 중요한 인물들을 다양한 궤적들과 학파의 계보를 따라 소개하고, 스콜라주의와 정통주의 신학의 주요 개념들을 주의 깊게 다루고, 이 분야를 다루는 연구 문헌들의 동향도 정리해 주고 있다.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부분은 개혁파 스콜라주의의 아리스토텔레스주의적 및 아우구스티누스주의적 배경을 다루는 3장과 4장, 개혁주의 사상의 종교개혁 이후의 발전과 관련하여 19세기 중반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학문 연구 동향을 다루는 2장, 그리고 개혁주의 사상의 초기에서 후기까지 이어지는 발전의 흐름을 다루는 8장, 9장, 10장이다. 본서는 논리적 논증의 형태들, 실현과 잠재성, 인과론 등과 같은 주제들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적 입장과, 기독교적 아리스토텔레스주의(Christian Aristotelianism)가 아리스토텔레스 범주들을 어떻게 이해하고 수용해 왔는지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개혁주의 학자들이 아우구스티누스 신학을 어떻게 수용해 왔는지를 포함한 개혁주의 사상의 아우구스티누스주의적 배경에 대해서도 유사한 논의가 제공된다. 본서의 저자들은 또한 종교개혁 시대의 인문주의와 스콜라주의 간의 상호적인 관계에 대해서 균형잡힌 관점을 보여 준다. 스콜라적 논증의 구조와 형태에 대한 논의는 특별히 유용하다. 이어지는 정통주의 국면들에 대한 역사적 논의들은 그 시대의 논쟁적인 이슈들과 주요한 인물들에 대해 더할 나위 없는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한다. 게다가 각 장은 다루고 있는 분야의 기본적인 참고문헌 목록으로 결론을 맺으며, 본서 전체의 결론부는 주요한 인물들이 누구며 중요한 문헌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언급하고 구하기 어려운 개혁파 정통주의 학자들의 문헌들을 손쉽게 취득할 수 있는 여러 도서관들 및 인터넷 자료들을 소개하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본서 전체를 통틀어서 저자들은 스콜라주의와 정통주의의 구분 및 방법론과 내용 사이의 유용하고 필수적인 구분을 만들었다. 이러한 구분들에 대한 숙려의 부재는 기존의 학문 연구 일반에 재앙과 같은 것이었다. 스콜라주의는 중세의 학자들뿐만 아니라 정통주의 시대의 학자들이 학문적인 논의에 관여할 때에 사용했던 방법론을 가리키는 말이다. 스콜라주의의 이러한 규정을 방법은 내용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부정하고 있다는 식으로 이해하는 것은 대단히 잘못된 오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콜라주의가 철학과 의학을 포함한 여러 학문 분야들에 형식과 구조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정한 내용과 결부된 것은 아니지만 어떤 결론을 방해하지 않고 그 결론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스콜라주의는 개혁주의, 루터주의, 로마 가톨릭 신학자들 및 철학자들에 의해 도입이 되었으며, 그들은 그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다른 가정들과 내용을 배열하고 전혀 다른 결론들에 도달하게 되었다. 스콜라주의는 방법론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글쓰기의 특별한 종류를 가리키는 것이기도 하다. 정통주의 시대의 개혁파 정통주의 학자들이 쓴 모든 문헌들이 스콜라적 성격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요약하자. 본서는 정통주의 시대에 등장한 개혁주의 사상의 다양한 궤적들을 연구하기 위한 보배로운 입문서다. 단순히 도입적인 연구서가 아니다. 정통주의 시대의 후속적인 연구를 위해서도 소중한 안내서다.

리처드 멀러, 칼빈 신학교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문 빌렘 판 아셀트와 에프 데커

1부 일반적인 논의
1장 개신교 스콜라주의 - 개관과 정의 - 리차드 멀러 (Richard A. Muller)
2장 스콜라 학자들과 맞선 비텐베르크 - 코넬리스 아우구스틴 (Cornelis Augustijn)
3장 종교개혁과 스콜라주의 - 빌렘 판엇 스페이커르 (Willem van't Spijker)

2부 스콜라주의와 중세
4장 스콜라주의와 종교개혁 - 안토니 보스 (Antonie Vos)
5장 잔키우스 신론에 나타난 토마스주의 - 함 고리스 (Harm Goris)

3부 반동 종교개혁과 종교개혁 이후의 스콜라주의
6장 종교개혁과 반동 -종교개혁 사이의 범교회적 논쟁 - 자유로운 선택(liberum arbitrium)에 대한 에임즈와 벨러민 사이의 논쟁 - 에프 데커 (Eef Dekker)
7장 개혁파 스콜라주의 발흥의 발자취 - 변증적인 신학자 윌리엄 휘터커 (William Whitaker, 1548 -1595) - 프리츠 브로이어 (Frits G. Broeyer)

4부 개혁파 스콜라주의의 범례들
8장 존 오웬 - 옥스포드의 개혁주의 스콜라 신학자 - 세바스챤 렌만 (Sebastian Lehnman)
9장 기스베르투스 푸치우스(Gisbertus Voetius, 1589 -1676) - 신론의 기본적인 특징들 - 안드레아 벡 (Andreas J. Beck)
10장 코케이우스는 반스콜라 학자인가? - 빌렘 판 아셀트 (Willem van Asselt)
11장 역사적 사건인 청교도 신학 - 그 범교회적 문맥에 대한 예전적 접근 - 칼 트루만(Carl R. Trueman)

5부 스콜라주의와 오늘날의 신학
12장 스콜라주의와 현대의 조직신학 - 루코 반 덴 브롬 (Luco J. van den Brom)
13장 스콜라주의와 해석학 - 버트 룬스트라 (Bert Loonstra)
서문 빌렘 판 아셀트와 에프 데커

1부 일반적인 논의
1장 개신교 스콜라주의 - 개관과 정의 - 리차드 멀러 (Richard A. Muller)
2장 스콜라 학자들과 맞선 비텐베르크 - 코넬리스 아우구스틴 (Cornelis Augustijn)
3장 종교개혁과 스콜라주의 - 빌렘 판엇 스페이커르 (Willem van't Spijker)

2부 스콜라주의와 중세
4장 스콜라주의와 종교개혁 - 안토니 보스 (Antonie Vos)
5장 잔키우스 신론에 나타난 토마스주의 - 함 고리스 (Harm Goris)

3부 반동 종교개혁과 종교개혁 이후의 스콜라주의
6장 종교개혁과 반동 -종교개혁 ...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