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문화예술교육의 이론과 실제 (문화융성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이론과 실제 (문화융성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을 위한)
저자 : 송미숙
출판사 : 레인보우북스
출판년 : 2014
ISBN : 9788962062991

책소개

문화예술을 통한 소통, 화합 그리고 행복『문화예술교육의 이론과 실제』. 본서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 현황과 사례를 바탕으로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문화예술을 통한 소통, 화합 그리고 행복
21세기 국가경쟁력의 핵심은 인재이다. 뛰어난 전문능력과 더불어 올곧은 인성을 지닌 인재를 많이 배출하는 것이 곧 자국의 국가경쟁력을 의미하는 시대가 되었다. 과거 전인교육으로 일컬어졌던 교육의 목적은 창의 인성과 같이 구체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개편되고 있으며, 각 교과의 목적과 내용 또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요구되고 있다. 새로운 세기를 맞아, 세계는 창의적인 문화의 시대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이다. 문화적 힘의 원천은 바로 창조적 사고이고, 이러한 능력을 계발하기 위한 도구로서 그 어느 때보다 문화예술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사회 문화 속에서 인간이 형성되고, 문화예술을 통해 스스로를 이해하고 구현함으로써 자신의 존재성을 확인하는 이 모든 일련의 과정이 문화예술교육의 본질이라고 할 때,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바로 경쟁을 통한 성장뿐만 아니라 소통과 화합을 통한 성장도 함께 추구해야 하는 점이다.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고 소통 화합함으로써 세계는 보다 긍정적인 문화융합시대를 맞이할 수 있다.
예술교육이 지향하는 바는 2005년을 전후하여 명백해졌다. [문화예술교육진흥법]의 제정과 더불어 기존의 예술교육은 소수의 전문가를 위한 예술 중심의 전공교육에서 벗어나 다수의 교육대상을 지향하는 문화예술교육으로 전환되었다. 이와 더불어 ‘Art for All’의 교육신념으로 문화예술교육에서 소외된 사람들을 위한 여러 가지 사업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의 눈부신 양적 성장 이면에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교육적 철학적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들리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이 기존의 예술교육과 차별화된 특징은 무엇이며, 이것이 갖는 교육적 가치는 무엇인지 논리적으로 판단하고, 이를 현장에 효율적으로 적용시켜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모두가 행복한 문화소통 예술향유의 시대를 구현하기 위해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관한 심도 깊은 이야기가 절실히 필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본서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 현황과 사례를 바탕으로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서가 문화예술교육을 가르치는 교육자, 교육자가 되고자 하는 예비생,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지닌 모든 사람들에게 좋은 길을 찾아주는 지표가 되길 기대한다.

2014년 8월
송 미 숙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문I문화예술을 통한 소통, 화합 그리고 행복 /3

제1장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Ⅰ. 문화예술교육이란 13
1. 문화예술교육의 개념 /14
2.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27

Ⅱ. 문화예술교육의 역사 31
1. 문화예술교육의 발단 /31
2. 세계 문화예술교육의 흐름 /33

Ⅲ. 문화예술교육의 분류체계 63
1. 주제에 따른 분류 /63
2. 영역에 따른 분류 /65
3. 문화예술교육의 체계 /69
4. 문화예술교육의 영역 /84

제2장 문화예술교육의 실제

Ⅰ. 문화예술교육 법규와 정책 91
1. 문화예술교육 관련 법규 /92
2. 문화예술교육정책 /96

Ⅱ.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100
1. 문화예술교육 영역별 지원사업 /100
2. 문화예술교육의 전지구적 확대 /136
3.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양성 /142
4. 문화예술교육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166

Ⅲ. 문화예술교육 지원단체 173
1. 공공기관 /174
2. 민간기관 /184
3. 공공?민간 협력기관 /188

제3장 문화예술교육의 미래

Ⅰ. 문화예술교육의 개선점 193
Ⅱ.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방향 197
1. 제도 안정 및 강화 /197
2.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200
3. 지원 협력체제 구축 /214
4. 인재 육성 /216

?참고문헌 /219
?부록 /225
?찾아보기 /269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