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보건조사방법론
보건조사방법론
저자 : 소재진
출판사 : 보문각
출판년 : 2016
ISBN : 9788962203011

책소개

『보건조사방법론』은 보건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에게 보건조사방법 이론을 체계적으로 이해시키고, 보건의료 현장에서 요구되는 보건의료 정보의 체계적 수집과 분석 수행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구성하였다. 전체적으로 11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보건조사방법론의 개괄에 관한 장으로서 보건학에서 조사방법론의 필요성과 책의 구성체계를 시작으로 제11장은 연구보고서 작성에 관한 장으로써 연구자가 자칫하면 간과되기 쉬운 연구논문작성의 체계와 방법 등의 기술까지 수록되어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보건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보건학이 자연과학인가? 아니면 사회과학인가?”에 대한 의문을 누구나 가져 볼 거라고 생각이 된다. 과학을 크게 분석과학과 경험과학으로 분류할 수 있다. 분석과학에는 방법론과 수학으로 나누어지며, 경험과학은 순수과학과 응용과학으로 나누어진다. 보건학은 경험과학으로서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적 요소가 혼재된 다학제적 과학(interdisciplinary science))이라고 할 수 있다. 학문연구 대상은 자연과학적 요소인 건강(health)이고, 연구방법은 사회과학적 방법을 사용한다. 보건학을 과학적 학문연구가 가능하도록 하는 도구적 역할을 하는 것이 조사방법론이라고 한다면, 보건조사방법론이야 말로 보건학이 과학적 학문으로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필수적 도구임에는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이와 같이 학문의 필수적 도구인 보건조사방법론의 난해한 용어와 통계학적 설명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이해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이다. 그렇지만 보건조사방법론은 보건학을 연구하거나, 각종 보건관련 시험(보건교육사)에서 필수과목으로 지정되어 있는 실정이다. 또한 보건의료문제의 복잡화·다양화로 인하여 합리적이며 과학적인 지식 산출 과정이 무엇보다도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수년간의 사회조사방법론 강의경험과 《사회복지조사방법론(김병진 외2인 공저, 2013, 신정)》을 바탕으로 이 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 책은 보건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에게 보건조사방법 이론을 체계적으로 이해시키고, 보건의료 현장에서 요구되는 보건의료 정보의 체계적 수집과 분석 수행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구성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사론 자체가 쉽지 않은 내용이기 때문에 학습자는 반복과정을 통해 각 단계에 대한 이해를 충분히 하고 넘어가기를 권하는 바이다.

이 책은 전체적으로 11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보건조사방법론의 개괄에 관한 장으로서 보건학에서 조사방법론의 필요성과 책의 구성체계 등을 기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과학과 보건조사방법에 관한 장으로써 보건의료문제를 해결하는 도구적 학문으로서 보건조사론이 과학적 학문으로 존재하는가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보건의료문제의 해결을 위한 조사연구설계에 관련된 장으로써 연구문제나 가설에서 제기된 명제들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 어떤 자료들의 필요한지, 자료들을 어떻게 조합할 것인지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4장은 측정과 척도에 관한 장으로써 측정의 네 수준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5장은 측정의 질을 위한 기준으로서 신뢰성과 타당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6장은 표본추출과 표본설계에 관한 장으로써 보건조사에서 과연 누구를 대상으로 조사할 것인가에 관련된 기법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제7장은 설문조사법과 설문지개발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8장은 자료의 수집에 관한 장으로써 자료수집과 조사연구설계간의 관계, 관찰법, 면접법, 자료수집상의 장애 극복방법 등을 기술하였다. 제9장은 자료처리와 자료분석에 관한 장으로써 자료처리에 대한 과정과 자료분석의 개괄적 내용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제10장은 통계분석 방법들에 대해 몇 가지를 소개하였다. 어떻게 보면 보건조사론에서 보다는 보건통계학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이라 할 수 있다. 보건교육사 시험준비를 하는 수험생들은 개괄적인 내용만 파악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제11장은 연구보고서 작성에 관한 장으로써 연구자가 자칫하면 간과되기 쉬운 연구논문작성의 체계와 방법 등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최대한 학습자의 입장에서 접근하려고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부족함이 많은 것을 스스로 느낀다. 향후 보건의료문제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데 꼭 필요한 SPSS나 SAS의 도구에 대한 사항들을 보완하여 보건학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의 동반자가 되게 끔 하기 위해서 최선의 노력을 다 할 것입니다.
부족한 원고한 원고임에도 불구하고 출판에 적극 도움을 준 보문각 이호동 대표님, 편집부 직원들에게 지면을 통해서 나마 감사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에 자료를 올려 공유하는 것을 허락해 주신 분들과 보건조사방법론을 먼저 출간한 연구자들로 인해 이 책이 완성되었다고 본다. 또한 학부시절 조사방법론에 대한 지식과 연구자의 도리를 전수해 주신 김병진교수님의 과분한 제자 사랑에 대해서도 그리움이 생긴다. 끝으로 본 대학의 보건의료행정과 김항곤교수, 정용기교수, 강훈구교수, 김주경교수, 장정자교수, 이향미교수 등에게도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책의 성격상 자료마다 출처를 밝히지 못하고, 책의 말미에 참고문헌으로 대신한 것에 대해 양해의 말씀을 드린다. 부디 본서가 보건조사방법론을 처음 학습하는 사람이나 보건교육사를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반려자가 되었으면 하는 간절한 소망입니다.

