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자연법과 두 나라 (개혁파 사회사상의 발전에 대한 연구)
자연법과 두 나라 (개혁파 사회사상의 발전에 대한 연구)
저자 : 데이비드 반드루넨
출판사 : 부흥과개혁사
출판년 : 2018
ISBN : 9788960924970

책소개

보통 기존의 연구는 개혁파 전통의 신학과 사회윤리학이 자연법 및 두 나라 개념과 사이가 좋지 않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 책에서 데이비드 반드루넨은 종교개혁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개혁파 사회사상의 발전 과정에 대한 사려 깊고 철저한 탐구를 통해 그런 현상에 이의를 제기한다. 자연법과 두 나라의 운명은 개혁파 전통 안에서 서로 연결되었고, 이 두 사상을 동시에 살피는 일은 개혁파의 기독교와 문화 그리고 사회윤리의 관점을 발전시키는 것에 대한 더 광범위한 질문들로 들어가는 유용한 창을 제공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나는 학부에서 법학을, 이후 박사 과정에서는 윤리학을 전공했던 학생으로서, 가끔은 내가 속해 있는 개혁파 신학 전통에서 자연법의 운명을 설명해 주는 책 한 권을 읽었으면 했다. 내가 아는 한 그런 책은 존재하지 않았고, 최근에 많은 개혁파 신학자들의 수사법은 내가 우연히 접한 종교개혁 및 종교개혁 이후 저술가들에 견줄 수 없었다는 막연한 생각과 함께, 나는 어디서도 도움을 얻지 못했다. 나는 연구를 마치고 가르치는 안정된 자리를 얻고 나서 예전에 읽고 싶었던 책을 직접 써 봐야겠다고 결심했다.

나의 연구가 꽤 진척되었을 무렵, 스티븐 그래빌(Stephen Grabill)이 쓴 『개혁신학적 윤리학에서 자연법의 재발견』(Rediscovering the Natural Law in Reformed Theological Ethics)이 출간되어 이 분야의 연구에 훌륭하게 기여를 했다. 하지만 내가 보기에 여전히 해야 할 이야기가 더 많이 남아 있었다. 한편 그래빌이 16, 17세기 개혁파 저술가들에 집중했던 반면에, 나는 어쩌면 너무 야심찬 일일지는 몰라도 그 이야기를 현재의 상황 속에서 말하고 싶었다. 그런데 나는 또한 두 나라 주제가 개혁파의 자연법 사상에 매우 유익한 통찰을 줄 수 있다는 확신에 이르게 되었다. 자연법과 두 나라의 운명은 개혁파 전통 안에서 서로 연결되었고, 이 두 사상을 동시에 살피는 일은 개혁파의 기독교와 문화 그리고 사회윤리의 관점을 발전시키는 것에 대한 더 광범위한 질문들로 들어가는 유용한 창을 제공한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1장 자연법과 두 나라, 그리고 개혁파 사회사상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

1. 현대 개혁파의 사회사상

2. 개혁파 사회사상과 현대의 기독교적 논의들

3. 본 연구의 과제



2장 개혁파 전통의 선구자들

1. 종교개혁 이전 선구자들의 두 나라 교리

아우구스티누스의 두 도성 / 두 칼 이론들 /

교회와 국가에 대한 윌리엄 오컴의 반교황주의적 입장

2. 종교개혁 이전의 자연법 교리들

토마스 아퀴나스의 자연법 / 아퀴나스 이후 자연법에 대한 중세의 견해들

3. 마르틴 루터의 자연법과 두 나라 교리

루터의 두 나라관 / 루터의 자연법 개념 / 결론



3장 자연법과 두 나라를 개혁하기: 존 칼빈과 동시대 인물들

1. 칼빈의 두 나라 개념

두 나라 교리에 대한 칼빈의 신학적 표현 / 칼빈의 신학과 실천 속에 있는 교회와 국가 /

칼빈의 두 나라 신학에 대한 분석

2. 칼빈의 자연법 개념

칼빈과 중세신학의 여러 학파들 / 칼빈의 자연법 신학이 지닌 일반적인 특징 /

칼빈이 말하는 자연법, 시민법, 모세법 / 칼빈이 말하는 자연법과 두 나라

3. 칼빈의 동시대인들이 말하는 자연법과 두 나라

4. 결론



4장 초기 개혁파 저항권 이론에 나타난 자연법

1. 메리 망명자들 및 위그노파 저항 서적들의 배경

2. 자연법과 성경의 조화

3. 자연법의 특징과 내용

4. 자연법 논증의 방법

5. 결론에 앞선 후기: 다른 개혁파 저항 서적들에 나타난 자연법

6. 결론



5장 정통주의 시대: 자연법과 두 나라에 대한 개혁파 교리와 실천

1. 개혁파 정통주의에 나타난 자연법

자연법의 본질과 신적 기원 / 자연법과 양심 / 도덕규범으로서 자연법 /

자연법과 시민법 / 자연법과 모세법 / 개혁파 정통주의 자연법 이론의 다른 측면 / 결론

2. 개혁파 정통주의에 나타난 두 나라 교리

두 나라의 본질과 속성 / 시민 권위와 교회 권위의 구별 / 두 나라와 더 넓은 개혁파의



신학과 실천 체계 / 교회와 국가의 관계 및 국가의 종교 문제 관여에 대한 질문 / 결론

3. 개혁파 정통주의에 나타난 자연법과 두 나라의 관계

4. 결론



6장 신정주의적인 뉴잉글랜드와 국교가 폐지된 버지니아, 그리고 교회의 영적 특성

1. 존 코튼, 뉴잉글랜드 신정주의, 그리고 개혁파 자연법과 두 나라 교리

코튼과 두 나라 / 종교와 시민 위정자 / 존 코튼과 개혁파의 자연법 전통 /

2. 버지니아 장로교인들과 종교의 국교제 폐지

초기 아메리카와 버지니아 장로교의 실험 / 하노버 장로회의 혁명 이후 기록 /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미국식 수정

3. 19세기 장로제도와 교회의 영적 특성

교회의 본질과 권위에 대한 스튜어트 로빈슨의 입장 / 교회 권위의 한계에 대한 하지와

손웰의 입장 / 미국 장로제도의 영적 특성 교리에 대한 결론적 성찰

4. 초기 미국 장로제도에 나타난 자연법

5. 결론



7장 양면성을 띤 과도기: 자연법과 두 나라에 대한 아브라함 카이퍼의 견해

1. 카이퍼와 자연법

일반 계시와 특별 계시에 대한 카이퍼의 견해 / 신적 규정에 대한 카이퍼의 견해 /

카이퍼와 자연법, 그리고 개혁파 전통

2. 카이퍼와 두 나라

중생과 세계관, 그리고 반립 / 일반 은혜 / 영역 주권과 교회론 /

일반 은혜(재고.와 유기체로서의 교회 / 카이퍼와 두 나라, 그리고 개혁파 전통

3. 결론



8장 기독론적 비판: 칼 바르트의 사상

1. 문화 및 사회생활에 대한 바르트 신학의 여러 측면

바르트의 계시 신학 / 진리의 세속적 비유 / 바르트의 국가 개념

2. 자연법과 두 나라 교리에 대한 바르트의 비판

바르트와 자연법 / 바르트와 두 나라

3. 결론: 바르트와 개혁파 자연법 및 두 나라 전통



9장 카이퍼의 유산(1): 헤르만 도예베르트와 북미의 신칼빈주의

1. 헤르만 도예베르트에 나타난 자연법과 두 나라 이론

도예베르트의 사상에 대한 개관 / 도예베르트와 자연법과 두 나라 전통

2. 북미 신칼빈주의의 자연법과 두 나라

헨리 스톱 / 코넬리우스 플랜팅가 / 알버트 월터스 /

크레이그 바르톨로뮤와 마이클 고힌 / 결론



10장 카이퍼의 유산(2): 코넬리우스 반틸과 반틸주의자들



1. 반틸의 사상에 대한 개관

2. 반틸과 자연법 및 두 나라 전통

3. 반틸주의자들 가운데 있는 자연법과 두 나라

반센과 신율주의 윤리학의 개념 / 언약과 문화 그리고 공통성에 대한 클라인의 견해

4. 결론



결론: 개혁파의 자연법과 두 나라 교리의 생존과 부활

1. 개혁파 자연법과 두 나라 교리의 생존

2. 개혁파 자연법과 두 나라 교리의 부활



참고문헌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