2016년 안성 연구실에서 소재진 씀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보건조사방법론의 개괄
1. 보건조사방법론의 의의 10
2. 보건조사방법론의 범위 10
3. 보건조사방법론의 역할 11
4. 보건조사방법론의 용도 13
5. 보건조사방법론의 구성체계 13

과학과 보건조사방법
Ⅰ. 과학의 본질 16
Ⅱ. 지식습득과 과학적 방법 22
Ⅲ. 과학 또는 과학적 방법의 한계 25
Ⅳ. 과학적 방법의 일반적 절차와 조사연구 과정 28
Ⅴ. 과학적 방법의 이론과정 34
Ⅵ. 인과관계의 분석(Analysis of Causal Relations) 46

연구조사의 설계
Ⅰ. 연구조사의 종류 52
Ⅱ. 사례연구(case study) 54
Ⅲ. 실태조사(survey research) 58
Ⅳ. 실험설계(experimental design) 67

측정 및 척도
Ⅰ. 개념과 구성개념 그리고 측정과정 88
Ⅱ. 측정의 수준(level of measurement) 92
Ⅲ. 지수와 척도 101
Ⅳ. 척도의 종류 103

측정의 질을 위한 기준(신뢰도와 타당도)
Ⅰ. 측정의 질을 위한 기준 (criteria for measurement quality) 개설 124
Ⅱ. 신뢰도(reliability) 125
Ⅲ. 타당도(validity) 129
Ⅳ. 신뢰도와 타당도(reliability and validity) 136

표본추출과 표본설계
Ⅰ. 표본추출(sampling) 140
Ⅱ. 표본설계(sample design) 149
Ⅲ. 표본 틀의 요소와 오차 164

설문조사법과 설문지개발
Ⅰ. 설문조사법 174
Ⅱ. 설문지 개발 182

자료의 수집
Ⅰ. 자료수집과 조사설계간의 관계 204
Ⅱ. 관찰법 209
Ⅲ. 면접법(interview method) 222
Ⅳ. 자료수집상의 장애 극복방법 236

자료처리와 자료분석
Ⅰ. 자료처리 240
Ⅱ. 자료분석(data analysis) 248

통계분석 방법
Ⅰ. 통계분석의 종류와 관계 266
Ⅱ.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269
Ⅲ. 교차분석과 카이제곱검증 280
Ⅳ. t-검증과 분산분석 283
Ⅴ. 상관관계분석 288
Ⅵ. 요인분석 290
Ⅶ. 회귀분석 292

연구보고서 작성
Ⅰ. 연구논문의 개념과 종류 296
Ⅱ. 연구논문의 체계 298

참고문헌 304
찾아보기 309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